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100대1 화폐 개혁…의도는?

입력 2009.12.02 (07:25) 수정 2009.12.02 (18: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이 기존 돈과 새 돈을 100 대 1의 비율로 바꾸는 화폐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최근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숨어있는 지하 자금을 바깥으로 끌어내려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신강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기존 화폐 대신 새 화폐를 발행해 교환하는 화폐개혁을 단행한 것이 사실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교환 비율은 100 대 1, 북한 노동자의 평균 월급 3천 원은 새 돈 30 원으로 맞바꿔집니다.

기존 화폐가 아무리 많아도 한 가구 당 15만 원까지만 바꿀 수 있고, 30만 원까지는 금융기관에 예치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 이상은 당국이 인정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이같은 화폐개혁을 통해 북한 당국은 폭등하는 물가를 다잡고, 또, 음성적으로 축적된 주민들의 돈을 한계를 정해 환전해주면서 은행 예치로 유도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북한 당국은 강제로 예치한 이 돈을 경공업 분야 투자 자본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만성적인 에너지난으로 실물 경제가 이미 무너진 상태여서 이런 의도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지는 불투명합니다.

북한이 화폐 개혁에 이어 상업 은행의 활성화 등 경제 개선의 길로 나아갈지, 아니면 후유증으로 시장이 붕괴되면서 주민들의 고통만 더할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100대1 화폐 개혁…의도는?
    • 입력 2009-12-02 07:25:57
    • 수정2009-12-02 18:48:16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북한이 기존 돈과 새 돈을 100 대 1의 비율로 바꾸는 화폐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최근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숨어있는 지하 자금을 바깥으로 끌어내려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신강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기존 화폐 대신 새 화폐를 발행해 교환하는 화폐개혁을 단행한 것이 사실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교환 비율은 100 대 1, 북한 노동자의 평균 월급 3천 원은 새 돈 30 원으로 맞바꿔집니다. 기존 화폐가 아무리 많아도 한 가구 당 15만 원까지만 바꿀 수 있고, 30만 원까지는 금융기관에 예치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 이상은 당국이 인정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이같은 화폐개혁을 통해 북한 당국은 폭등하는 물가를 다잡고, 또, 음성적으로 축적된 주민들의 돈을 한계를 정해 환전해주면서 은행 예치로 유도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북한 당국은 강제로 예치한 이 돈을 경공업 분야 투자 자본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만성적인 에너지난으로 실물 경제가 이미 무너진 상태여서 이런 의도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지는 불투명합니다. 북한이 화폐 개혁에 이어 상업 은행의 활성화 등 경제 개선의 길로 나아갈지, 아니면 후유증으로 시장이 붕괴되면서 주민들의 고통만 더할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