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땅한 여성 후보 없어요” 정당 골머리
입력 2010.03.18 (06:58)
수정 2010.03.18 (09: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지방선거 부터 비례대표 외에,지역구 후보까지 여성 후보를 의무적으로 공천하도록 되면서 각 정당들이 당혹해 하고 있습니다.
여성 배려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후보군이 많지 않은 지방 중소 도시에서는 당선 가능성이 있는 여성 후보를 찾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개정된 선거법에 따라, 이번 지방선거부터는 지역구 기초-광역의원 선거에서도 여성 후보 공천이 의무화됐습니다.
각 정당은,시나 구지역 국회의원 선거구를 기준으로, 여성 후보 1 명 씩을 의무적으로 공천해야 합니다.
충북지역에서만 5 곳, 전국적으로는 200여 곳입니다.
<인터뷰> 한영석(충북 선관위 홍보과장) : "여성 정치 참여를 더 확대하기 위해서, 지역구에도 적용하자는 것입니다."
하지만,인력 재원이 많지 않은 지방의 중소도시에서는 마땅한 여성 후보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녹취> 정당 관계자 : "여성후보를 구할수 없어서 여기저기 구걸하다시피하는 그런 상황이고, 후보가 있다해도 그분들이 그만큼 경쟁력이 있느냐 하는것도 의문입니다."
일각에서는 남성 후보에 대한 역차별 논란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녹취> 정당 관계자 : "4년동안 준비해온 남자 도의원이나 시의원 출마자들은, 그걸로 피해를 받게되는거죠"
여성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제도가,인물난에다, 역차별 논란까지 제기되면서 성공적으로 정착하기까지는 앞으로 적잖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이번 지방선거 부터 비례대표 외에,지역구 후보까지 여성 후보를 의무적으로 공천하도록 되면서 각 정당들이 당혹해 하고 있습니다.
여성 배려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후보군이 많지 않은 지방 중소 도시에서는 당선 가능성이 있는 여성 후보를 찾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개정된 선거법에 따라, 이번 지방선거부터는 지역구 기초-광역의원 선거에서도 여성 후보 공천이 의무화됐습니다.
각 정당은,시나 구지역 국회의원 선거구를 기준으로, 여성 후보 1 명 씩을 의무적으로 공천해야 합니다.
충북지역에서만 5 곳, 전국적으로는 200여 곳입니다.
<인터뷰> 한영석(충북 선관위 홍보과장) : "여성 정치 참여를 더 확대하기 위해서, 지역구에도 적용하자는 것입니다."
하지만,인력 재원이 많지 않은 지방의 중소도시에서는 마땅한 여성 후보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녹취> 정당 관계자 : "여성후보를 구할수 없어서 여기저기 구걸하다시피하는 그런 상황이고, 후보가 있다해도 그분들이 그만큼 경쟁력이 있느냐 하는것도 의문입니다."
일각에서는 남성 후보에 대한 역차별 논란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녹취> 정당 관계자 : "4년동안 준비해온 남자 도의원이나 시의원 출마자들은, 그걸로 피해를 받게되는거죠"
여성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제도가,인물난에다, 역차별 논란까지 제기되면서 성공적으로 정착하기까지는 앞으로 적잖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땅한 여성 후보 없어요” 정당 골머리
-
- 입력 2010-03-18 06:58:38
- 수정2010-03-18 09:38:48

<앵커 멘트>
이번 지방선거 부터 비례대표 외에,지역구 후보까지 여성 후보를 의무적으로 공천하도록 되면서 각 정당들이 당혹해 하고 있습니다.
여성 배려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후보군이 많지 않은 지방 중소 도시에서는 당선 가능성이 있는 여성 후보를 찾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개정된 선거법에 따라, 이번 지방선거부터는 지역구 기초-광역의원 선거에서도 여성 후보 공천이 의무화됐습니다.
각 정당은,시나 구지역 국회의원 선거구를 기준으로, 여성 후보 1 명 씩을 의무적으로 공천해야 합니다.
충북지역에서만 5 곳, 전국적으로는 200여 곳입니다.
<인터뷰> 한영석(충북 선관위 홍보과장) : "여성 정치 참여를 더 확대하기 위해서, 지역구에도 적용하자는 것입니다."
하지만,인력 재원이 많지 않은 지방의 중소도시에서는 마땅한 여성 후보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녹취> 정당 관계자 : "여성후보를 구할수 없어서 여기저기 구걸하다시피하는 그런 상황이고, 후보가 있다해도 그분들이 그만큼 경쟁력이 있느냐 하는것도 의문입니다."
일각에서는 남성 후보에 대한 역차별 논란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녹취> 정당 관계자 : "4년동안 준비해온 남자 도의원이나 시의원 출마자들은, 그걸로 피해를 받게되는거죠"
여성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제도가,인물난에다, 역차별 논란까지 제기되면서 성공적으로 정착하기까지는 앞으로 적잖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
이승훈 기자 hun21@kbs.co.kr
이승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