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설연휴 마지막 날입니다. 고향을 찾았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분들 오늘 많으실텐데요.
남은 연휴 건강하게 보내는 방법에 대해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와 알아봅니다.
이 기자, 먼저 명절 때 가장 힘든 것이 장거리 운전일 텐데요, 운전하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
<리포트>
막히는 도로에서 장시간 운전하는 것 정말 힘들죠. 오랜 시간 운전하다 보면 두통이나 눈의 피로는 물론 혈액순환 장애까지 생길수 있습니다.
다리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다리가 붓게 되는거죠.
특히, 노약자나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사람은 다리 정맥의 피가 엉겨 붙어 피떡이 생기는 심부정맥혈전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좁은 비행기 좌석에서 자주 발생해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이라고 하는데 다리에서 생긴 혈전이 폐동맥을 막으면 폐색전증이 생겨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적어도 1-2시간마다 휴게소 등지에서 가볍게 몸을 풀어주고 발목을 돌리거나 종아리를 주물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탈수 때문에 혈액이 끈적해지지 않도록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질문> 육체적인 피로도 피로지만, 해마다 이맘때면 명절 증후군을 겪는 주부들이 많습니다. 주부명절증후군이란 어떤 겁니까?
<답변>
네, '주부명절증후군'이란 아직 가부장적인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는 우리나라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문화관련 증후군인데요, 명절을 전후해서 대략 일주일동안 주부들이 겪는 다양한 심리적 동요와 신체적 증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심리적으로는 우울감이나 불안감, 짜증스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두통과 같은 막연한 신체적인 통증이나 소화불량 같은 신체적인 기능부전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핵가족 문화에 익숙한 주부들이 명절에만 갑자기 대가족으로 합쳐지면서 겪는 스트레스가 원인인데, 그 가족의 구성이 철저히 부계 중심이라는 데 일차적인 갈등의 요인이 있습니다.
성격적으로 예민하고 완벽을 추구하는 꼼꼼한 사람, 경쟁심이 많은 사람들은 명절증후군을 심하게 겪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질문> 주부명절 증후군, 저절로 좋아지나요 ?
<답변>
네, 명절증후군은 대개 일주일 안에 저절로 좋아집니다. 그런데, 이미 부부갈등이나 시댁과의 갈등이 심한 상태에서는 복원할 수 없을 정도로 관계가 훼손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주부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상담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이전에 우울증이나 불안증을 겪은 주부들은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문> 해마다 명절이 지난 후 아토피가 악화돼 병원을 찾는 어린이들이 많아지죠?
<답변>
네, 아토피는 다 아시는 것처럼 먹는 음식과 큰 연관이 있는데, 평소 먹는 음식과 다른 기름진 명절음식을 먹다보면 아토피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아토피가 있는 어린이들의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섭취하는 음식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대표적인 명절 음식인 전과 튀김에는 밀가루가 많이 들어가 아토피를 악화시킬 수 있고, 튀김에 사용하는 새우나 오징어 같은 갑각류도 아토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토피를 가진 아이들은 기름기 많은 육류, 볶음이나 튀김류, 전 등의 기름진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단백질을 먹지 않을 수는 없죠.
장조림, 생선조림, 두부조림 등의 조림류나 생선구이 등을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연휴 마지막 날입니다. 고향을 찾았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분들 오늘 많으실텐데요.
남은 연휴 건강하게 보내는 방법에 대해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와 알아봅니다.
이 기자, 먼저 명절 때 가장 힘든 것이 장거리 운전일 텐데요, 운전하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
<리포트>
막히는 도로에서 장시간 운전하는 것 정말 힘들죠. 오랜 시간 운전하다 보면 두통이나 눈의 피로는 물론 혈액순환 장애까지 생길수 있습니다.
다리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다리가 붓게 되는거죠.
특히, 노약자나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사람은 다리 정맥의 피가 엉겨 붙어 피떡이 생기는 심부정맥혈전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좁은 비행기 좌석에서 자주 발생해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이라고 하는데 다리에서 생긴 혈전이 폐동맥을 막으면 폐색전증이 생겨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적어도 1-2시간마다 휴게소 등지에서 가볍게 몸을 풀어주고 발목을 돌리거나 종아리를 주물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탈수 때문에 혈액이 끈적해지지 않도록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질문> 육체적인 피로도 피로지만, 해마다 이맘때면 명절 증후군을 겪는 주부들이 많습니다. 주부명절증후군이란 어떤 겁니까?
<답변>
네, '주부명절증후군'이란 아직 가부장적인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는 우리나라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문화관련 증후군인데요, 명절을 전후해서 대략 일주일동안 주부들이 겪는 다양한 심리적 동요와 신체적 증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심리적으로는 우울감이나 불안감, 짜증스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두통과 같은 막연한 신체적인 통증이나 소화불량 같은 신체적인 기능부전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핵가족 문화에 익숙한 주부들이 명절에만 갑자기 대가족으로 합쳐지면서 겪는 스트레스가 원인인데, 그 가족의 구성이 철저히 부계 중심이라는 데 일차적인 갈등의 요인이 있습니다.
성격적으로 예민하고 완벽을 추구하는 꼼꼼한 사람, 경쟁심이 많은 사람들은 명절증후군을 심하게 겪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질문> 주부명절 증후군, 저절로 좋아지나요 ?
<답변>
네, 명절증후군은 대개 일주일 안에 저절로 좋아집니다. 그런데, 이미 부부갈등이나 시댁과의 갈등이 심한 상태에서는 복원할 수 없을 정도로 관계가 훼손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주부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상담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이전에 우울증이나 불안증을 겪은 주부들은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문> 해마다 명절이 지난 후 아토피가 악화돼 병원을 찾는 어린이들이 많아지죠?
<답변>
네, 아토피는 다 아시는 것처럼 먹는 음식과 큰 연관이 있는데, 평소 먹는 음식과 다른 기름진 명절음식을 먹다보면 아토피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아토피가 있는 어린이들의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섭취하는 음식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대표적인 명절 음식인 전과 튀김에는 밀가루가 많이 들어가 아토피를 악화시킬 수 있고, 튀김에 사용하는 새우나 오징어 같은 갑각류도 아토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토피를 가진 아이들은 기름기 많은 육류, 볶음이나 튀김류, 전 등의 기름진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단백질을 먹지 않을 수는 없죠.
장조림, 생선조림, 두부조림 등의 조림류나 생선구이 등을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건강 플러스] 명절 증후군 극복법!
-
- 입력 2010-02-15 08:50:27

<앵커 멘트>
설연휴 마지막 날입니다. 고향을 찾았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분들 오늘 많으실텐데요.
남은 연휴 건강하게 보내는 방법에 대해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와 알아봅니다.
이 기자, 먼저 명절 때 가장 힘든 것이 장거리 운전일 텐데요, 운전하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
<리포트>
막히는 도로에서 장시간 운전하는 것 정말 힘들죠. 오랜 시간 운전하다 보면 두통이나 눈의 피로는 물론 혈액순환 장애까지 생길수 있습니다.
다리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다리가 붓게 되는거죠.
특히, 노약자나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사람은 다리 정맥의 피가 엉겨 붙어 피떡이 생기는 심부정맥혈전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좁은 비행기 좌석에서 자주 발생해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이라고 하는데 다리에서 생긴 혈전이 폐동맥을 막으면 폐색전증이 생겨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적어도 1-2시간마다 휴게소 등지에서 가볍게 몸을 풀어주고 발목을 돌리거나 종아리를 주물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탈수 때문에 혈액이 끈적해지지 않도록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질문> 육체적인 피로도 피로지만, 해마다 이맘때면 명절 증후군을 겪는 주부들이 많습니다. 주부명절증후군이란 어떤 겁니까?
<답변>
네, '주부명절증후군'이란 아직 가부장적인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는 우리나라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문화관련 증후군인데요, 명절을 전후해서 대략 일주일동안 주부들이 겪는 다양한 심리적 동요와 신체적 증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심리적으로는 우울감이나 불안감, 짜증스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두통과 같은 막연한 신체적인 통증이나 소화불량 같은 신체적인 기능부전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핵가족 문화에 익숙한 주부들이 명절에만 갑자기 대가족으로 합쳐지면서 겪는 스트레스가 원인인데, 그 가족의 구성이 철저히 부계 중심이라는 데 일차적인 갈등의 요인이 있습니다.
성격적으로 예민하고 완벽을 추구하는 꼼꼼한 사람, 경쟁심이 많은 사람들은 명절증후군을 심하게 겪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질문> 주부명절 증후군, 저절로 좋아지나요 ?
<답변>
네, 명절증후군은 대개 일주일 안에 저절로 좋아집니다. 그런데, 이미 부부갈등이나 시댁과의 갈등이 심한 상태에서는 복원할 수 없을 정도로 관계가 훼손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주부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상담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이전에 우울증이나 불안증을 겪은 주부들은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문> 해마다 명절이 지난 후 아토피가 악화돼 병원을 찾는 어린이들이 많아지죠?
<답변>
네, 아토피는 다 아시는 것처럼 먹는 음식과 큰 연관이 있는데, 평소 먹는 음식과 다른 기름진 명절음식을 먹다보면 아토피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아토피가 있는 어린이들의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섭취하는 음식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대표적인 명절 음식인 전과 튀김에는 밀가루가 많이 들어가 아토피를 악화시킬 수 있고, 튀김에 사용하는 새우나 오징어 같은 갑각류도 아토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토피를 가진 아이들은 기름기 많은 육류, 볶음이나 튀김류, 전 등의 기름진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단백질을 먹지 않을 수는 없죠.
장조림, 생선조림, 두부조림 등의 조림류나 생선구이 등을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이충헌 기자 chleemd@kbs.co.kr
이충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