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월드컵 독점중계 수수방관 질타
입력 2010.04.15 (20:50)
수정 2010.04.15 (21: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SBS가 월드컵 공동중계 약속을 일방적으로 깨고 단독 중계하려는 시도에 대해 여야는 오늘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강한 질타를 했습니다.
특히 지난 동계올림픽 당시 SBS의 방송가시청 비율이 90%를 넘었다는 부분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덕원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림픽과 월드컵의 SBS 독점 중계권 논란의 핵심은 과연 SBS가 보편적 시청권을 충족할 수 있느냐입니다.
방송통신위는 SBS가 보편적 시청권 기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전국 가구의 90%를 가시청권에 둔다는 규정을 충족한다고 밝혀왔습니다.
지상파로 86.4% 거기에 케이블 등 유료채널까지 합하면 92.1%가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나라당 김효재 의원은 이같은 방통위의 지상파 가시청권 계산이 정확한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의원은 SBS의 가시청권 비율이 임의 기준을 적용해 산출됐기 때문에 90%를 넘겼는지 여부를 확인할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김효재(한나라당 의원) : "최소한 실측은 안되도 샘플링은 제대로 해야 하는데 완전 주먹구구다. 보편적 시청권이라는 중요한 기준 세우는데 미흡하다."
<녹취>최시중(방통위원장) : "과학적으로 물어 본다면 과학적인 근거를 댈 수 없다는 것을 말씀 드린다."
여야 의원들은 따라서 보편적 시청권 회복을 위해 방통위가 SBS에 대한 방송 재허가권 검토 등 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녹취>이용경(창조한국당 의원) : "왜 할 수 있는게 없어요 적당히 비틀면 되지만 방송 재허가권도 갖고 있잖아요."
<녹취>안형환(한나라당 의원 : "사는 지역에 따라서 방송을 볼 수 없다는 것은 안됩니다."
<녹취>김창수(자유선진당 의원) : "보편적 시청권 막중한 책임 의식 갖고 팔짱 풀고..."
<녹취>전병헌(민주당 의원) : "코리아 풀제가 깨진다는 사실을 간파하고도 감시하고도 방통위에서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은 방통위에서 1차적 책임을 질 부분 있다는 거지."
<녹취>김부겸(민주당 의원) : "특정 언론사에 의해서 코리안 풀 깨고 하는 문제 많은 사람들 지적하고 있습니다."
<녹취>강승규(한나라당 의원) : "월드컵에서는 공동 중계권이 원만히 하겠다고 했는데 분쟁 심화되고 있습니다."
<녹취>송훈석(무소속 의원) : "합의가 안될 때 최악으로 시정 명령 고려해야 하죠?"
<녹취>진성호(한나라당 의원) : "한국 경기나 준결승 부분에 있어서는 K-1TV 광고 없는 채널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여야의원들은 특히 SBS의 단독중계는 국민의 피해로 직결된다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SBS가 월드컵 공동중계 약속을 일방적으로 깨고 단독 중계하려는 시도에 대해 여야는 오늘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강한 질타를 했습니다.
특히 지난 동계올림픽 당시 SBS의 방송가시청 비율이 90%를 넘었다는 부분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덕원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림픽과 월드컵의 SBS 독점 중계권 논란의 핵심은 과연 SBS가 보편적 시청권을 충족할 수 있느냐입니다.
방송통신위는 SBS가 보편적 시청권 기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전국 가구의 90%를 가시청권에 둔다는 규정을 충족한다고 밝혀왔습니다.
지상파로 86.4% 거기에 케이블 등 유료채널까지 합하면 92.1%가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나라당 김효재 의원은 이같은 방통위의 지상파 가시청권 계산이 정확한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의원은 SBS의 가시청권 비율이 임의 기준을 적용해 산출됐기 때문에 90%를 넘겼는지 여부를 확인할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김효재(한나라당 의원) : "최소한 실측은 안되도 샘플링은 제대로 해야 하는데 완전 주먹구구다. 보편적 시청권이라는 중요한 기준 세우는데 미흡하다."
<녹취>최시중(방통위원장) : "과학적으로 물어 본다면 과학적인 근거를 댈 수 없다는 것을 말씀 드린다."
여야 의원들은 따라서 보편적 시청권 회복을 위해 방통위가 SBS에 대한 방송 재허가권 검토 등 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녹취>이용경(창조한국당 의원) : "왜 할 수 있는게 없어요 적당히 비틀면 되지만 방송 재허가권도 갖고 있잖아요."
<녹취>안형환(한나라당 의원 : "사는 지역에 따라서 방송을 볼 수 없다는 것은 안됩니다."
<녹취>김창수(자유선진당 의원) : "보편적 시청권 막중한 책임 의식 갖고 팔짱 풀고..."
<녹취>전병헌(민주당 의원) : "코리아 풀제가 깨진다는 사실을 간파하고도 감시하고도 방통위에서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은 방통위에서 1차적 책임을 질 부분 있다는 거지."
<녹취>김부겸(민주당 의원) : "특정 언론사에 의해서 코리안 풀 깨고 하는 문제 많은 사람들 지적하고 있습니다."
<녹취>강승규(한나라당 의원) : "월드컵에서는 공동 중계권이 원만히 하겠다고 했는데 분쟁 심화되고 있습니다."
<녹취>송훈석(무소속 의원) : "합의가 안될 때 최악으로 시정 명령 고려해야 하죠?"
<녹취>진성호(한나라당 의원) : "한국 경기나 준결승 부분에 있어서는 K-1TV 광고 없는 채널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여야의원들은 특히 SBS의 단독중계는 국민의 피해로 직결된다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야, 월드컵 독점중계 수수방관 질타
-
- 입력 2010-04-15 20:50:01
- 수정2010-04-15 21:16:23

<앵커 멘트>
SBS가 월드컵 공동중계 약속을 일방적으로 깨고 단독 중계하려는 시도에 대해 여야는 오늘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강한 질타를 했습니다.
특히 지난 동계올림픽 당시 SBS의 방송가시청 비율이 90%를 넘었다는 부분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덕원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림픽과 월드컵의 SBS 독점 중계권 논란의 핵심은 과연 SBS가 보편적 시청권을 충족할 수 있느냐입니다.
방송통신위는 SBS가 보편적 시청권 기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전국 가구의 90%를 가시청권에 둔다는 규정을 충족한다고 밝혀왔습니다.
지상파로 86.4% 거기에 케이블 등 유료채널까지 합하면 92.1%가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나라당 김효재 의원은 이같은 방통위의 지상파 가시청권 계산이 정확한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의원은 SBS의 가시청권 비율이 임의 기준을 적용해 산출됐기 때문에 90%를 넘겼는지 여부를 확인할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김효재(한나라당 의원) : "최소한 실측은 안되도 샘플링은 제대로 해야 하는데 완전 주먹구구다. 보편적 시청권이라는 중요한 기준 세우는데 미흡하다."
<녹취>최시중(방통위원장) : "과학적으로 물어 본다면 과학적인 근거를 댈 수 없다는 것을 말씀 드린다."
여야 의원들은 따라서 보편적 시청권 회복을 위해 방통위가 SBS에 대한 방송 재허가권 검토 등 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녹취>이용경(창조한국당 의원) : "왜 할 수 있는게 없어요 적당히 비틀면 되지만 방송 재허가권도 갖고 있잖아요."
<녹취>안형환(한나라당 의원 : "사는 지역에 따라서 방송을 볼 수 없다는 것은 안됩니다."
<녹취>김창수(자유선진당 의원) : "보편적 시청권 막중한 책임 의식 갖고 팔짱 풀고..."
<녹취>전병헌(민주당 의원) : "코리아 풀제가 깨진다는 사실을 간파하고도 감시하고도 방통위에서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은 방통위에서 1차적 책임을 질 부분 있다는 거지."
<녹취>김부겸(민주당 의원) : "특정 언론사에 의해서 코리안 풀 깨고 하는 문제 많은 사람들 지적하고 있습니다."
<녹취>강승규(한나라당 의원) : "월드컵에서는 공동 중계권이 원만히 하겠다고 했는데 분쟁 심화되고 있습니다."
<녹취>송훈석(무소속 의원) : "합의가 안될 때 최악으로 시정 명령 고려해야 하죠?"
<녹취>진성호(한나라당 의원) : "한국 경기나 준결승 부분에 있어서는 K-1TV 광고 없는 채널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여야의원들은 특히 SBS의 단독중계는 국민의 피해로 직결된다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SBS가 월드컵 공동중계 약속을 일방적으로 깨고 단독 중계하려는 시도에 대해 여야는 오늘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강한 질타를 했습니다.
특히 지난 동계올림픽 당시 SBS의 방송가시청 비율이 90%를 넘었다는 부분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덕원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림픽과 월드컵의 SBS 독점 중계권 논란의 핵심은 과연 SBS가 보편적 시청권을 충족할 수 있느냐입니다.
방송통신위는 SBS가 보편적 시청권 기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전국 가구의 90%를 가시청권에 둔다는 규정을 충족한다고 밝혀왔습니다.
지상파로 86.4% 거기에 케이블 등 유료채널까지 합하면 92.1%가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나라당 김효재 의원은 이같은 방통위의 지상파 가시청권 계산이 정확한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의원은 SBS의 가시청권 비율이 임의 기준을 적용해 산출됐기 때문에 90%를 넘겼는지 여부를 확인할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김효재(한나라당 의원) : "최소한 실측은 안되도 샘플링은 제대로 해야 하는데 완전 주먹구구다. 보편적 시청권이라는 중요한 기준 세우는데 미흡하다."
<녹취>최시중(방통위원장) : "과학적으로 물어 본다면 과학적인 근거를 댈 수 없다는 것을 말씀 드린다."
여야 의원들은 따라서 보편적 시청권 회복을 위해 방통위가 SBS에 대한 방송 재허가권 검토 등 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녹취>이용경(창조한국당 의원) : "왜 할 수 있는게 없어요 적당히 비틀면 되지만 방송 재허가권도 갖고 있잖아요."
<녹취>안형환(한나라당 의원 : "사는 지역에 따라서 방송을 볼 수 없다는 것은 안됩니다."
<녹취>김창수(자유선진당 의원) : "보편적 시청권 막중한 책임 의식 갖고 팔짱 풀고..."
<녹취>전병헌(민주당 의원) : "코리아 풀제가 깨진다는 사실을 간파하고도 감시하고도 방통위에서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은 방통위에서 1차적 책임을 질 부분 있다는 거지."
<녹취>김부겸(민주당 의원) : "특정 언론사에 의해서 코리안 풀 깨고 하는 문제 많은 사람들 지적하고 있습니다."
<녹취>강승규(한나라당 의원) : "월드컵에서는 공동 중계권이 원만히 하겠다고 했는데 분쟁 심화되고 있습니다."
<녹취>송훈석(무소속 의원) : "합의가 안될 때 최악으로 시정 명령 고려해야 하죠?"
<녹취>진성호(한나라당 의원) : "한국 경기나 준결승 부분에 있어서는 K-1TV 광고 없는 채널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여야의원들은 특히 SBS의 단독중계는 국민의 피해로 직결된다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
-
김덕원 기자 kim0526@kbs.co.kr
김덕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