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스를 클릭하거나 키보드를 두드리는 대신, 센서가 부착된 장갑을 낀 채 거대한 스크린에 투사되는 작업영역(워크스페이스)에서 3차원(3D)으로 손을 움직이면서 컴퓨터 작업을 한다.
공상과학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오는 한 장면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이는 최근 열린 미국 TED그룹(기술.엔터테인먼트.디자인 분야 CEO들의 모임) 회의에서 실제로 시연된 장면이라고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6일 전했다.
이 시스템을 고안한 것은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2002.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의 과학 고문인 존 언더코플러.
그는 이날 시연에서 손목을 살짝 움직여 이미지의 배열을 바꾸는 등 컴퓨터로 할 수 있는 각종 이미지 작업을 장갑 하나를 사용해 순식간에 해냈다.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주연 톰 크루즈는 손에 부착된 센서를 사용해 자신 앞에 놓인 거대한 광각 스크린을 조작하면서 방대한 데이터 뱅크와 인터넷을 검색한다.
영화에는 톰 크루즈가 이 놀라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살인이 막 발생하려는 장소를 추적하는 장면도 등장한다.
언더코플러는 이날 시연에서 기계 부품 도면을 따로 분리시킨 뒤 스크린에 투사된 지구 상의 물류 정보를 조작하는 작업도 선보였다.
그는 컴퓨터에 대한 사고를 근본적으로 변혁시킨 매킨토시 개발 이후 25년간 운영체계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며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와 웹 프로그램은 엄청나게 개선됐지만 PC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은 거의 그대로라고 지적했다.
컴퓨터와 게임기 제조업체들은 수동식 조작장치와 마우스를 뛰어넘는 인터페이스를 이제야 활용하기 시작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지난 주 조종장치 없이 몸을 움직여 게임 속 캐릭터를 조종할 수 있는 센서인 Xbox 키넥트를 출시했다.
일본 게임업체 닌텐도의 위(Wii) 역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기능은 적외선 수동 조작장치가 담당한다.
공상과학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오는 한 장면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이는 최근 열린 미국 TED그룹(기술.엔터테인먼트.디자인 분야 CEO들의 모임) 회의에서 실제로 시연된 장면이라고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6일 전했다.
이 시스템을 고안한 것은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2002.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의 과학 고문인 존 언더코플러.
그는 이날 시연에서 손목을 살짝 움직여 이미지의 배열을 바꾸는 등 컴퓨터로 할 수 있는 각종 이미지 작업을 장갑 하나를 사용해 순식간에 해냈다.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주연 톰 크루즈는 손에 부착된 센서를 사용해 자신 앞에 놓인 거대한 광각 스크린을 조작하면서 방대한 데이터 뱅크와 인터넷을 검색한다.
영화에는 톰 크루즈가 이 놀라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살인이 막 발생하려는 장소를 추적하는 장면도 등장한다.
언더코플러는 이날 시연에서 기계 부품 도면을 따로 분리시킨 뒤 스크린에 투사된 지구 상의 물류 정보를 조작하는 작업도 선보였다.
그는 컴퓨터에 대한 사고를 근본적으로 변혁시킨 매킨토시 개발 이후 25년간 운영체계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며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와 웹 프로그램은 엄청나게 개선됐지만 PC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은 거의 그대로라고 지적했다.
컴퓨터와 게임기 제조업체들은 수동식 조작장치와 마우스를 뛰어넘는 인터페이스를 이제야 활용하기 시작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지난 주 조종장치 없이 몸을 움직여 게임 속 캐릭터를 조종할 수 있는 센서인 Xbox 키넥트를 출시했다.
일본 게임업체 닌텐도의 위(Wii) 역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기능은 적외선 수동 조작장치가 담당한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현실로?
-
- 입력 2010-06-17 11:52:42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키보드를 두드리는 대신, 센서가 부착된 장갑을 낀 채 거대한 스크린에 투사되는 작업영역(워크스페이스)에서 3차원(3D)으로 손을 움직이면서 컴퓨터 작업을 한다.
공상과학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오는 한 장면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이는 최근 열린 미국 TED그룹(기술.엔터테인먼트.디자인 분야 CEO들의 모임) 회의에서 실제로 시연된 장면이라고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6일 전했다.
이 시스템을 고안한 것은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2002.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의 과학 고문인 존 언더코플러.
그는 이날 시연에서 손목을 살짝 움직여 이미지의 배열을 바꾸는 등 컴퓨터로 할 수 있는 각종 이미지 작업을 장갑 하나를 사용해 순식간에 해냈다.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주연 톰 크루즈는 손에 부착된 센서를 사용해 자신 앞에 놓인 거대한 광각 스크린을 조작하면서 방대한 데이터 뱅크와 인터넷을 검색한다.
영화에는 톰 크루즈가 이 놀라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살인이 막 발생하려는 장소를 추적하는 장면도 등장한다.
언더코플러는 이날 시연에서 기계 부품 도면을 따로 분리시킨 뒤 스크린에 투사된 지구 상의 물류 정보를 조작하는 작업도 선보였다.
그는 컴퓨터에 대한 사고를 근본적으로 변혁시킨 매킨토시 개발 이후 25년간 운영체계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며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와 웹 프로그램은 엄청나게 개선됐지만 PC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은 거의 그대로라고 지적했다.
컴퓨터와 게임기 제조업체들은 수동식 조작장치와 마우스를 뛰어넘는 인터페이스를 이제야 활용하기 시작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지난 주 조종장치 없이 몸을 움직여 게임 속 캐릭터를 조종할 수 있는 센서인 Xbox 키넥트를 출시했다.
일본 게임업체 닌텐도의 위(Wii) 역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기능은 적외선 수동 조작장치가 담당한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