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제주산 흑 돼지가 부드럽고 담백한 맛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맛의 비밀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규명됐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반 돼지고기보다 부드럽고 담백한 맛을 가지고 있는 제주산 흑돼지, 지금까지는 깨끗한 환경에서 사육됐기 때문이라고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차별화된 맛이 유전자 차이에서 비롯됐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농촌진흥청과 경상대학교가 공동연구한 결과 제주 흑 돼지는 고기의 맛을 좌우하는 각종 유전자가 활성화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실제로 제주 흑 돼지는 8번 염색체의 영향으로 몸에 좋은 불포화 지방산이 일반 돼지보다 15% 이상 많이 생성되고, 씹는 맛을 좌우하는 지방량도 13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12번 염색체가 활성화돼 고기의 선명함이 일반 돼지에 비해 뛰어나고, 구울 때 육즙도 적게 빠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유전적 특성을 활용한 흑 돼지 브랜드화가 가능해진 것입니다.
<인터뷰> 고문석(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 : “이런 좋은 형질을 가진 제주흑돼지를 가지고 일반 돼지와 합성종돈을 만들어 나간다면, 제주흑돼지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돼요”
제주 흑 돼지의 유전적 특성이 발견됨에 따라 그동안 힘들었던 대량생산도 앞으로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제주산 흑 돼지가 부드럽고 담백한 맛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맛의 비밀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규명됐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반 돼지고기보다 부드럽고 담백한 맛을 가지고 있는 제주산 흑돼지, 지금까지는 깨끗한 환경에서 사육됐기 때문이라고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차별화된 맛이 유전자 차이에서 비롯됐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농촌진흥청과 경상대학교가 공동연구한 결과 제주 흑 돼지는 고기의 맛을 좌우하는 각종 유전자가 활성화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실제로 제주 흑 돼지는 8번 염색체의 영향으로 몸에 좋은 불포화 지방산이 일반 돼지보다 15% 이상 많이 생성되고, 씹는 맛을 좌우하는 지방량도 13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12번 염색체가 활성화돼 고기의 선명함이 일반 돼지에 비해 뛰어나고, 구울 때 육즙도 적게 빠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유전적 특성을 활용한 흑 돼지 브랜드화가 가능해진 것입니다.
<인터뷰> 고문석(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 : “이런 좋은 형질을 가진 제주흑돼지를 가지고 일반 돼지와 합성종돈을 만들어 나간다면, 제주흑돼지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돼요”
제주 흑 돼지의 유전적 특성이 발견됨에 따라 그동안 힘들었던 대량생산도 앞으로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주 흑돼지 유전자가 맛의 비밀
-
- 입력 2009-12-02 07:26:13

<앵커 멘트>
제주산 흑 돼지가 부드럽고 담백한 맛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맛의 비밀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규명됐습니다.
변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반 돼지고기보다 부드럽고 담백한 맛을 가지고 있는 제주산 흑돼지, 지금까지는 깨끗한 환경에서 사육됐기 때문이라고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차별화된 맛이 유전자 차이에서 비롯됐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농촌진흥청과 경상대학교가 공동연구한 결과 제주 흑 돼지는 고기의 맛을 좌우하는 각종 유전자가 활성화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실제로 제주 흑 돼지는 8번 염색체의 영향으로 몸에 좋은 불포화 지방산이 일반 돼지보다 15% 이상 많이 생성되고, 씹는 맛을 좌우하는 지방량도 13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12번 염색체가 활성화돼 고기의 선명함이 일반 돼지에 비해 뛰어나고, 구울 때 육즙도 적게 빠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유전적 특성을 활용한 흑 돼지 브랜드화가 가능해진 것입니다.
<인터뷰> 고문석(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 : “이런 좋은 형질을 가진 제주흑돼지를 가지고 일반 돼지와 합성종돈을 만들어 나간다면, 제주흑돼지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돼요”
제주 흑 돼지의 유전적 특성이 발견됨에 따라 그동안 힘들었던 대량생산도 앞으로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
변진석 기자 brick@kbs.co.kr
변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