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맥 초음파로 CAD 진단 가능
입력 2010.06.16 (10:18)
수정 2010.06.16 (10: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심증, 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이 심하게 좁아져 나타나는 관상동맥질환(CAD)은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경동맥초음파로 1차적인 진단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 대학 메디컬센터 심혈관임상연구실의 하머니 레이놀즈(Harmony Reynolds) 박사는 심장발작 병력이 없으면서 심장의 펌프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침습적인 검사인 관상동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대신 우선 간단한 경동맥초음파 검사로 예비진단이 가능하다고 밝힌 것으로 사이언스 데일리가 15일 보도했다.
경동맥초음파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면 그 때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하면 되고 이상이 없으면 관상동맥조영술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레이놀즈 박사는 말했다.
이는 관상동맥 협착이 의심되는 환자들의 임상에서 얻어진 결과라고 그는 밝혔다.
관상동맥조영술이란 가느다란 관(도자)을 대퇴부나 손목 혈관을 통해 관상동맥에 삽입해 혈관이 잘 보이도록 해 주는 조영제 투여와 함께 방사선 촬영을 하면서 관상동맥의 막힌 부분을 찾아내는 침습적 검사로 검사비가 비싸다.
경동맥초음파 검사는 뇌로 가는 혈액의 80%가 통과하는 경동맥 내 혈액의 흐름과 혈관의 상태를 평가하는 간단한 검사로 비용도 얼마 들지 않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저널(American Heart Journal)’ 6월호에 게재되었다.
미국 뉴욕 대학 메디컬센터 심혈관임상연구실의 하머니 레이놀즈(Harmony Reynolds) 박사는 심장발작 병력이 없으면서 심장의 펌프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침습적인 검사인 관상동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대신 우선 간단한 경동맥초음파 검사로 예비진단이 가능하다고 밝힌 것으로 사이언스 데일리가 15일 보도했다.
경동맥초음파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면 그 때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하면 되고 이상이 없으면 관상동맥조영술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레이놀즈 박사는 말했다.
이는 관상동맥 협착이 의심되는 환자들의 임상에서 얻어진 결과라고 그는 밝혔다.
관상동맥조영술이란 가느다란 관(도자)을 대퇴부나 손목 혈관을 통해 관상동맥에 삽입해 혈관이 잘 보이도록 해 주는 조영제 투여와 함께 방사선 촬영을 하면서 관상동맥의 막힌 부분을 찾아내는 침습적 검사로 검사비가 비싸다.
경동맥초음파 검사는 뇌로 가는 혈액의 80%가 통과하는 경동맥 내 혈액의 흐름과 혈관의 상태를 평가하는 간단한 검사로 비용도 얼마 들지 않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저널(American Heart Journal)’ 6월호에 게재되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동맥 초음파로 CAD 진단 가능
-
- 입력 2010-06-16 10:18:30
- 수정2010-06-16 10:18:51
협심증, 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이 심하게 좁아져 나타나는 관상동맥질환(CAD)은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경동맥초음파로 1차적인 진단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 대학 메디컬센터 심혈관임상연구실의 하머니 레이놀즈(Harmony Reynolds) 박사는 심장발작 병력이 없으면서 심장의 펌프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침습적인 검사인 관상동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대신 우선 간단한 경동맥초음파 검사로 예비진단이 가능하다고 밝힌 것으로 사이언스 데일리가 15일 보도했다.
경동맥초음파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면 그 때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하면 되고 이상이 없으면 관상동맥조영술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레이놀즈 박사는 말했다.
이는 관상동맥 협착이 의심되는 환자들의 임상에서 얻어진 결과라고 그는 밝혔다.
관상동맥조영술이란 가느다란 관(도자)을 대퇴부나 손목 혈관을 통해 관상동맥에 삽입해 혈관이 잘 보이도록 해 주는 조영제 투여와 함께 방사선 촬영을 하면서 관상동맥의 막힌 부분을 찾아내는 침습적 검사로 검사비가 비싸다.
경동맥초음파 검사는 뇌로 가는 혈액의 80%가 통과하는 경동맥 내 혈액의 흐름과 혈관의 상태를 평가하는 간단한 검사로 비용도 얼마 들지 않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저널(American Heart Journal)’ 6월호에 게재되었다.
미국 뉴욕 대학 메디컬센터 심혈관임상연구실의 하머니 레이놀즈(Harmony Reynolds) 박사는 심장발작 병력이 없으면서 심장의 펌프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침습적인 검사인 관상동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대신 우선 간단한 경동맥초음파 검사로 예비진단이 가능하다고 밝힌 것으로 사이언스 데일리가 15일 보도했다.
경동맥초음파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면 그 때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하면 되고 이상이 없으면 관상동맥조영술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레이놀즈 박사는 말했다.
이는 관상동맥 협착이 의심되는 환자들의 임상에서 얻어진 결과라고 그는 밝혔다.
관상동맥조영술이란 가느다란 관(도자)을 대퇴부나 손목 혈관을 통해 관상동맥에 삽입해 혈관이 잘 보이도록 해 주는 조영제 투여와 함께 방사선 촬영을 하면서 관상동맥의 막힌 부분을 찾아내는 침습적 검사로 검사비가 비싸다.
경동맥초음파 검사는 뇌로 가는 혈액의 80%가 통과하는 경동맥 내 혈액의 흐름과 혈관의 상태를 평가하는 간단한 검사로 비용도 얼마 들지 않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저널(American Heart Journal)’ 6월호에 게재되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