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만 할 수 있다면” 족집게 합숙캠프까지
입력 2010.01.20 (20:34)
수정 2010.01.21 (0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학 졸업장이 예비 실업자 등록증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요즘 청년층 취업난이 심각합니다.
급기야 지방대학들이 쪽집게 합숙 취업캠프까지 열고 있습니다.
취업을 향한 고군분투의 현장, 김영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단체복 차림의 대학생들이 면접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녹취> 강사 : "차렷, 경례. 안녕하십니까?"
강사가 회사 면접에서 지원자들이 보이는 어색한 태도를 흉내 낸 겁니다.
이어지는 비법 강의.
<녹취> 강사 : "자 따라하세요. 안녕하십니까이. 시작 (안녕하십니까이)"
<녹취> 강사 : "남학생은 무릎이 붙으면 붙을수록 소심해 보입니다."
부산의 한 대학교가 마련한 합숙 취업 캠프.
직무면접, 과제발표 등 기업체 입사 전형을 그대로 옮겨놓은 수업들로 2박 3일 일정이 빡빡합니다.
<인터뷰> 노민혜(부산대 3학년) : "다른 것도 준비할 게 많은 것 같고요. 생각은 많아지고 머릿속은 더 복잡해지고..."
학교 측이 무료로 마련한 이 쪽집게 취업 캠프에도 2대 1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지금 시각은 자정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뒤로 보이는 학생들의 강의실은 여전히 불을 밝히고 있습니다.
청년층 실업률 8% 시대, 대학생들은 쉴 여유가 없습니다.
<인터뷰> 전종명(부산대 4학년) : "미래에 대한 확실한 보장도 없고 졸업을 한다고 해서 예전처럼 취업을 한다는 보장이 없으니까 점점 더 희망을 잃어가는 거죠."
그래서 학생들은 졸업을 미루고 대학들도 그런 현실을 받아들여 '졸업유예제'까지 도입하고 있습니다.
'고용 없는 성장'이라는 엄혹한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학과 학생 모두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대학 졸업장이 예비 실업자 등록증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요즘 청년층 취업난이 심각합니다.
급기야 지방대학들이 쪽집게 합숙 취업캠프까지 열고 있습니다.
취업을 향한 고군분투의 현장, 김영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단체복 차림의 대학생들이 면접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녹취> 강사 : "차렷, 경례. 안녕하십니까?"
강사가 회사 면접에서 지원자들이 보이는 어색한 태도를 흉내 낸 겁니다.
이어지는 비법 강의.
<녹취> 강사 : "자 따라하세요. 안녕하십니까이. 시작 (안녕하십니까이)"
<녹취> 강사 : "남학생은 무릎이 붙으면 붙을수록 소심해 보입니다."
부산의 한 대학교가 마련한 합숙 취업 캠프.
직무면접, 과제발표 등 기업체 입사 전형을 그대로 옮겨놓은 수업들로 2박 3일 일정이 빡빡합니다.
<인터뷰> 노민혜(부산대 3학년) : "다른 것도 준비할 게 많은 것 같고요. 생각은 많아지고 머릿속은 더 복잡해지고..."
학교 측이 무료로 마련한 이 쪽집게 취업 캠프에도 2대 1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지금 시각은 자정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뒤로 보이는 학생들의 강의실은 여전히 불을 밝히고 있습니다.
청년층 실업률 8% 시대, 대학생들은 쉴 여유가 없습니다.
<인터뷰> 전종명(부산대 4학년) : "미래에 대한 확실한 보장도 없고 졸업을 한다고 해서 예전처럼 취업을 한다는 보장이 없으니까 점점 더 희망을 잃어가는 거죠."
그래서 학생들은 졸업을 미루고 대학들도 그런 현실을 받아들여 '졸업유예제'까지 도입하고 있습니다.
'고용 없는 성장'이라는 엄혹한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학과 학생 모두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업만 할 수 있다면” 족집게 합숙캠프까지
-
- 입력 2010-01-20 20:34:23
- 수정2010-01-21 08:29:12

<앵커 멘트>
대학 졸업장이 예비 실업자 등록증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요즘 청년층 취업난이 심각합니다.
급기야 지방대학들이 쪽집게 합숙 취업캠프까지 열고 있습니다.
취업을 향한 고군분투의 현장, 김영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단체복 차림의 대학생들이 면접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녹취> 강사 : "차렷, 경례. 안녕하십니까?"
강사가 회사 면접에서 지원자들이 보이는 어색한 태도를 흉내 낸 겁니다.
이어지는 비법 강의.
<녹취> 강사 : "자 따라하세요. 안녕하십니까이. 시작 (안녕하십니까이)"
<녹취> 강사 : "남학생은 무릎이 붙으면 붙을수록 소심해 보입니다."
부산의 한 대학교가 마련한 합숙 취업 캠프.
직무면접, 과제발표 등 기업체 입사 전형을 그대로 옮겨놓은 수업들로 2박 3일 일정이 빡빡합니다.
<인터뷰> 노민혜(부산대 3학년) : "다른 것도 준비할 게 많은 것 같고요. 생각은 많아지고 머릿속은 더 복잡해지고..."
학교 측이 무료로 마련한 이 쪽집게 취업 캠프에도 2대 1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지금 시각은 자정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뒤로 보이는 학생들의 강의실은 여전히 불을 밝히고 있습니다.
청년층 실업률 8% 시대, 대학생들은 쉴 여유가 없습니다.
<인터뷰> 전종명(부산대 4학년) : "미래에 대한 확실한 보장도 없고 졸업을 한다고 해서 예전처럼 취업을 한다는 보장이 없으니까 점점 더 희망을 잃어가는 거죠."
그래서 학생들은 졸업을 미루고 대학들도 그런 현실을 받아들여 '졸업유예제'까지 도입하고 있습니다.
'고용 없는 성장'이라는 엄혹한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학과 학생 모두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
-
김영인 기자 heemang@kbs.co.kr
김영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