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발생원인 국내 연구진이 밝혀
입력 2001.03.14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불치병인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베일속에 가려져 있던 치매의 발생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낸 것입니다.
보도에 이기문 기자입니다.
⊙기자: 치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은 뇌신경세포가 죽으면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치매환자는 뇌조직이 정상인보다 30% 가량이나 줄어듭니다.
그 동안은 신경세포가 죽는 원인을 정확히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서울대 서유견 교수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치매를 일으키는 물질이 신경세포에 붙어있는 C단단백질임을 증명해 냈습니다.
C단단백질이 들어있는 수용액입니다. 이 물질은 기존에 알려진 베타단백질보다 신경세포를 1000배 가량 더 강력하게 죽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C단 단백질의 독성을 쥐를 이용해 실험했습니다. C단 단백질이 투여된 쥐는 이내 활동이 둔해지면서 제 자리에만 머뭅니다.
24시간 뒤 뇌조직을 살펴본 결과 신경세포가 대부분 죽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지난 두 달 동안 무려 7개의 세계적인 학술지에 실려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았습니다.
⊙서유헌(서울대 의대 교수): C단-단백질을 못 만들게 억제하는 약이나 C단 단백질을 공격해서 파괴시키는 약을 개발하면 앞으로 치매가 근본적으로 예방이나 치료가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소염제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그리고 니코틴이 치매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치료제 개발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뉴스 이기문입니다.
베일속에 가려져 있던 치매의 발생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낸 것입니다.
보도에 이기문 기자입니다.
⊙기자: 치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은 뇌신경세포가 죽으면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치매환자는 뇌조직이 정상인보다 30% 가량이나 줄어듭니다.
그 동안은 신경세포가 죽는 원인을 정확히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서울대 서유견 교수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치매를 일으키는 물질이 신경세포에 붙어있는 C단단백질임을 증명해 냈습니다.
C단단백질이 들어있는 수용액입니다. 이 물질은 기존에 알려진 베타단백질보다 신경세포를 1000배 가량 더 강력하게 죽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C단 단백질의 독성을 쥐를 이용해 실험했습니다. C단 단백질이 투여된 쥐는 이내 활동이 둔해지면서 제 자리에만 머뭅니다.
24시간 뒤 뇌조직을 살펴본 결과 신경세포가 대부분 죽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지난 두 달 동안 무려 7개의 세계적인 학술지에 실려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았습니다.
⊙서유헌(서울대 의대 교수): C단-단백질을 못 만들게 억제하는 약이나 C단 단백질을 공격해서 파괴시키는 약을 개발하면 앞으로 치매가 근본적으로 예방이나 치료가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소염제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그리고 니코틴이 치매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치료제 개발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뉴스 이기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치매 발생원인 국내 연구진이 밝혀
-
- 입력 2001-03-14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불치병인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베일속에 가려져 있던 치매의 발생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낸 것입니다.
보도에 이기문 기자입니다.
⊙기자: 치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은 뇌신경세포가 죽으면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치매환자는 뇌조직이 정상인보다 30% 가량이나 줄어듭니다.
그 동안은 신경세포가 죽는 원인을 정확히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서울대 서유견 교수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치매를 일으키는 물질이 신경세포에 붙어있는 C단단백질임을 증명해 냈습니다.
C단단백질이 들어있는 수용액입니다. 이 물질은 기존에 알려진 베타단백질보다 신경세포를 1000배 가량 더 강력하게 죽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C단 단백질의 독성을 쥐를 이용해 실험했습니다. C단 단백질이 투여된 쥐는 이내 활동이 둔해지면서 제 자리에만 머뭅니다.
24시간 뒤 뇌조직을 살펴본 결과 신경세포가 대부분 죽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지난 두 달 동안 무려 7개의 세계적인 학술지에 실려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았습니다.
⊙서유헌(서울대 의대 교수): C단-단백질을 못 만들게 억제하는 약이나 C단 단백질을 공격해서 파괴시키는 약을 개발하면 앞으로 치매가 근본적으로 예방이나 치료가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소염제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그리고 니코틴이 치매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치료제 개발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뉴스 이기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