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반도체, 승용차 등 주력품목의 수출 호조로 무역수지가 2개월 연속 흑자를 보였다.
15일 관세청의 `3월 수출입 동향 확정치'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이 374억5천만 달러, 수입이 356억3천만 달러로 18억2천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지난달에 이어 무역수지는 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이로써 올 1분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2% 증가한 1천14억 달러, 수입은 37.3% 증가한 981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32억7천만 달러 흑자였다.
수출은 세계 경제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고 수입은 경기 회복, 유가 상승에 따라 원유 등 원자재와 자본재 수입이 증가했다.
지난달의 경우 수출은 반도체, 승용차, 액정장치 등 주력품목의 수출 호조가 지속하면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3% 증가했고 전월보다는 13.0% 늘었다.
품목별로는 승용차 수출액이 전월보다 31.2% 증가한 것을 비롯해 액정장치 21.2%, 반도체 12.1%, 석유제품 13.3%, 무선통신기기 12.3% 각각 증가했다. 선박은 33.1% 감소했다.
지난달 수출액은 경기침체 이전인 2008년 7월 이후 최대이면서 최근 10년 내 월 수출액으로는 네번째이다.
수입은 기계ㆍ정밀기기(84.4%), 반도체(35.2%) 등 자본재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1.2% 증가했고 원유(81.5%), 비철금속(83.1%) 등 원자재가 50.9%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 동남아, 유럽연합(EU) 등에서 흑자를 보였고 일본, 중동은 적자를 나타냈다.
중국은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51.0% 증가한 97억7천500만 달러, 수입은 25.3% 증가한 57억5천800만 달러로 40억1천800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동남아는 수출 76억500만 달러, 수입 51억200만 달러로 25억300만 달러 흑자였고, EU는 수출과 수입이 각각 47억7천만 달러, 34억5천400만 달러로 13억1천600만 달러 흑자였다.
반면 일본은 수출이 36.9% 증가한 21억4천200만 달러, 수입은 48.1% 증가한 57억5천600만 달러로 36억1천300만 달러 적자를 보였고, 중동은 수출 21억8천만 달러, 수입 64억3천100만 달러로 42억5천200만 달러 적자였다.
지난달 확정치는 이달 초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잠정치보다 수출은 2억3천만 달러 줄었고 수입은 1억4천만 달러 늘어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잠정치보다 3억7천만 달러 적었다.
15일 관세청의 `3월 수출입 동향 확정치'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이 374억5천만 달러, 수입이 356억3천만 달러로 18억2천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지난달에 이어 무역수지는 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이로써 올 1분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2% 증가한 1천14억 달러, 수입은 37.3% 증가한 981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32억7천만 달러 흑자였다.
수출은 세계 경제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고 수입은 경기 회복, 유가 상승에 따라 원유 등 원자재와 자본재 수입이 증가했다.
지난달의 경우 수출은 반도체, 승용차, 액정장치 등 주력품목의 수출 호조가 지속하면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3% 증가했고 전월보다는 13.0% 늘었다.
품목별로는 승용차 수출액이 전월보다 31.2% 증가한 것을 비롯해 액정장치 21.2%, 반도체 12.1%, 석유제품 13.3%, 무선통신기기 12.3% 각각 증가했다. 선박은 33.1% 감소했다.
지난달 수출액은 경기침체 이전인 2008년 7월 이후 최대이면서 최근 10년 내 월 수출액으로는 네번째이다.
수입은 기계ㆍ정밀기기(84.4%), 반도체(35.2%) 등 자본재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1.2% 증가했고 원유(81.5%), 비철금속(83.1%) 등 원자재가 50.9%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 동남아, 유럽연합(EU) 등에서 흑자를 보였고 일본, 중동은 적자를 나타냈다.
중국은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51.0% 증가한 97억7천500만 달러, 수입은 25.3% 증가한 57억5천800만 달러로 40억1천800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동남아는 수출 76억500만 달러, 수입 51억200만 달러로 25억300만 달러 흑자였고, EU는 수출과 수입이 각각 47억7천만 달러, 34억5천400만 달러로 13억1천600만 달러 흑자였다.
반면 일본은 수출이 36.9% 증가한 21억4천200만 달러, 수입은 48.1% 증가한 57억5천600만 달러로 36억1천300만 달러 적자를 보였고, 중동은 수출 21억8천만 달러, 수입 64억3천100만 달러로 42억5천200만 달러 적자였다.
지난달 확정치는 이달 초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잠정치보다 수출은 2억3천만 달러 줄었고 수입은 1억4천만 달러 늘어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잠정치보다 3억7천만 달러 적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월 무역흑자 18억 달러…2개월째 흑자
-
- 입력 2010-04-15 13:14:11
지난달 반도체, 승용차 등 주력품목의 수출 호조로 무역수지가 2개월 연속 흑자를 보였다.
15일 관세청의 `3월 수출입 동향 확정치'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이 374억5천만 달러, 수입이 356억3천만 달러로 18억2천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지난달에 이어 무역수지는 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이로써 올 1분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2% 증가한 1천14억 달러, 수입은 37.3% 증가한 981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32억7천만 달러 흑자였다.
수출은 세계 경제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고 수입은 경기 회복, 유가 상승에 따라 원유 등 원자재와 자본재 수입이 증가했다.
지난달의 경우 수출은 반도체, 승용차, 액정장치 등 주력품목의 수출 호조가 지속하면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3% 증가했고 전월보다는 13.0% 늘었다.
품목별로는 승용차 수출액이 전월보다 31.2% 증가한 것을 비롯해 액정장치 21.2%, 반도체 12.1%, 석유제품 13.3%, 무선통신기기 12.3% 각각 증가했다. 선박은 33.1% 감소했다.
지난달 수출액은 경기침체 이전인 2008년 7월 이후 최대이면서 최근 10년 내 월 수출액으로는 네번째이다.
수입은 기계ㆍ정밀기기(84.4%), 반도체(35.2%) 등 자본재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1.2% 증가했고 원유(81.5%), 비철금속(83.1%) 등 원자재가 50.9%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 동남아, 유럽연합(EU) 등에서 흑자를 보였고 일본, 중동은 적자를 나타냈다.
중국은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51.0% 증가한 97억7천500만 달러, 수입은 25.3% 증가한 57억5천800만 달러로 40억1천800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동남아는 수출 76억500만 달러, 수입 51억200만 달러로 25억300만 달러 흑자였고, EU는 수출과 수입이 각각 47억7천만 달러, 34억5천400만 달러로 13억1천600만 달러 흑자였다.
반면 일본은 수출이 36.9% 증가한 21억4천200만 달러, 수입은 48.1% 증가한 57억5천600만 달러로 36억1천300만 달러 적자를 보였고, 중동은 수출 21억8천만 달러, 수입 64억3천100만 달러로 42억5천200만 달러 적자였다.
지난달 확정치는 이달 초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잠정치보다 수출은 2억3천만 달러 줄었고 수입은 1억4천만 달러 늘어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잠정치보다 3억7천만 달러 적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