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스포럼 앞두고 대형은행 ‘긴장’

입력 2010.01.26 (16: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위기 당시 구제금융을 받고도 임직원 `보너스 잔치'를 벌여 여론의 도마위에 오른 대형은행들이 27일(현지시간)부터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또 다른 `일전'을 앞두고 긴장하고 있다.

최근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에서 대형 은행 규제 방침이 잇따라 나옴에 따라 이같은 규제에 반발하는 은행들이 각국 정상들의 집중공세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이번 포럼의 주요 관심사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26일 AFP통신에 따르면 이번 포럼에는 요제프 아커만(도이치뱅크)과 브라이언 모이니헌(뱅크 오브 아메리카.BOA), 비크람 판디트(시티그룹), 스티븐 그린(HSBC) 등 각국 대형은행 최고경영자(CEO)의 참석이 예정돼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최근 월가의 막대한 보너스 지급계획을 비난하면서 구제금융 수수료 명목으로 앞으로 10년간 대형은행에 900억 달러를 부과하는 방안과 함께 대형 은행의 규모 확장과 자기자본투자(PI) 금지 등을 포함한 초강력 규제책을 최근 내놨다.

영국과 프랑스도 일정 금액 이상의 보너스를 받는 금융기관 임직원에게 50%에 이르는 특별세를 매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골드만삭스와 스위스계 은행 크레디 스위스 등 일부 은행은 전체 수익에서 보너스가 차지하는 비율을 자체적으로 낮추는 등 비판여론을 피하고자 애쓰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스티븐 그린 HSBC은행 CEO는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 영상인터뷰에서 "은행의 급여 지급 과정에서 왜곡이 매우 많다"면서 "우리(은행업계)는 불편한 기분으로 뒤를 돌아봐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책임을 인정했다.

한편, `신념과 세계적인 과제: 위기 이후 경제의 가치'라는 제목의 WEF 보고서는 금융위기가 "윤리와 가치의 위기"라는 세계 각국 종교 지도자들의 주장을 담았다.

가톨릭 원조기구 카리타스 인터내셔널의 레슬리-앤 나이트 사무총장은 경제위기 상황에서 각국 정부가 금융 시스템과 수익, 보너스 등에만 신경 쓸 뿐 이 때문에 최종적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는 관심이 없다고 비판했다.

미국 성공회의 캐서린 제퍼츠 쇼리 수좌 주교도 "늘어나는 빈곤층 앞에서 세계 부유층이 거대해진 이익을 계속 취한다면 폭력과 유혈, 세계 안보 불안의 증가와 같은 결과밖에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간관계 맺기 사이트 페이스북이 프랑스와 독일, 인도,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터키, 미국의 13만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에서도 3분의 2 이상이 "경제 위기는 윤리와 가치의 위기"라고 답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보스포럼 앞두고 대형은행 ‘긴장’
    • 입력 2010-01-26 16:48:32
    연합뉴스
금융위기 당시 구제금융을 받고도 임직원 `보너스 잔치'를 벌여 여론의 도마위에 오른 대형은행들이 27일(현지시간)부터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또 다른 `일전'을 앞두고 긴장하고 있다. 최근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에서 대형 은행 규제 방침이 잇따라 나옴에 따라 이같은 규제에 반발하는 은행들이 각국 정상들의 집중공세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이번 포럼의 주요 관심사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26일 AFP통신에 따르면 이번 포럼에는 요제프 아커만(도이치뱅크)과 브라이언 모이니헌(뱅크 오브 아메리카.BOA), 비크람 판디트(시티그룹), 스티븐 그린(HSBC) 등 각국 대형은행 최고경영자(CEO)의 참석이 예정돼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최근 월가의 막대한 보너스 지급계획을 비난하면서 구제금융 수수료 명목으로 앞으로 10년간 대형은행에 900억 달러를 부과하는 방안과 함께 대형 은행의 규모 확장과 자기자본투자(PI) 금지 등을 포함한 초강력 규제책을 최근 내놨다. 영국과 프랑스도 일정 금액 이상의 보너스를 받는 금융기관 임직원에게 50%에 이르는 특별세를 매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골드만삭스와 스위스계 은행 크레디 스위스 등 일부 은행은 전체 수익에서 보너스가 차지하는 비율을 자체적으로 낮추는 등 비판여론을 피하고자 애쓰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스티븐 그린 HSBC은행 CEO는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 영상인터뷰에서 "은행의 급여 지급 과정에서 왜곡이 매우 많다"면서 "우리(은행업계)는 불편한 기분으로 뒤를 돌아봐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책임을 인정했다. 한편, `신념과 세계적인 과제: 위기 이후 경제의 가치'라는 제목의 WEF 보고서는 금융위기가 "윤리와 가치의 위기"라는 세계 각국 종교 지도자들의 주장을 담았다. 가톨릭 원조기구 카리타스 인터내셔널의 레슬리-앤 나이트 사무총장은 경제위기 상황에서 각국 정부가 금융 시스템과 수익, 보너스 등에만 신경 쓸 뿐 이 때문에 최종적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는 관심이 없다고 비판했다. 미국 성공회의 캐서린 제퍼츠 쇼리 수좌 주교도 "늘어나는 빈곤층 앞에서 세계 부유층이 거대해진 이익을 계속 취한다면 폭력과 유혈, 세계 안보 불안의 증가와 같은 결과밖에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간관계 맺기 사이트 페이스북이 프랑스와 독일, 인도,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터키, 미국의 13만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에서도 3분의 2 이상이 "경제 위기는 윤리와 가치의 위기"라고 답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