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농업인턴이라는 말 들어본 적 있습니까?
농업을 시작하기 전 선도 농가에서 농사를 같이 지으면서 미리 농사기술을 배우는 제도인데요.
농촌 정착을 돕고 농촌 일손도 덜어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김기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소기업에 다니던 30대 중반의 최혜은 씨, 두 달째 시설하우스에서 농업 인턴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한 달 120만 원의 임금도 받고 덤으로 평소 관심 있던 친환경 농법도 배우고 있습니다.
<인터뷰>최혜은(나주시 남평읍) : "육체적으론 힘들어도 작물들이 손 가는 대로 잘 자라는 것 보니까 재미도 있고 보람도 있어요."
항상 일손이 모자란 농가에선 천군만마를 얻은 것 같습니다.
<인터뷰>김명성(나주시 남평읍) : "일단 배우려는 의욕이 있어서 열심히 하고 젊기 때문에 가르쳐 주면 금방 알아요."
진성원 씨는 2년 전 농업 인턴으로 일을 배웠던 것을 계기로 과수원을 시작했습니다.
미리 배워 둔 친환경 감 재배 기술을 직접 시험해보면서 하루하루 시간 가는 줄 모릅니다.
<인터뷰>진성원(무안군 현경면) : "자신을 갖고 할 수 있다는 것, 관행농법보다 낫다고 생각하니까 실천하고 있거든요. 자신감을 갖는게 중요해요."
전남에서 지난 2005년부터 농업 인턴을 거쳐간 사람은 2백여명.
귀농 초기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90% 정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했습니다.
KBS 뉴스 김기중입니다.
농업인턴이라는 말 들어본 적 있습니까?
농업을 시작하기 전 선도 농가에서 농사를 같이 지으면서 미리 농사기술을 배우는 제도인데요.
농촌 정착을 돕고 농촌 일손도 덜어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김기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소기업에 다니던 30대 중반의 최혜은 씨, 두 달째 시설하우스에서 농업 인턴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한 달 120만 원의 임금도 받고 덤으로 평소 관심 있던 친환경 농법도 배우고 있습니다.
<인터뷰>최혜은(나주시 남평읍) : "육체적으론 힘들어도 작물들이 손 가는 대로 잘 자라는 것 보니까 재미도 있고 보람도 있어요."
항상 일손이 모자란 농가에선 천군만마를 얻은 것 같습니다.
<인터뷰>김명성(나주시 남평읍) : "일단 배우려는 의욕이 있어서 열심히 하고 젊기 때문에 가르쳐 주면 금방 알아요."
진성원 씨는 2년 전 농업 인턴으로 일을 배웠던 것을 계기로 과수원을 시작했습니다.
미리 배워 둔 친환경 감 재배 기술을 직접 시험해보면서 하루하루 시간 가는 줄 모릅니다.
<인터뷰>진성원(무안군 현경면) : "자신을 갖고 할 수 있다는 것, 관행농법보다 낫다고 생각하니까 실천하고 있거든요. 자신감을 갖는게 중요해요."
전남에서 지난 2005년부터 농업 인턴을 거쳐간 사람은 2백여명.
귀농 초기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90% 정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했습니다.
KBS 뉴스 김기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업 인턴제’ 1석 2조 효과
-
- 입력 2010-05-08 08:45:47
<앵커 멘트>
농업인턴이라는 말 들어본 적 있습니까?
농업을 시작하기 전 선도 농가에서 농사를 같이 지으면서 미리 농사기술을 배우는 제도인데요.
농촌 정착을 돕고 농촌 일손도 덜어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김기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소기업에 다니던 30대 중반의 최혜은 씨, 두 달째 시설하우스에서 농업 인턴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한 달 120만 원의 임금도 받고 덤으로 평소 관심 있던 친환경 농법도 배우고 있습니다.
<인터뷰>최혜은(나주시 남평읍) : "육체적으론 힘들어도 작물들이 손 가는 대로 잘 자라는 것 보니까 재미도 있고 보람도 있어요."
항상 일손이 모자란 농가에선 천군만마를 얻은 것 같습니다.
<인터뷰>김명성(나주시 남평읍) : "일단 배우려는 의욕이 있어서 열심히 하고 젊기 때문에 가르쳐 주면 금방 알아요."
진성원 씨는 2년 전 농업 인턴으로 일을 배웠던 것을 계기로 과수원을 시작했습니다.
미리 배워 둔 친환경 감 재배 기술을 직접 시험해보면서 하루하루 시간 가는 줄 모릅니다.
<인터뷰>진성원(무안군 현경면) : "자신을 갖고 할 수 있다는 것, 관행농법보다 낫다고 생각하니까 실천하고 있거든요. 자신감을 갖는게 중요해요."
전남에서 지난 2005년부터 농업 인턴을 거쳐간 사람은 2백여명.
귀농 초기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90% 정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했습니다.
KBS 뉴스 김기중입니다.
-
-
김기중 기자 goodnews@kbs.co.kr
김기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