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보건복지부 실무자 7명 징계 요구
입력 2001.05.2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민건강보험 재정파탄 위기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결과 보건복지부의 의약분업 준비가 부실덩어리였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감사원은 관련 실무자 7명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습니다.
보도에 김환주 기자입니다.
⊙기자: 건강보험 재정파탄과 관련된 감사원의 징계요구 대상은 이경호 차관을 비롯한 보건복지부 공무원 6명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총무관리실장 등 모두 7명입니다.
명은 중징계인 파면과 해임요구 대상입니다.
그만큼 복지부의 의약분업 사전준비는 부실했습니다.
의약분업을 시행하면 올해에만 최소한 3조 8000여 억원의 보험재정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미리 예상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작 대책은 오히려 내년부터 재정안정이 가능한 것처럼 포장됐다고 감사원은 설명했습니다.
분업이 되면 환자 본인 부담금이 늘고 의약품 사기가 힘들어지지만 국민들에게는 긍정적인 측면만 집중 홍보했습니다.
시행과정에서도 반발에 부딪치자 진료수가 인상 등 단기 처방으로 문제를 풀려 했고 장관이 선심성으로 수가를 인상해 주기도 했습니다.
⊙손방길(감사원 사무2차장): 대통령과 국민에게도 사실과 다르게 보고하고 홍보하였습니다.
⊙기자: 감사원은 차흥봉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예상되는 재정적자 추계를 대책안에서 빼도록 지시한 사실도 밝혀냈습니다.
하지만 차 전 장관이 이미 물러났고 범죄를 저지른 것도 아니기 때문에 형사고발하지 않기로 결론지었습니다.
감사원은 이미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의약분업이 조기에 정착되고 보험재정이 안정될 수 있도록 보완대책 마련과 사후관리에 나서라고 보건복지부에 통보했습니다.
KBS뉴스 김환주입니다.
감사원은 관련 실무자 7명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습니다.
보도에 김환주 기자입니다.
⊙기자: 건강보험 재정파탄과 관련된 감사원의 징계요구 대상은 이경호 차관을 비롯한 보건복지부 공무원 6명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총무관리실장 등 모두 7명입니다.
명은 중징계인 파면과 해임요구 대상입니다.
그만큼 복지부의 의약분업 사전준비는 부실했습니다.
의약분업을 시행하면 올해에만 최소한 3조 8000여 억원의 보험재정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미리 예상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작 대책은 오히려 내년부터 재정안정이 가능한 것처럼 포장됐다고 감사원은 설명했습니다.
분업이 되면 환자 본인 부담금이 늘고 의약품 사기가 힘들어지지만 국민들에게는 긍정적인 측면만 집중 홍보했습니다.
시행과정에서도 반발에 부딪치자 진료수가 인상 등 단기 처방으로 문제를 풀려 했고 장관이 선심성으로 수가를 인상해 주기도 했습니다.
⊙손방길(감사원 사무2차장): 대통령과 국민에게도 사실과 다르게 보고하고 홍보하였습니다.
⊙기자: 감사원은 차흥봉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예상되는 재정적자 추계를 대책안에서 빼도록 지시한 사실도 밝혀냈습니다.
하지만 차 전 장관이 이미 물러났고 범죄를 저지른 것도 아니기 때문에 형사고발하지 않기로 결론지었습니다.
감사원은 이미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의약분업이 조기에 정착되고 보험재정이 안정될 수 있도록 보완대책 마련과 사후관리에 나서라고 보건복지부에 통보했습니다.
KBS뉴스 김환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감사원, 보건복지부 실무자 7명 징계 요구
-
- 입력 2001-05-2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국민건강보험 재정파탄 위기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결과 보건복지부의 의약분업 준비가 부실덩어리였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감사원은 관련 실무자 7명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습니다.
보도에 김환주 기자입니다.
⊙기자: 건강보험 재정파탄과 관련된 감사원의 징계요구 대상은 이경호 차관을 비롯한 보건복지부 공무원 6명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총무관리실장 등 모두 7명입니다.
명은 중징계인 파면과 해임요구 대상입니다.
그만큼 복지부의 의약분업 사전준비는 부실했습니다.
의약분업을 시행하면 올해에만 최소한 3조 8000여 억원의 보험재정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미리 예상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작 대책은 오히려 내년부터 재정안정이 가능한 것처럼 포장됐다고 감사원은 설명했습니다.
분업이 되면 환자 본인 부담금이 늘고 의약품 사기가 힘들어지지만 국민들에게는 긍정적인 측면만 집중 홍보했습니다.
시행과정에서도 반발에 부딪치자 진료수가 인상 등 단기 처방으로 문제를 풀려 했고 장관이 선심성으로 수가를 인상해 주기도 했습니다.
⊙손방길(감사원 사무2차장): 대통령과 국민에게도 사실과 다르게 보고하고 홍보하였습니다.
⊙기자: 감사원은 차흥봉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예상되는 재정적자 추계를 대책안에서 빼도록 지시한 사실도 밝혀냈습니다.
하지만 차 전 장관이 이미 물러났고 범죄를 저지른 것도 아니기 때문에 형사고발하지 않기로 결론지었습니다.
감사원은 이미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의약분업이 조기에 정착되고 보험재정이 안정될 수 있도록 보완대책 마련과 사후관리에 나서라고 보건복지부에 통보했습니다.
KBS뉴스 김환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