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에서 아편 불법 제조·판매 부부 검거
입력 2010.06.16 (07:03)
수정 2010.06.16 (0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섬이나 산간 마을에서 양귀비와 대마를 불법 재배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신안의 한 섬 마을에서는 마약류인 아편을 제조해 판매한 부부와 구매자 4명이 해경에 붙잡혔습니다.
김효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적이 드문 섬 마을 야산에서 60대 남성이 양귀비 열매에 칼집을 냅니다.
양귀비 추출액으로 아편을 만들고 주사기에 담습니다.
61살 전모 씨 부부가 이같은 방식으로 지난 1년 동안 제조해 판매한 아편은 21.58그램, 720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입니다.
<녹취> 전00(아편 제조 피의자):"제가 한 것이 아니고 집에 애들 어머니가 몇 개 (판매)했습니다. 저는 몰랐습니다."
전 씨 부부는 자신들이 운영하는 식당에서 이렇게 아편을 적신 솜을 1개에 5만 원을 받고 선장과 자영업자 등 4명에게 판매해 왔습니다.
지난달에는 해남 임하도에서 양귀비 3천 그루를 재배한 농민이 해경에 붙잡힌 데 이어, 최근에는 충북 제천에서 대마 등을 재배한 농민 9명이 무더기 적발됐습니다.
양귀비와 대마가 신경통과 가축의 응급약으로 좋다는 속설 때문에 단속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섬이나 산간 마을에서 재배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박상순(서해지방해양경찰청):"비상용으로 재배하기 때문에 불구속 수사를 해왔는데 앞으로 혐의가 중한 경우에는 구속수사를 하는 쪽으로 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전국에서 양귀비를 재배하다 적발된 사람은 220여 명, 마약류인 양귀비를 허가없이 재배할 경우 5년 이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KBS뉴스 김효신입니다.
섬이나 산간 마을에서 양귀비와 대마를 불법 재배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신안의 한 섬 마을에서는 마약류인 아편을 제조해 판매한 부부와 구매자 4명이 해경에 붙잡혔습니다.
김효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적이 드문 섬 마을 야산에서 60대 남성이 양귀비 열매에 칼집을 냅니다.
양귀비 추출액으로 아편을 만들고 주사기에 담습니다.
61살 전모 씨 부부가 이같은 방식으로 지난 1년 동안 제조해 판매한 아편은 21.58그램, 720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입니다.
<녹취> 전00(아편 제조 피의자):"제가 한 것이 아니고 집에 애들 어머니가 몇 개 (판매)했습니다. 저는 몰랐습니다."
전 씨 부부는 자신들이 운영하는 식당에서 이렇게 아편을 적신 솜을 1개에 5만 원을 받고 선장과 자영업자 등 4명에게 판매해 왔습니다.
지난달에는 해남 임하도에서 양귀비 3천 그루를 재배한 농민이 해경에 붙잡힌 데 이어, 최근에는 충북 제천에서 대마 등을 재배한 농민 9명이 무더기 적발됐습니다.
양귀비와 대마가 신경통과 가축의 응급약으로 좋다는 속설 때문에 단속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섬이나 산간 마을에서 재배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박상순(서해지방해양경찰청):"비상용으로 재배하기 때문에 불구속 수사를 해왔는데 앞으로 혐의가 중한 경우에는 구속수사를 하는 쪽으로 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전국에서 양귀비를 재배하다 적발된 사람은 220여 명, 마약류인 양귀비를 허가없이 재배할 경우 5년 이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KBS뉴스 김효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섬에서 아편 불법 제조·판매 부부 검거
-
- 입력 2010-06-16 07:03:18
- 수정2010-06-16 09:42:13

<앵커 멘트>
섬이나 산간 마을에서 양귀비와 대마를 불법 재배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신안의 한 섬 마을에서는 마약류인 아편을 제조해 판매한 부부와 구매자 4명이 해경에 붙잡혔습니다.
김효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적이 드문 섬 마을 야산에서 60대 남성이 양귀비 열매에 칼집을 냅니다.
양귀비 추출액으로 아편을 만들고 주사기에 담습니다.
61살 전모 씨 부부가 이같은 방식으로 지난 1년 동안 제조해 판매한 아편은 21.58그램, 720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입니다.
<녹취> 전00(아편 제조 피의자):"제가 한 것이 아니고 집에 애들 어머니가 몇 개 (판매)했습니다. 저는 몰랐습니다."
전 씨 부부는 자신들이 운영하는 식당에서 이렇게 아편을 적신 솜을 1개에 5만 원을 받고 선장과 자영업자 등 4명에게 판매해 왔습니다.
지난달에는 해남 임하도에서 양귀비 3천 그루를 재배한 농민이 해경에 붙잡힌 데 이어, 최근에는 충북 제천에서 대마 등을 재배한 농민 9명이 무더기 적발됐습니다.
양귀비와 대마가 신경통과 가축의 응급약으로 좋다는 속설 때문에 단속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섬이나 산간 마을에서 재배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박상순(서해지방해양경찰청):"비상용으로 재배하기 때문에 불구속 수사를 해왔는데 앞으로 혐의가 중한 경우에는 구속수사를 하는 쪽으로 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전국에서 양귀비를 재배하다 적발된 사람은 220여 명, 마약류인 양귀비를 허가없이 재배할 경우 5년 이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KBS뉴스 김효신입니다.
-
-
김효신 기자 shiny33@kbs.co.kr
김효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