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가 노조 전임자 활동 중 유급을 인정하는 이른바 '타임오프' 한도와 관련해 오늘까지 노사 간 합의점 찾기에 나섭니다.
하지만 양측 사이의 의견 차가 커 합의점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국현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는 7월부터 사용자가 노조 전임자에게 임금을 주는 게 전면 금지됩니다.
단 노조 관련 일을 하더라도 노사간 합의에 따라 사측이 임금을 주는 예외조항인 이른바 '타임오프'를 사업장 규모에 따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가 오늘 오후 회의를 열고 이 '타임오프' 한도를 어떻게 할 것인지 노사간 합의점 찾기에 나섭니다.
하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 않습니다. 오늘 새벽까지 계속된 회의에서도 노동계와 경영계는 합의점을 찾는데 실패했습니다.
경영계는 '타임오프'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 수를 적절한 수준에서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사용자와의 교섭과 협의, 고충처리 등 노사 공통의 이해관계 활동에 전임자 외에 다른 간부들이 참여해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라는 법 취지가 무색해진다는 것입니다.
반면 노동계는 '타임오프' 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 등 노조 전임자 수에 상한선을 두지 말자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 최소한의 규제만 정하고 나머지는 노사 자율에 맡길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오늘 회의에서도 노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공익위원들은 다음달 15일까지 국회의 의견을 들어 최종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
KBS뉴스 국현호입니다.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가 노조 전임자 활동 중 유급을 인정하는 이른바 '타임오프' 한도와 관련해 오늘까지 노사 간 합의점 찾기에 나섭니다.
하지만 양측 사이의 의견 차가 커 합의점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국현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는 7월부터 사용자가 노조 전임자에게 임금을 주는 게 전면 금지됩니다.
단 노조 관련 일을 하더라도 노사간 합의에 따라 사측이 임금을 주는 예외조항인 이른바 '타임오프'를 사업장 규모에 따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가 오늘 오후 회의를 열고 이 '타임오프' 한도를 어떻게 할 것인지 노사간 합의점 찾기에 나섭니다.
하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 않습니다. 오늘 새벽까지 계속된 회의에서도 노동계와 경영계는 합의점을 찾는데 실패했습니다.
경영계는 '타임오프'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 수를 적절한 수준에서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사용자와의 교섭과 협의, 고충처리 등 노사 공통의 이해관계 활동에 전임자 외에 다른 간부들이 참여해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라는 법 취지가 무색해진다는 것입니다.
반면 노동계는 '타임오프' 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 등 노조 전임자 수에 상한선을 두지 말자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 최소한의 규제만 정하고 나머지는 노사 자율에 맡길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오늘 회의에서도 노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공익위원들은 다음달 15일까지 국회의 의견을 들어 최종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
KBS뉴스 국현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근면위, ‘타임 오프’ 합의 나서…의견차 커
-
- 입력 2010-04-30 13:58:41

<앵커 멘트>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가 노조 전임자 활동 중 유급을 인정하는 이른바 '타임오프' 한도와 관련해 오늘까지 노사 간 합의점 찾기에 나섭니다.
하지만 양측 사이의 의견 차가 커 합의점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국현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는 7월부터 사용자가 노조 전임자에게 임금을 주는 게 전면 금지됩니다.
단 노조 관련 일을 하더라도 노사간 합의에 따라 사측이 임금을 주는 예외조항인 이른바 '타임오프'를 사업장 규모에 따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가 오늘 오후 회의를 열고 이 '타임오프' 한도를 어떻게 할 것인지 노사간 합의점 찾기에 나섭니다.
하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 않습니다. 오늘 새벽까지 계속된 회의에서도 노동계와 경영계는 합의점을 찾는데 실패했습니다.
경영계는 '타임오프'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 수를 적절한 수준에서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사용자와의 교섭과 협의, 고충처리 등 노사 공통의 이해관계 활동에 전임자 외에 다른 간부들이 참여해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라는 법 취지가 무색해진다는 것입니다.
반면 노동계는 '타임오프' 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 등 노조 전임자 수에 상한선을 두지 말자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 최소한의 규제만 정하고 나머지는 노사 자율에 맡길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오늘 회의에서도 노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공익위원들은 다음달 15일까지 국회의 의견을 들어 최종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
KBS뉴스 국현호입니다.
-
-
국현호 기자 eichitwo@kbs.co.kr
국현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