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천안함 침몰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민.군 합동조사단이 천안함의 재질과는 다른 파편을 발견해 분석 중입니다.
원인 조사에 박차가 가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방부 취재기자. 김희용 기자.
<질문> 천안함 재질과 다른 파편이라는 데 구체적으로 어떤 겁니까?
<답변>
네. 김태영 국방장관은 천안함 함체 등에서 잔해를 수거한 결과, 천안함 재질과는 다른 금속과 플라스틱 조각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3밀리미터에서 4,5센티미터에 이르는 금속 4조각과 플라스틱 1조각으로 알루미늄 파편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김태영 국방부장관: "알루미늄 편 쪼가리인데 우리 것과 좀 다른 것으로 본다. 금속 성분인데 뭔가 특이하다는 것이다."
군은 지금까지 5백49점의 채증물을 수거했고, 2백90여 점을 감정 의뢰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이 오늘 밝힌 알루미늄 파편은 군이 물리적 분석을 마친 50건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천안함과 다른 재질인만큼 현재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김 장관은 설명했습니다.
<녹취>김태영(국방부장관): "우리의 일상적인 것이 아닌 것을 찾아내서 우리를 공격했다고 생각하고 우리를 공격한 물체와 관계가 되는지 점검하고 있습니다."
<질문> 그렇다면 알루미늄 파편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답변>
천안함을 공격한 수중무기는 음향감응식 중어뢰일 가능성이 높다고 군사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보통 6-7미터에 이르는 중어뢰는 부력을 유지하기 위해 대체로 가볍고 튼튼한 경금속으로 만듭니다.
목표물을 감지하는 센서와 음향탐지기, 그리고 폭약과 추진부 등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앞부분 2미터 가량은 알루미늄 재질로 덮혀있습니다.
목표물에 근접해 폭발하면서 폭약 부분을 둘러싼 중간부분은 대부분 녹아 없어집니다.
하지만 센서를 둘러싸고 있는 앞 부분 파편은 폭발시 발생하는 가스버블과 함께 목표물 안으로 섞여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따라서 함체 안에서 알루미늄 파편 조각이 발견됐다면 어뢰 앞쪽 파편일 가능성이 있고, 어뢰에 의해 피격됐다는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비파괴 검사 등 정밀 검사를 거쳐야 어떤 물체인지, 어느나라 제품인지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최근에 북한이 인터넷을 통해 천안함 침몰과 관련한 극언도 일삼고 있죠?
<답변>
최근 한 탈북단체의 인터넷 사이트에 탈북자들을 용서하지 않겠다는 협박 게시문이 실렸습니다.
고향을 버리고 달아난 배신자라는 것입니다.
특히, 북한의 우월함을 언급하면서 "천안함이 하나 더 가라앉을지도 모르겠다"는 극언까지 퍼부었습니다.
또다른 탈북단체 사이트에는 자신이 한국인임을 애써 강조하며 탈북 관련 정보를 캐내려는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이들 글의 아이피 주소는 한국내에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인터뷰> 김성민(자유북한방송 대표): "북한에서 나름대로 정교하게 위장하고 있기 때문에, (IP가)중국이나 일본 같은 곳으로 하루에 나라가 바뀌고 있어요."
2000년대 이후 북한은 인터넷을 통한 대남 선전전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영향력이 커진 포털사이트 등을 통해 여론조작을 하려한다는 것이 북한 통일전선부 출신 탈북자의 증언입니다.
<질문> 어제 천안함 희생장병들의 영결식이 열렸는데, 생존장병들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거 같은데요?
<답변>
네. 천안함 생존장병들은 어제 영결식에서 전우들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습니다.
이들은 전우들을 구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루 두 차례 군의관들의 건강 점검과 정신과 상담을 받고 있지만, 아직도 일부는 악몽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마치 죄인인 것처럼 외부와의 접촉도 극도로 꺼리고 있습니다.
부상으로 입원한 사람들을 제외하곤, 부사관 이상 간부들도 모두 평택 해군2함대의 생활관에서 합숙하고 있습니다.
평생 지워지지 않을 상처를 안고 살아야 하는 이들에게, 희생장병 못지 않은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질문> 천안함 실종자 수색에 참여했다 실종된 금양 98호 실종 선원들도 의사자에 준해 대우하기로 정부가 결정했죠?
<답변>
네. 정운찬 국무총리는 오늘 천안함 관련 관계장관 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금양98호 선원들의 고귀한 희생과 가족들의 크나큰 슬픔을 잘 알고 있으며 이에 걸맞는 예우를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금양 98호 실종 선원들과 관련해, 의사상자 심의위원회 등 절차에 따르되 그 전에 의사자에 준해 필요한 후속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김창영 총리공보실장은 시신으로 발견된 선원 두 명은 빠른 시일안에 우선적으로 의사자 심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또 다음달 중에 서훈 등을 포함해 금양호 선원들을 포상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정운찬 총리는 금양 98호 희생 선원들의 빈소가 마련되는대로 조문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천안함 침몰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민.군 합동조사단이 천안함의 재질과는 다른 파편을 발견해 분석 중입니다.
원인 조사에 박차가 가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방부 취재기자. 김희용 기자.
<질문> 천안함 재질과 다른 파편이라는 데 구체적으로 어떤 겁니까?
<답변>
네. 김태영 국방장관은 천안함 함체 등에서 잔해를 수거한 결과, 천안함 재질과는 다른 금속과 플라스틱 조각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3밀리미터에서 4,5센티미터에 이르는 금속 4조각과 플라스틱 1조각으로 알루미늄 파편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김태영 국방부장관: "알루미늄 편 쪼가리인데 우리 것과 좀 다른 것으로 본다. 금속 성분인데 뭔가 특이하다는 것이다."
군은 지금까지 5백49점의 채증물을 수거했고, 2백90여 점을 감정 의뢰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이 오늘 밝힌 알루미늄 파편은 군이 물리적 분석을 마친 50건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천안함과 다른 재질인만큼 현재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김 장관은 설명했습니다.
<녹취>김태영(국방부장관): "우리의 일상적인 것이 아닌 것을 찾아내서 우리를 공격했다고 생각하고 우리를 공격한 물체와 관계가 되는지 점검하고 있습니다."
<질문> 그렇다면 알루미늄 파편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답변>
천안함을 공격한 수중무기는 음향감응식 중어뢰일 가능성이 높다고 군사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보통 6-7미터에 이르는 중어뢰는 부력을 유지하기 위해 대체로 가볍고 튼튼한 경금속으로 만듭니다.
목표물을 감지하는 센서와 음향탐지기, 그리고 폭약과 추진부 등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앞부분 2미터 가량은 알루미늄 재질로 덮혀있습니다.
목표물에 근접해 폭발하면서 폭약 부분을 둘러싼 중간부분은 대부분 녹아 없어집니다.
하지만 센서를 둘러싸고 있는 앞 부분 파편은 폭발시 발생하는 가스버블과 함께 목표물 안으로 섞여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따라서 함체 안에서 알루미늄 파편 조각이 발견됐다면 어뢰 앞쪽 파편일 가능성이 있고, 어뢰에 의해 피격됐다는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비파괴 검사 등 정밀 검사를 거쳐야 어떤 물체인지, 어느나라 제품인지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최근에 북한이 인터넷을 통해 천안함 침몰과 관련한 극언도 일삼고 있죠?
<답변>
최근 한 탈북단체의 인터넷 사이트에 탈북자들을 용서하지 않겠다는 협박 게시문이 실렸습니다.
고향을 버리고 달아난 배신자라는 것입니다.
특히, 북한의 우월함을 언급하면서 "천안함이 하나 더 가라앉을지도 모르겠다"는 극언까지 퍼부었습니다.
또다른 탈북단체 사이트에는 자신이 한국인임을 애써 강조하며 탈북 관련 정보를 캐내려는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이들 글의 아이피 주소는 한국내에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인터뷰> 김성민(자유북한방송 대표): "북한에서 나름대로 정교하게 위장하고 있기 때문에, (IP가)중국이나 일본 같은 곳으로 하루에 나라가 바뀌고 있어요."
2000년대 이후 북한은 인터넷을 통한 대남 선전전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영향력이 커진 포털사이트 등을 통해 여론조작을 하려한다는 것이 북한 통일전선부 출신 탈북자의 증언입니다.
<질문> 어제 천안함 희생장병들의 영결식이 열렸는데, 생존장병들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거 같은데요?
<답변>
네. 천안함 생존장병들은 어제 영결식에서 전우들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습니다.
이들은 전우들을 구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루 두 차례 군의관들의 건강 점검과 정신과 상담을 받고 있지만, 아직도 일부는 악몽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마치 죄인인 것처럼 외부와의 접촉도 극도로 꺼리고 있습니다.
부상으로 입원한 사람들을 제외하곤, 부사관 이상 간부들도 모두 평택 해군2함대의 생활관에서 합숙하고 있습니다.
평생 지워지지 않을 상처를 안고 살아야 하는 이들에게, 희생장병 못지 않은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질문> 천안함 실종자 수색에 참여했다 실종된 금양 98호 실종 선원들도 의사자에 준해 대우하기로 정부가 결정했죠?
<답변>
네. 정운찬 국무총리는 오늘 천안함 관련 관계장관 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금양98호 선원들의 고귀한 희생과 가족들의 크나큰 슬픔을 잘 알고 있으며 이에 걸맞는 예우를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금양 98호 실종 선원들과 관련해, 의사상자 심의위원회 등 절차에 따르되 그 전에 의사자에 준해 필요한 후속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김창영 총리공보실장은 시신으로 발견된 선원 두 명은 빠른 시일안에 우선적으로 의사자 심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또 다음달 중에 서훈 등을 포함해 금양호 선원들을 포상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정운찬 총리는 금양 98호 희생 선원들의 빈소가 마련되는대로 조문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현장] 국방장관 “알루미늄 파편 분석 중”
-
- 입력 2010-04-30 23:29:35

<앵커 멘트>
천안함 침몰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민.군 합동조사단이 천안함의 재질과는 다른 파편을 발견해 분석 중입니다.
원인 조사에 박차가 가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방부 취재기자. 김희용 기자.
<질문> 천안함 재질과 다른 파편이라는 데 구체적으로 어떤 겁니까?
<답변>
네. 김태영 국방장관은 천안함 함체 등에서 잔해를 수거한 결과, 천안함 재질과는 다른 금속과 플라스틱 조각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3밀리미터에서 4,5센티미터에 이르는 금속 4조각과 플라스틱 1조각으로 알루미늄 파편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김태영 국방부장관: "알루미늄 편 쪼가리인데 우리 것과 좀 다른 것으로 본다. 금속 성분인데 뭔가 특이하다는 것이다."
군은 지금까지 5백49점의 채증물을 수거했고, 2백90여 점을 감정 의뢰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이 오늘 밝힌 알루미늄 파편은 군이 물리적 분석을 마친 50건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천안함과 다른 재질인만큼 현재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김 장관은 설명했습니다.
<녹취>김태영(국방부장관): "우리의 일상적인 것이 아닌 것을 찾아내서 우리를 공격했다고 생각하고 우리를 공격한 물체와 관계가 되는지 점검하고 있습니다."
<질문> 그렇다면 알루미늄 파편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답변>
천안함을 공격한 수중무기는 음향감응식 중어뢰일 가능성이 높다고 군사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보통 6-7미터에 이르는 중어뢰는 부력을 유지하기 위해 대체로 가볍고 튼튼한 경금속으로 만듭니다.
목표물을 감지하는 센서와 음향탐지기, 그리고 폭약과 추진부 등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앞부분 2미터 가량은 알루미늄 재질로 덮혀있습니다.
목표물에 근접해 폭발하면서 폭약 부분을 둘러싼 중간부분은 대부분 녹아 없어집니다.
하지만 센서를 둘러싸고 있는 앞 부분 파편은 폭발시 발생하는 가스버블과 함께 목표물 안으로 섞여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따라서 함체 안에서 알루미늄 파편 조각이 발견됐다면 어뢰 앞쪽 파편일 가능성이 있고, 어뢰에 의해 피격됐다는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비파괴 검사 등 정밀 검사를 거쳐야 어떤 물체인지, 어느나라 제품인지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최근에 북한이 인터넷을 통해 천안함 침몰과 관련한 극언도 일삼고 있죠?
<답변>
최근 한 탈북단체의 인터넷 사이트에 탈북자들을 용서하지 않겠다는 협박 게시문이 실렸습니다.
고향을 버리고 달아난 배신자라는 것입니다.
특히, 북한의 우월함을 언급하면서 "천안함이 하나 더 가라앉을지도 모르겠다"는 극언까지 퍼부었습니다.
또다른 탈북단체 사이트에는 자신이 한국인임을 애써 강조하며 탈북 관련 정보를 캐내려는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이들 글의 아이피 주소는 한국내에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인터뷰> 김성민(자유북한방송 대표): "북한에서 나름대로 정교하게 위장하고 있기 때문에, (IP가)중국이나 일본 같은 곳으로 하루에 나라가 바뀌고 있어요."
2000년대 이후 북한은 인터넷을 통한 대남 선전전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영향력이 커진 포털사이트 등을 통해 여론조작을 하려한다는 것이 북한 통일전선부 출신 탈북자의 증언입니다.
<질문> 어제 천안함 희생장병들의 영결식이 열렸는데, 생존장병들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거 같은데요?
<답변>
네. 천안함 생존장병들은 어제 영결식에서 전우들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습니다.
이들은 전우들을 구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루 두 차례 군의관들의 건강 점검과 정신과 상담을 받고 있지만, 아직도 일부는 악몽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마치 죄인인 것처럼 외부와의 접촉도 극도로 꺼리고 있습니다.
부상으로 입원한 사람들을 제외하곤, 부사관 이상 간부들도 모두 평택 해군2함대의 생활관에서 합숙하고 있습니다.
평생 지워지지 않을 상처를 안고 살아야 하는 이들에게, 희생장병 못지 않은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질문> 천안함 실종자 수색에 참여했다 실종된 금양 98호 실종 선원들도 의사자에 준해 대우하기로 정부가 결정했죠?
<답변>
네. 정운찬 국무총리는 오늘 천안함 관련 관계장관 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금양98호 선원들의 고귀한 희생과 가족들의 크나큰 슬픔을 잘 알고 있으며 이에 걸맞는 예우를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금양 98호 실종 선원들과 관련해, 의사상자 심의위원회 등 절차에 따르되 그 전에 의사자에 준해 필요한 후속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김창영 총리공보실장은 시신으로 발견된 선원 두 명은 빠른 시일안에 우선적으로 의사자 심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또 다음달 중에 서훈 등을 포함해 금양호 선원들을 포상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정운찬 총리는 금양 98호 희생 선원들의 빈소가 마련되는대로 조문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
김희용 기자 emaninny@kbs.co.kr
김희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