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텐트·컨테이너…기상천외 투표소 등장

입력 2010.05.28 (07: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몽골식 텐트, 컨테이너 박스, 식당, 체육관, 지하 주차장, 사우나, 스크린 골프장...

이번 지방선거 투표일인 오는 6월 2일 전국적으로 처음 선보일 예정인 기상천외한 투표소의 형태들이다.

이런 특이한 투표소들이 등장한 것은 지난 1월 25일 공직선거법이 개정돼 교회와 성당 등 종교시설을 투표소로 활용할 수 없게 된데다 사상 처음으로 8개 선거가 동시에 진행됨에 따라 종전보다 훨씬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만 마땅한 장소를 물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 투표구별로 중간지점에 있으면서 접근성이 뛰어나야 한다는 점도 적당한 투표소 선정에 어려움을 더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에서는 연제구 거제3동 유림아파트 주차장을 비롯해 6곳에 방수기능이 있는 몽골식 텐트로 투표소로 꾸며진다.

또 수영구 광안1동 제4투표소 등 7곳은 비교적 공간이 넓은 국밥집을 비롯해 개인이 운영하는 식당에 마련됐다.

전남 화순 5곳과 순천 1곳, 대전시 중구에도 각각 몽골식 텐트가 투표소를 대신하게 됐다.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역곡3동의 제5투표소도 종전에는 동신아파트 경로당 안에 설치됐으나 이번에는 면적 문제 때문에 경로당 앞에 몽골식 텐트 2개 동을 설치, 유권자들을 맞이하게 된다.

울산 동구의 일산동 제1투표소와 전하1동 제3투표소, 남목2동 제6투표소도 몽골식 텐트가 사용된다.

파주시 진동면과 금촌1동에서는 식당과 예식장 별관을 각각 임시 투표소로 활용할 계획이고, 양주시 양주1동에서는 태권도장에 투표소를 마련할 예정이다.

인천 남구에서는 예식장 로비(주안1동 제2투표소)와 노인요양원(용현5동 제2투표소) 등이 투표소가 된다.

대구에서도 사우나(동구 방촌동 제5투표소)와 합기도장(달성군 논공읍 제5투표소), 병원(수성구 제2투표소) 등을 투표소로 활용한다.

경남에서는 스크린 골프장(진해시 태평동 제1투표소)과 마을창고(함양읍 제7투표소), 맨션 지하 주차장(거제시 장평동 제5투표소), 농산물 집하장(합천군 쌍책면 제1투표소), 아파트 모델 하우스(진주시 신안동 제2투표소), 궁도장(하동군 하동읍 제3투표소) 등 다채로운 공간에 투표소가 등장한다.

전북 전주시의 삼천동 제2투표소와 송천동 제4투표소는 각각 공터와 주차장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박스와 조립식 건물에 마련될 예정이다.

부산시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28일 "이번 선거부터 종교시설에 투표소를 설치할 수 없게 되면서 대체시설을 찾으려고 많은 노력을 했지만 8개 선거의 동시 실시로 넓은 공간이 필요해 적당한 장소를 찾는 데 한계가 있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투표소는 해당 투표구의 중간지점에 있으면서 접근성도 뛰어나야 하는데 대부분 민간시설이어서 업주를 설득하는 데도 애를 먹었다."라고 하소연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몽골텐트·컨테이너…기상천외 투표소 등장
    • 입력 2010-05-28 07:15:34
    연합뉴스
몽골식 텐트, 컨테이너 박스, 식당, 체육관, 지하 주차장, 사우나, 스크린 골프장... 이번 지방선거 투표일인 오는 6월 2일 전국적으로 처음 선보일 예정인 기상천외한 투표소의 형태들이다. 이런 특이한 투표소들이 등장한 것은 지난 1월 25일 공직선거법이 개정돼 교회와 성당 등 종교시설을 투표소로 활용할 수 없게 된데다 사상 처음으로 8개 선거가 동시에 진행됨에 따라 종전보다 훨씬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만 마땅한 장소를 물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 투표구별로 중간지점에 있으면서 접근성이 뛰어나야 한다는 점도 적당한 투표소 선정에 어려움을 더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에서는 연제구 거제3동 유림아파트 주차장을 비롯해 6곳에 방수기능이 있는 몽골식 텐트로 투표소로 꾸며진다. 또 수영구 광안1동 제4투표소 등 7곳은 비교적 공간이 넓은 국밥집을 비롯해 개인이 운영하는 식당에 마련됐다. 전남 화순 5곳과 순천 1곳, 대전시 중구에도 각각 몽골식 텐트가 투표소를 대신하게 됐다.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역곡3동의 제5투표소도 종전에는 동신아파트 경로당 안에 설치됐으나 이번에는 면적 문제 때문에 경로당 앞에 몽골식 텐트 2개 동을 설치, 유권자들을 맞이하게 된다. 울산 동구의 일산동 제1투표소와 전하1동 제3투표소, 남목2동 제6투표소도 몽골식 텐트가 사용된다. 파주시 진동면과 금촌1동에서는 식당과 예식장 별관을 각각 임시 투표소로 활용할 계획이고, 양주시 양주1동에서는 태권도장에 투표소를 마련할 예정이다. 인천 남구에서는 예식장 로비(주안1동 제2투표소)와 노인요양원(용현5동 제2투표소) 등이 투표소가 된다. 대구에서도 사우나(동구 방촌동 제5투표소)와 합기도장(달성군 논공읍 제5투표소), 병원(수성구 제2투표소) 등을 투표소로 활용한다. 경남에서는 스크린 골프장(진해시 태평동 제1투표소)과 마을창고(함양읍 제7투표소), 맨션 지하 주차장(거제시 장평동 제5투표소), 농산물 집하장(합천군 쌍책면 제1투표소), 아파트 모델 하우스(진주시 신안동 제2투표소), 궁도장(하동군 하동읍 제3투표소) 등 다채로운 공간에 투표소가 등장한다. 전북 전주시의 삼천동 제2투표소와 송천동 제4투표소는 각각 공터와 주차장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박스와 조립식 건물에 마련될 예정이다. 부산시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28일 "이번 선거부터 종교시설에 투표소를 설치할 수 없게 되면서 대체시설을 찾으려고 많은 노력을 했지만 8개 선거의 동시 실시로 넓은 공간이 필요해 적당한 장소를 찾는 데 한계가 있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투표소는 해당 투표구의 중간지점에 있으면서 접근성도 뛰어나야 하는데 대부분 민간시설이어서 업주를 설득하는 데도 애를 먹었다."라고 하소연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