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요즘 금갈치, 금등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생선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지난해보다 40% 이상 비싸지면서 주부들은 생선 사기가 부담스러워졌습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치솟는 가격에 요즘 식탁에서 갈치 구경하기 쉽지 않습니다.
생물 갈치 가격이 중품 한 마리 기준으로 만원선, 1년 전보다 34%나 올랐습니다.
냉동갈치는 오름폭이 더 커 지난해보다 67% 올랐고 10년 만에 최고 시세를 기록했습니다.
'국민 생선'격인 고등어는 한 마리 가격이 2,500원.
지난해보다 40% 올랐고 10년 전보다 두 배나 뛰었습니다.
봄철 별미인 주꾸미도 지난해보다 50%나 올랐습니다.
100그램 가격이 2,980원! 4-5마리 담으면 만 원에 육박합니다.
고등어 구이나 갈치 조림을 주로 하는 식당들은 올라버린 생선값에 한숨만 나옵니다.
<인터뷰> 정홍순(음식점 운영) : "재료값이 너무 비싸니까, 그렇다고 값을 올릴 수도 없는 것이고, 부담이 많이 되요."
여기에 오징어와 꽃게 등도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기상이변으로 바닷속 어족자원이 준 데다 지난 겨울 한파와 유가 상승으로 조업량이 감소해 어획량이 급감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주요 수산물이 가격이 사상 최고 수준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당분간 수산물값 고공행진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요즘 금갈치, 금등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생선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지난해보다 40% 이상 비싸지면서 주부들은 생선 사기가 부담스러워졌습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치솟는 가격에 요즘 식탁에서 갈치 구경하기 쉽지 않습니다.
생물 갈치 가격이 중품 한 마리 기준으로 만원선, 1년 전보다 34%나 올랐습니다.
냉동갈치는 오름폭이 더 커 지난해보다 67% 올랐고 10년 만에 최고 시세를 기록했습니다.
'국민 생선'격인 고등어는 한 마리 가격이 2,500원.
지난해보다 40% 올랐고 10년 전보다 두 배나 뛰었습니다.
봄철 별미인 주꾸미도 지난해보다 50%나 올랐습니다.
100그램 가격이 2,980원! 4-5마리 담으면 만 원에 육박합니다.
고등어 구이나 갈치 조림을 주로 하는 식당들은 올라버린 생선값에 한숨만 나옵니다.
<인터뷰> 정홍순(음식점 운영) : "재료값이 너무 비싸니까, 그렇다고 값을 올릴 수도 없는 것이고, 부담이 많이 되요."
여기에 오징어와 꽃게 등도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기상이변으로 바닷속 어족자원이 준 데다 지난 겨울 한파와 유가 상승으로 조업량이 감소해 어획량이 급감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주요 수산물이 가격이 사상 최고 수준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당분간 수산물값 고공행진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金갈치, 金등어…“생선 사기 겁나요”
-
- 입력 2010-04-15 07:46:09

<앵커 멘트>
요즘 금갈치, 금등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생선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지난해보다 40% 이상 비싸지면서 주부들은 생선 사기가 부담스러워졌습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치솟는 가격에 요즘 식탁에서 갈치 구경하기 쉽지 않습니다.
생물 갈치 가격이 중품 한 마리 기준으로 만원선, 1년 전보다 34%나 올랐습니다.
냉동갈치는 오름폭이 더 커 지난해보다 67% 올랐고 10년 만에 최고 시세를 기록했습니다.
'국민 생선'격인 고등어는 한 마리 가격이 2,500원.
지난해보다 40% 올랐고 10년 전보다 두 배나 뛰었습니다.
봄철 별미인 주꾸미도 지난해보다 50%나 올랐습니다.
100그램 가격이 2,980원! 4-5마리 담으면 만 원에 육박합니다.
고등어 구이나 갈치 조림을 주로 하는 식당들은 올라버린 생선값에 한숨만 나옵니다.
<인터뷰> 정홍순(음식점 운영) : "재료값이 너무 비싸니까, 그렇다고 값을 올릴 수도 없는 것이고, 부담이 많이 되요."
여기에 오징어와 꽃게 등도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기상이변으로 바닷속 어족자원이 준 데다 지난 겨울 한파와 유가 상승으로 조업량이 감소해 어획량이 급감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주요 수산물이 가격이 사상 최고 수준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당분간 수산물값 고공행진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
-
공아영 기자 gong@kbs.co.kr
공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