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고흥길 국회 문방 위원장이 TV 수신료 인상, 신문법 개정 방침을 공식화 했습니다. 이들 현안을 이번 정기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다루겠다는 여권의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입니다.
윤영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당 소속인 고흥길 문방위원장은 TV 수신료 인상의 불가피성을 강조했습니다.
신문 구독료는 만 5천원으로 6배가 올랐지만 TV수신료는 28년째 2천 5백원 그대로라면서 인상 필요성을 설명했습니다.
<녹취>고흥길(국회 문방위 위원장):"물가 상승률, 제작비 상승 고려하면 인상 불가피하지 않나 의견 많이 내고 있고 정치권서도 인상 필요성 상당 공감대 형성..."
고 위원장은 그러면서 이를 위해서는 KBS가 국민들의 사랑을 받도록 자구 노력을 선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신문법은 당장 이번 정기국회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하겠다는 방침도 밝혔습니다.
신문법에 대해서는 이미 헌재에서 위헌과 헌법 불일치 결정이 나왔기 때문에 이를 고치지 않으면 국회의 직무유기가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따라 정정보도 청구절차나 신문발전기금 지원대상 등에 대한 개정논의가 이뤄지고 신문과 방송의 겸영도 제도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 위원장은 민영 미디어 렙은 내년 말까지 추진하겠다고 밝혔고 YTN 문제에 대해서는 민간 기업 사장을 정치권이 교체할 권한이나 방법이 없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고흥길 위원장의 오늘 언급은 여권의 방침과 같은 것으로 해석되는 가운데 민영미디어랩 도입 문제 등 민주당 등 야당 주장과는 차이가 나는 것도 있어 향후 처리 과정에서 논란도 예상됩니다.
KBS 뉴스 윤영란입니다.
고흥길 국회 문방 위원장이 TV 수신료 인상, 신문법 개정 방침을 공식화 했습니다. 이들 현안을 이번 정기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다루겠다는 여권의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입니다.
윤영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당 소속인 고흥길 문방위원장은 TV 수신료 인상의 불가피성을 강조했습니다.
신문 구독료는 만 5천원으로 6배가 올랐지만 TV수신료는 28년째 2천 5백원 그대로라면서 인상 필요성을 설명했습니다.
<녹취>고흥길(국회 문방위 위원장):"물가 상승률, 제작비 상승 고려하면 인상 불가피하지 않나 의견 많이 내고 있고 정치권서도 인상 필요성 상당 공감대 형성..."
고 위원장은 그러면서 이를 위해서는 KBS가 국민들의 사랑을 받도록 자구 노력을 선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신문법은 당장 이번 정기국회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하겠다는 방침도 밝혔습니다.
신문법에 대해서는 이미 헌재에서 위헌과 헌법 불일치 결정이 나왔기 때문에 이를 고치지 않으면 국회의 직무유기가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따라 정정보도 청구절차나 신문발전기금 지원대상 등에 대한 개정논의가 이뤄지고 신문과 방송의 겸영도 제도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 위원장은 민영 미디어 렙은 내년 말까지 추진하겠다고 밝혔고 YTN 문제에 대해서는 민간 기업 사장을 정치권이 교체할 권한이나 방법이 없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고흥길 위원장의 오늘 언급은 여권의 방침과 같은 것으로 해석되는 가운데 민영미디어랩 도입 문제 등 민주당 등 야당 주장과는 차이가 나는 것도 있어 향후 처리 과정에서 논란도 예상됩니다.
KBS 뉴스 윤영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KBS 수신료 인상…신문법도 개정”
-
- 입력 2008-11-09 20:36:00

<앵커 멘트>
고흥길 국회 문방 위원장이 TV 수신료 인상, 신문법 개정 방침을 공식화 했습니다. 이들 현안을 이번 정기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다루겠다는 여권의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입니다.
윤영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당 소속인 고흥길 문방위원장은 TV 수신료 인상의 불가피성을 강조했습니다.
신문 구독료는 만 5천원으로 6배가 올랐지만 TV수신료는 28년째 2천 5백원 그대로라면서 인상 필요성을 설명했습니다.
<녹취>고흥길(국회 문방위 위원장):"물가 상승률, 제작비 상승 고려하면 인상 불가피하지 않나 의견 많이 내고 있고 정치권서도 인상 필요성 상당 공감대 형성..."
고 위원장은 그러면서 이를 위해서는 KBS가 국민들의 사랑을 받도록 자구 노력을 선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신문법은 당장 이번 정기국회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하겠다는 방침도 밝혔습니다.
신문법에 대해서는 이미 헌재에서 위헌과 헌법 불일치 결정이 나왔기 때문에 이를 고치지 않으면 국회의 직무유기가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따라 정정보도 청구절차나 신문발전기금 지원대상 등에 대한 개정논의가 이뤄지고 신문과 방송의 겸영도 제도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 위원장은 민영 미디어 렙은 내년 말까지 추진하겠다고 밝혔고 YTN 문제에 대해서는 민간 기업 사장을 정치권이 교체할 권한이나 방법이 없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고흥길 위원장의 오늘 언급은 여권의 방침과 같은 것으로 해석되는 가운데 민영미디어랩 도입 문제 등 민주당 등 야당 주장과는 차이가 나는 것도 있어 향후 처리 과정에서 논란도 예상됩니다.
KBS 뉴스 윤영란입니다.
-
-
윤영란 기자 ranny@kbs.co.kr
윤영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