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분 만에 암 진단’ 기술 국내 개발
입력 2010.03.18 (06:58)
수정 2010.03.18 (09: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암에 걸렸는지 여부를 30분 만에 자신이 직접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습니다.
앞으로 암 진단을 당뇨 수치 측정하듯이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김동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바이오 센서 반도체 칩에 혈액을 묻히고 분석 기기에 넣습니다.
혈청 분리 과정 등 30분 정도가 지나면 모니터에 간암과 전립선암, 그리고 대장암에 해당되는 3가지 수치가 나타납니다.
특정 수치를 넘어서면 각각의 암에 걸렸다는 표시입니다.
바이오 센서가 혈청 속의 암 단백질을 만나 반응한 결과가 수치로 나타난 것입니다.
<인터뷰> 성건용 :"항원이 항체와 결합됐음을 반도체가 감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 결과를 수치로 표시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바이오 센서는 혈청 1밀리리터 속에 암 단백질 100억분의 2그램만 있어도 진단이 가능해 정확도가 높습니다.
또 일반인도 혈액 두세 방울로도 암 재발 여부까지 진단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이 기술은 암 뿐 아니라 혈액속의 단백질로 진단할 수 있는 다른 질병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혈액에서 곧바로 암을 진단하는 분석 기기로서는 세계 최초라며 2년 안에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휴대전화기 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되도록 소형화시켜 원격 진단도 가능케 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동진입니다.
암에 걸렸는지 여부를 30분 만에 자신이 직접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습니다.
앞으로 암 진단을 당뇨 수치 측정하듯이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김동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바이오 센서 반도체 칩에 혈액을 묻히고 분석 기기에 넣습니다.
혈청 분리 과정 등 30분 정도가 지나면 모니터에 간암과 전립선암, 그리고 대장암에 해당되는 3가지 수치가 나타납니다.
특정 수치를 넘어서면 각각의 암에 걸렸다는 표시입니다.
바이오 센서가 혈청 속의 암 단백질을 만나 반응한 결과가 수치로 나타난 것입니다.
<인터뷰> 성건용 :"항원이 항체와 결합됐음을 반도체가 감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 결과를 수치로 표시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바이오 센서는 혈청 1밀리리터 속에 암 단백질 100억분의 2그램만 있어도 진단이 가능해 정확도가 높습니다.
또 일반인도 혈액 두세 방울로도 암 재발 여부까지 진단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이 기술은 암 뿐 아니라 혈액속의 단백질로 진단할 수 있는 다른 질병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혈액에서 곧바로 암을 진단하는 분석 기기로서는 세계 최초라며 2년 안에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휴대전화기 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되도록 소형화시켜 원격 진단도 가능케 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동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0분 만에 암 진단’ 기술 국내 개발
-
- 입력 2010-03-18 06:58:48
- 수정2010-03-18 09:48:28

<앵커 멘트>
암에 걸렸는지 여부를 30분 만에 자신이 직접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습니다.
앞으로 암 진단을 당뇨 수치 측정하듯이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김동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바이오 센서 반도체 칩에 혈액을 묻히고 분석 기기에 넣습니다.
혈청 분리 과정 등 30분 정도가 지나면 모니터에 간암과 전립선암, 그리고 대장암에 해당되는 3가지 수치가 나타납니다.
특정 수치를 넘어서면 각각의 암에 걸렸다는 표시입니다.
바이오 센서가 혈청 속의 암 단백질을 만나 반응한 결과가 수치로 나타난 것입니다.
<인터뷰> 성건용 :"항원이 항체와 결합됐음을 반도체가 감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 결과를 수치로 표시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바이오 센서는 혈청 1밀리리터 속에 암 단백질 100억분의 2그램만 있어도 진단이 가능해 정확도가 높습니다.
또 일반인도 혈액 두세 방울로도 암 재발 여부까지 진단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이 기술은 암 뿐 아니라 혈액속의 단백질로 진단할 수 있는 다른 질병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혈액에서 곧바로 암을 진단하는 분석 기기로서는 세계 최초라며 2년 안에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휴대전화기 등 모바일 기기에 내장되도록 소형화시켜 원격 진단도 가능케 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동진입니다.
-
-
김동진 기자 grandkdj@gmail.com
김동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