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장기기증을 하려 해도 직장에 누를 끼칠까 꺼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유급휴가 제도가 있긴한데, 사실상 말 뿐입니다. 박경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위로부터 간을 이식받아 새로 생명을 얻은 여성입니다.
기쁨도 크지만 그만큼 미안함도 큽니다.
<인터뷰>지연순(경기도 파주시 금촌동) : "너무 미안한 건 이루 말할 수 없죠, 고맙죠. 다시 태어났잖아요."
사위는 수술 때문에 직장을 그만뒀습니다.
간 이식을 하기 위해 한 달 넘게 입원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신승호(지씨의 사위) : "구직활동하는 것을 보면서 상당히 걱정하고 스트레스 받는 걸 보면 상당히 마음이 아픕니다."
장기를 기증하는 사람에게는 회사가 유급휴가를 주도록 법에 규정돼 있지만 회사는 지키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경애(건강세상네트워크 공공의료팀) : "그나마도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데, 이에 대한 관리감독과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지원이 마련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유급휴가를 줄 경우 정부는 업체에 대해 최대 14일, 하루 5만 원씩 보상해줍니다.
업체로서는 보상금이 적다며 유급휴가를 꺼립니다.
하지만, 정부는 장기 기증을 보상 지원과 연결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입장입니다.
지난 2007년 유급휴가 조항이 만들어진 뒤 실제로 적용된 경우는 6건에 불과합니다.
현재 장기 기증을 기다리는 환자는 만 7천 명이 넘습니다.
장기 기증자에 대한 최소한의 법적 지원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환자들의 기다림은 더 길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장기기증을 하려 해도 직장에 누를 끼칠까 꺼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유급휴가 제도가 있긴한데, 사실상 말 뿐입니다. 박경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위로부터 간을 이식받아 새로 생명을 얻은 여성입니다.
기쁨도 크지만 그만큼 미안함도 큽니다.
<인터뷰>지연순(경기도 파주시 금촌동) : "너무 미안한 건 이루 말할 수 없죠, 고맙죠. 다시 태어났잖아요."
사위는 수술 때문에 직장을 그만뒀습니다.
간 이식을 하기 위해 한 달 넘게 입원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신승호(지씨의 사위) : "구직활동하는 것을 보면서 상당히 걱정하고 스트레스 받는 걸 보면 상당히 마음이 아픕니다."
장기를 기증하는 사람에게는 회사가 유급휴가를 주도록 법에 규정돼 있지만 회사는 지키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경애(건강세상네트워크 공공의료팀) : "그나마도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데, 이에 대한 관리감독과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지원이 마련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유급휴가를 줄 경우 정부는 업체에 대해 최대 14일, 하루 5만 원씩 보상해줍니다.
업체로서는 보상금이 적다며 유급휴가를 꺼립니다.
하지만, 정부는 장기 기증을 보상 지원과 연결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입장입니다.
지난 2007년 유급휴가 조항이 만들어진 뒤 실제로 적용된 경우는 6건에 불과합니다.
현재 장기 기증을 기다리는 환자는 만 7천 명이 넘습니다.
장기 기증자에 대한 최소한의 법적 지원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환자들의 기다림은 더 길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기기증 유급휴가제 ‘유명 무실’
-
- 입력 2010-02-15 22:09:34

<앵커 멘트>
장기기증을 하려 해도 직장에 누를 끼칠까 꺼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유급휴가 제도가 있긴한데, 사실상 말 뿐입니다. 박경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위로부터 간을 이식받아 새로 생명을 얻은 여성입니다.
기쁨도 크지만 그만큼 미안함도 큽니다.
<인터뷰>지연순(경기도 파주시 금촌동) : "너무 미안한 건 이루 말할 수 없죠, 고맙죠. 다시 태어났잖아요."
사위는 수술 때문에 직장을 그만뒀습니다.
간 이식을 하기 위해 한 달 넘게 입원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신승호(지씨의 사위) : "구직활동하는 것을 보면서 상당히 걱정하고 스트레스 받는 걸 보면 상당히 마음이 아픕니다."
장기를 기증하는 사람에게는 회사가 유급휴가를 주도록 법에 규정돼 있지만 회사는 지키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경애(건강세상네트워크 공공의료팀) : "그나마도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데, 이에 대한 관리감독과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지원이 마련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유급휴가를 줄 경우 정부는 업체에 대해 최대 14일, 하루 5만 원씩 보상해줍니다.
업체로서는 보상금이 적다며 유급휴가를 꺼립니다.
하지만, 정부는 장기 기증을 보상 지원과 연결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입장입니다.
지난 2007년 유급휴가 조항이 만들어진 뒤 실제로 적용된 경우는 6건에 불과합니다.
현재 장기 기증을 기다리는 환자는 만 7천 명이 넘습니다.
장기 기증자에 대한 최소한의 법적 지원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환자들의 기다림은 더 길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
박경호 기자 4right@kbs.co.kr
박경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