뒤통수 치는 차량 블랙박스 강매
입력 2008.11.08 (21:33)
수정 2008.11.08 (21: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차량용 운행 기록 장치, 이른바 블랙박스를 무료로 달아준다며 접근한 뒤에 각종 추가 비용을 요구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박경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차량의 운행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이른바 차량용 블랙박스입니다.
교통사고 등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어 소비자들 관심이 높습니다.
최근 이 블랙박스를 무료로 달아준다는 판매업자들의 말에 끌려 장비를 달았다 낭패를 보는 소비자가 부쩍 늘고있습니다.
장비를 달자마자 판매업자들의 태도가 돌변합니다.
엉뚱한 서비스를 제시하며 비용을 요구하는 겁니다.
<인터뷰> 이승민(부산시 다대동) : "휴대전화 요금이나 포인트 충전이란든지 주면 돈으로 자기들한테 달라는 방식으로..."
판매업자들은 장비를 떼어내고 계약을 해지하려고 하자 20%대의 위약금과 설치비용 등을 요구하고 사용을 강요했습니다.
이렇게 무료설치를 제안했다 비용을 요구하는 막무가내 판매방식이 요즈음 전국 방방곳곳에서 일어나고있습니다.
<녹취> 정○○(방문판매 피해자) : "자기네 차에 먼저 장착돼있으니까 먼저 봐라 이러면서 가서 설명을 하는 동안에 다른 설치기사분은 바로 설치를 합니다."
소비자 항의가 거셀때는 90만원대라던 기계값을 30만원대로 깎아주기도 했습니다.
고분고분한 소비자만 손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병법(한국소비자원 상품2팀 차장) : "14일 이내에 내용증명으로 통보했을 때는 법적으로 위약금을 낼 이유가 없습니다."
회사측은 방문판매를 전면 금지하겠다고 밝히고있지만 경제난을 틈탄 사기성 방문판매가 얼마나 줄어들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최근 차량용 운행 기록 장치, 이른바 블랙박스를 무료로 달아준다며 접근한 뒤에 각종 추가 비용을 요구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박경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차량의 운행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이른바 차량용 블랙박스입니다.
교통사고 등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어 소비자들 관심이 높습니다.
최근 이 블랙박스를 무료로 달아준다는 판매업자들의 말에 끌려 장비를 달았다 낭패를 보는 소비자가 부쩍 늘고있습니다.
장비를 달자마자 판매업자들의 태도가 돌변합니다.
엉뚱한 서비스를 제시하며 비용을 요구하는 겁니다.
<인터뷰> 이승민(부산시 다대동) : "휴대전화 요금이나 포인트 충전이란든지 주면 돈으로 자기들한테 달라는 방식으로..."
판매업자들은 장비를 떼어내고 계약을 해지하려고 하자 20%대의 위약금과 설치비용 등을 요구하고 사용을 강요했습니다.
이렇게 무료설치를 제안했다 비용을 요구하는 막무가내 판매방식이 요즈음 전국 방방곳곳에서 일어나고있습니다.
<녹취> 정○○(방문판매 피해자) : "자기네 차에 먼저 장착돼있으니까 먼저 봐라 이러면서 가서 설명을 하는 동안에 다른 설치기사분은 바로 설치를 합니다."
소비자 항의가 거셀때는 90만원대라던 기계값을 30만원대로 깎아주기도 했습니다.
고분고분한 소비자만 손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병법(한국소비자원 상품2팀 차장) : "14일 이내에 내용증명으로 통보했을 때는 법적으로 위약금을 낼 이유가 없습니다."
회사측은 방문판매를 전면 금지하겠다고 밝히고있지만 경제난을 틈탄 사기성 방문판매가 얼마나 줄어들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뒤통수 치는 차량 블랙박스 강매
-
- 입력 2008-11-08 21:10:30
- 수정2008-11-08 21:36:15

<앵커 멘트>
최근 차량용 운행 기록 장치, 이른바 블랙박스를 무료로 달아준다며 접근한 뒤에 각종 추가 비용을 요구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박경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차량의 운행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이른바 차량용 블랙박스입니다.
교통사고 등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어 소비자들 관심이 높습니다.
최근 이 블랙박스를 무료로 달아준다는 판매업자들의 말에 끌려 장비를 달았다 낭패를 보는 소비자가 부쩍 늘고있습니다.
장비를 달자마자 판매업자들의 태도가 돌변합니다.
엉뚱한 서비스를 제시하며 비용을 요구하는 겁니다.
<인터뷰> 이승민(부산시 다대동) : "휴대전화 요금이나 포인트 충전이란든지 주면 돈으로 자기들한테 달라는 방식으로..."
판매업자들은 장비를 떼어내고 계약을 해지하려고 하자 20%대의 위약금과 설치비용 등을 요구하고 사용을 강요했습니다.
이렇게 무료설치를 제안했다 비용을 요구하는 막무가내 판매방식이 요즈음 전국 방방곳곳에서 일어나고있습니다.
<녹취> 정○○(방문판매 피해자) : "자기네 차에 먼저 장착돼있으니까 먼저 봐라 이러면서 가서 설명을 하는 동안에 다른 설치기사분은 바로 설치를 합니다."
소비자 항의가 거셀때는 90만원대라던 기계값을 30만원대로 깎아주기도 했습니다.
고분고분한 소비자만 손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병법(한국소비자원 상품2팀 차장) : "14일 이내에 내용증명으로 통보했을 때는 법적으로 위약금을 낼 이유가 없습니다."
회사측은 방문판매를 전면 금지하겠다고 밝히고있지만 경제난을 틈탄 사기성 방문판매가 얼마나 줄어들지 의문입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
박경호 기자 4right@kbs.co.kr
박경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