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한 지 100년이 넘은 도자기, 악기 등 골동품 수입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골동품 수입액은 780만8천 달러였고 이중 이탈리아가 전체의 31.1%(242만5천 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이탈리아에서 수입한 골동품은 모두 악기류로 바이올린 등 유명한 클래식 전통악기가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 다음에는 일본(213만8천 달러), 미국(80만7천 달러), 프랑스(39만3천 달러), 벨기에(25만4천 달러), 중국(10만1천 달러), 독일(10만 달러) 등의 순이었다.
일본은 전체 수입액의 83.9%(179만4천달러)가 도자기 종류였고 중국도 전체의 59.4%(6만달러)가 도자기였다.
반면 미국, 프랑스, 벨기에, 독일 등은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악기류였다.
골동품 수입액은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바로 직전인 1997년 1천915만5천 달러에 달하기도 했다.
당시에는 미국에서 수입한 골동품이 전체의 36.3%(694만6천 달러)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이탈리아(33.6%), 일본(22.0%), 중국(3.5%), 영국(2.5%) 등의 순이었다.
미국에서는 도자기와 악기를 골고루 수입했고 이탈리아에서는 모두 악기가 수입됐다.
골동품 수입액은 그러나 IMF 외환위기를 맞은 1998년 333만8천 달러로 전년의 17.4% 수준으로 급감했고 이후 다시 증가세를 보여 2006년 1천791만1천 달러까지 회복했다가 최근 들어 다시 감소하는 추세이다.
지난해 골동품 수출액은 33만4천 달러로 수입액의 4.3%에 불과했다.
수출된 골동품은 대부분 홍콩(22만5천 달러)과 영국(10만 달러)으로 나갔으며 영국의 경우 모두 악기였다.
골동품 수출은 해마다 큰 격차를 보여 1997년 9만 달러 수준에 그쳤고 2003년에는 아예 수출실적이 없었으며 2008년에는 961만1천 달러로 수입액(737만2천 달러)보다 많기도 했다.
15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골동품 수입액은 780만8천 달러였고 이중 이탈리아가 전체의 31.1%(242만5천 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이탈리아에서 수입한 골동품은 모두 악기류로 바이올린 등 유명한 클래식 전통악기가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 다음에는 일본(213만8천 달러), 미국(80만7천 달러), 프랑스(39만3천 달러), 벨기에(25만4천 달러), 중국(10만1천 달러), 독일(10만 달러) 등의 순이었다.
일본은 전체 수입액의 83.9%(179만4천달러)가 도자기 종류였고 중국도 전체의 59.4%(6만달러)가 도자기였다.
반면 미국, 프랑스, 벨기에, 독일 등은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악기류였다.
골동품 수입액은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바로 직전인 1997년 1천915만5천 달러에 달하기도 했다.
당시에는 미국에서 수입한 골동품이 전체의 36.3%(694만6천 달러)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이탈리아(33.6%), 일본(22.0%), 중국(3.5%), 영국(2.5%) 등의 순이었다.
미국에서는 도자기와 악기를 골고루 수입했고 이탈리아에서는 모두 악기가 수입됐다.
골동품 수입액은 그러나 IMF 외환위기를 맞은 1998년 333만8천 달러로 전년의 17.4% 수준으로 급감했고 이후 다시 증가세를 보여 2006년 1천791만1천 달러까지 회복했다가 최근 들어 다시 감소하는 추세이다.
지난해 골동품 수출액은 33만4천 달러로 수입액의 4.3%에 불과했다.
수출된 골동품은 대부분 홍콩(22만5천 달러)과 영국(10만 달러)으로 나갔으며 영국의 경우 모두 악기였다.
골동품 수출은 해마다 큰 격차를 보여 1997년 9만 달러 수준에 그쳤고 2003년에는 아예 수출실적이 없었으며 2008년에는 961만1천 달러로 수입액(737만2천 달러)보다 많기도 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골동품 수입 ‘이탈리아 악기’ 많다
-
- 입력 2010-04-15 06:36:09
제작한 지 100년이 넘은 도자기, 악기 등 골동품 수입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골동품 수입액은 780만8천 달러였고 이중 이탈리아가 전체의 31.1%(242만5천 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이탈리아에서 수입한 골동품은 모두 악기류로 바이올린 등 유명한 클래식 전통악기가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 다음에는 일본(213만8천 달러), 미국(80만7천 달러), 프랑스(39만3천 달러), 벨기에(25만4천 달러), 중국(10만1천 달러), 독일(10만 달러) 등의 순이었다.
일본은 전체 수입액의 83.9%(179만4천달러)가 도자기 종류였고 중국도 전체의 59.4%(6만달러)가 도자기였다.
반면 미국, 프랑스, 벨기에, 독일 등은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악기류였다.
골동품 수입액은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바로 직전인 1997년 1천915만5천 달러에 달하기도 했다.
당시에는 미국에서 수입한 골동품이 전체의 36.3%(694만6천 달러)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이탈리아(33.6%), 일본(22.0%), 중국(3.5%), 영국(2.5%) 등의 순이었다.
미국에서는 도자기와 악기를 골고루 수입했고 이탈리아에서는 모두 악기가 수입됐다.
골동품 수입액은 그러나 IMF 외환위기를 맞은 1998년 333만8천 달러로 전년의 17.4% 수준으로 급감했고 이후 다시 증가세를 보여 2006년 1천791만1천 달러까지 회복했다가 최근 들어 다시 감소하는 추세이다.
지난해 골동품 수출액은 33만4천 달러로 수입액의 4.3%에 불과했다.
수출된 골동품은 대부분 홍콩(22만5천 달러)과 영국(10만 달러)으로 나갔으며 영국의 경우 모두 악기였다.
골동품 수출은 해마다 큰 격차를 보여 1997년 9만 달러 수준에 그쳤고 2003년에는 아예 수출실적이 없었으며 2008년에는 961만1천 달러로 수입액(737만2천 달러)보다 많기도 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