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수온 최대 1.7도 상승…아열대성 진입
우리나라 남해 바다의 수온이 지난 10년간 최대 1.7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심동현)은 남해에서 2000~2009년 동안 격월로 해온 수온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표층수온이 지난 10년 동안 약 0.2~1.7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부산해역이 약 0.2도, 여수와 제주북부 해역은 약 1.7도, 제주도 모슬포는 약 0.7도 올라 동쪽보다 서쪽해역의 상승폭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수심 50m 저층에서는 0.1~0.5도의 상승폭을 보였다.
이 같은 수온 상승은 적도해역에서 북상하는 쿠로시오난류의 지류인 고온ㆍ고염의 대마난류 세력이 강해져 겨울철 최저수온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해양조사원은 남해 연안수의 평균수온이 상승하는 추세로 볼 때 남해연안수와 대마난류를 구분 짓는 수온전선이 약해지면서 남해는 이미 난류성 어류가 서식하기 적합한 아열대성 해양환경으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아열대성 바다는 표층에 많은 열에너지를 품고 있기 때문에 태풍 및 폭풍해일의 강도가 세지고 빈도수도 높아질 것으로 관측했다.
우리나라 남해 바다의 수온이 지난 10년간 최대 1.7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심동현)은 남해에서 2000~2009년 동안 격월로 해온 수온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표층수온이 지난 10년 동안 약 0.2~1.7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부산해역이 약 0.2도, 여수와 제주북부 해역은 약 1.7도, 제주도 모슬포는 약 0.7도 올라 동쪽보다 서쪽해역의 상승폭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수심 50m 저층에서는 0.1~0.5도의 상승폭을 보였다.
이 같은 수온 상승은 적도해역에서 북상하는 쿠로시오난류의 지류인 고온ㆍ고염의 대마난류 세력이 강해져 겨울철 최저수온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해양조사원은 남해 연안수의 평균수온이 상승하는 추세로 볼 때 남해연안수와 대마난류를 구분 짓는 수온전선이 약해지면서 남해는 이미 난류성 어류가 서식하기 적합한 아열대성 해양환경으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아열대성 바다는 표층에 많은 열에너지를 품고 있기 때문에 태풍 및 폭풍해일의 강도가 세지고 빈도수도 높아질 것으로 관측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해, 태풍·해일 많아지고 더 세진다
-
- 입력 2010-05-28 10:38:37
10년간 수온 최대 1.7도 상승…아열대성 진입
우리나라 남해 바다의 수온이 지난 10년간 최대 1.7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심동현)은 남해에서 2000~2009년 동안 격월로 해온 수온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표층수온이 지난 10년 동안 약 0.2~1.7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부산해역이 약 0.2도, 여수와 제주북부 해역은 약 1.7도, 제주도 모슬포는 약 0.7도 올라 동쪽보다 서쪽해역의 상승폭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수심 50m 저층에서는 0.1~0.5도의 상승폭을 보였다.
이 같은 수온 상승은 적도해역에서 북상하는 쿠로시오난류의 지류인 고온ㆍ고염의 대마난류 세력이 강해져 겨울철 최저수온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해양조사원은 남해 연안수의 평균수온이 상승하는 추세로 볼 때 남해연안수와 대마난류를 구분 짓는 수온전선이 약해지면서 남해는 이미 난류성 어류가 서식하기 적합한 아열대성 해양환경으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아열대성 바다는 표층에 많은 열에너지를 품고 있기 때문에 태풍 및 폭풍해일의 강도가 세지고 빈도수도 높아질 것으로 관측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