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최근 정부가 위기에 놓인 저축은행을 살리기 위해 공적자금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갈수록 부실의 골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매번 문제가 터질 때마다 공적자금을 투입해 부실을 털어주는 식의 땜질 처방이 더 큰 부실을 불렀다는 지적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경제팀 김승조 기자 나와있습니다.
<질문> 저축은행의 부실이 우리 경제의 뇌관이라는 말이 많은데,부실이 어느 정도길래 그렇다는 겁니까?
<답변>
저축은행 위기의 진원은 바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즉 PF대출인데요, 사례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서울 강남 한복판의 오피스텔 공사현장인데요, 공사가 중단된 채 저렇게 방치되고 있습니다.
시행사가 일부 부지매입에 실패한 데다 부동산 경기 침체까지 겹쳤기 때문입니다.
이 건설사에 PF대출로 2백억 원을 빌려줬던 저축은행도 돈을 떼일 처지에 놓였습니다.
전체 PF사업장 710여 곳 가운데 앞서 보신 공사장처럼 돈을 갚지 못하게 된 부실 PF사업장이 무려 289곳이나 됩니다.
전체의 40%가 넘습니다.
이렇게 쌓인 부실채권이 곧바로 저축은행의 부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질문> 그런데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구요?
<답변>
바로 그게 걱정거립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지금은 괜찮다고 하는 PF대출도 언제 부실채권으로 전락할 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전문가의 말 들어보시죠.
<인터뷰>구경회(현대증권 연구위원): "지금은 정상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흐를 수록 다시 부실화되는 사업부지가 많이 있을 수 있거든요 그럼 거기에 대한 부실화의 책임은 다시 저축은행이 져야 할것으로..."
실제로 정부는 1년반 전에도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입에 1조 7천억 원을 투입했지만, 정상 판정을 받았던 PF대출을 포함해 3조 9천억 원이 그 사이 다시 부실해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더구나 조만간 예정된 중소 건설사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부실채권은 더 급격히 불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축은행 전체 대출 가운데 PF대출을 포함한 부동산 분야 대출이 절반이나 됩니다.
부동산 경기가 대세하락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어서 앞으로 저축은행 부실의 골은 더 깊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보다는 눈앞의 이익만 좇아 무분별하게 부동산 대출에 몰두했던 저축은행의 도덕적 해이가 결국 부메랑으로 되돌아온 셈입니다.
<질문> 그런 곳에 국민세금인 공적자금을 투입할 필요가 있는 겁니까?
<답변>
결국 이번에도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에 2조5천억 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일단 급한 불을 끄기로 했는데요, 저축은행 부실을 그냥 놔뒀다가는 전체 금융시장의 불안을 키우고 우리 경제를 송두리째 위기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긴 합니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저축은행에 투입된 공적자금이 벌써 11조 원입니다.
매번 부실이 터질 때마다 국민 주머니를 털어 메워주고 있는 셈입니다.
그야말로 밑 빠진 독에 물붓깁니다.
이 때문에 '언제까지 이렇게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땜질식 처방을 계속해야 하느냐'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질문> 그동안 감독당국은 도대체 뭘 했느냐는 질문을 안할 수가 없군요?
<답변>
감독당국의 대한 비난 여론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수익 모델을 찾지 못하고 있는 데다 위기관리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데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인데요,
감독당국이 임시처방으로 급한 불을 끄는 데 급급해, 오히려 저축은행의 도덕적 해이를 키웠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부실 저축은행도 문제지만 금융당국의 감독도 실패했다는 겁니다.
경실련 고계현 정책실장의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인터뷰>고계현(경실련 정책실장): "저축은행에 대한 여러가지 신상필벌의 원칙, 금융당국에 대한 문책 이런 것들이 어우러져서 시장을 정상화시키면서 연착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겠죠."
이번 기회에 '부실과 공적자금 투입' 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저축은행과 감독당국에 보다 철저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가 위기에 놓인 저축은행을 살리기 위해 공적자금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갈수록 부실의 골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매번 문제가 터질 때마다 공적자금을 투입해 부실을 털어주는 식의 땜질 처방이 더 큰 부실을 불렀다는 지적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경제팀 김승조 기자 나와있습니다.
<질문> 저축은행의 부실이 우리 경제의 뇌관이라는 말이 많은데,부실이 어느 정도길래 그렇다는 겁니까?
<답변>
저축은행 위기의 진원은 바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즉 PF대출인데요, 사례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서울 강남 한복판의 오피스텔 공사현장인데요, 공사가 중단된 채 저렇게 방치되고 있습니다.
시행사가 일부 부지매입에 실패한 데다 부동산 경기 침체까지 겹쳤기 때문입니다.
이 건설사에 PF대출로 2백억 원을 빌려줬던 저축은행도 돈을 떼일 처지에 놓였습니다.
전체 PF사업장 710여 곳 가운데 앞서 보신 공사장처럼 돈을 갚지 못하게 된 부실 PF사업장이 무려 289곳이나 됩니다.
전체의 40%가 넘습니다.
이렇게 쌓인 부실채권이 곧바로 저축은행의 부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질문> 그런데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구요?
<답변>
바로 그게 걱정거립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지금은 괜찮다고 하는 PF대출도 언제 부실채권으로 전락할 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전문가의 말 들어보시죠.
<인터뷰>구경회(현대증권 연구위원): "지금은 정상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흐를 수록 다시 부실화되는 사업부지가 많이 있을 수 있거든요 그럼 거기에 대한 부실화의 책임은 다시 저축은행이 져야 할것으로..."
실제로 정부는 1년반 전에도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입에 1조 7천억 원을 투입했지만, 정상 판정을 받았던 PF대출을 포함해 3조 9천억 원이 그 사이 다시 부실해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더구나 조만간 예정된 중소 건설사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부실채권은 더 급격히 불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축은행 전체 대출 가운데 PF대출을 포함한 부동산 분야 대출이 절반이나 됩니다.
부동산 경기가 대세하락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어서 앞으로 저축은행 부실의 골은 더 깊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보다는 눈앞의 이익만 좇아 무분별하게 부동산 대출에 몰두했던 저축은행의 도덕적 해이가 결국 부메랑으로 되돌아온 셈입니다.
<질문> 그런 곳에 국민세금인 공적자금을 투입할 필요가 있는 겁니까?
<답변>
결국 이번에도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에 2조5천억 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일단 급한 불을 끄기로 했는데요, 저축은행 부실을 그냥 놔뒀다가는 전체 금융시장의 불안을 키우고 우리 경제를 송두리째 위기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긴 합니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저축은행에 투입된 공적자금이 벌써 11조 원입니다.
매번 부실이 터질 때마다 국민 주머니를 털어 메워주고 있는 셈입니다.
그야말로 밑 빠진 독에 물붓깁니다.
이 때문에 '언제까지 이렇게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땜질식 처방을 계속해야 하느냐'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질문> 그동안 감독당국은 도대체 뭘 했느냐는 질문을 안할 수가 없군요?
<답변>
감독당국의 대한 비난 여론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수익 모델을 찾지 못하고 있는 데다 위기관리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데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인데요,
감독당국이 임시처방으로 급한 불을 끄는 데 급급해, 오히려 저축은행의 도덕적 해이를 키웠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부실 저축은행도 문제지만 금융당국의 감독도 실패했다는 겁니다.
경실련 고계현 정책실장의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인터뷰>고계현(경실련 정책실장): "저축은행에 대한 여러가지 신상필벌의 원칙, 금융당국에 대한 문책 이런 것들이 어우러져서 시장을 정상화시키면서 연착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겠죠."
이번 기회에 '부실과 공적자금 투입' 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저축은행과 감독당국에 보다 철저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현장] 저축은행 땜질 처방 부실 키워
-
- 입력 2010-07-02 23:40:36
<앵커 멘트>
최근 정부가 위기에 놓인 저축은행을 살리기 위해 공적자금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갈수록 부실의 골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매번 문제가 터질 때마다 공적자금을 투입해 부실을 털어주는 식의 땜질 처방이 더 큰 부실을 불렀다는 지적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경제팀 김승조 기자 나와있습니다.
<질문> 저축은행의 부실이 우리 경제의 뇌관이라는 말이 많은데,부실이 어느 정도길래 그렇다는 겁니까?
<답변>
저축은행 위기의 진원은 바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즉 PF대출인데요, 사례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서울 강남 한복판의 오피스텔 공사현장인데요, 공사가 중단된 채 저렇게 방치되고 있습니다.
시행사가 일부 부지매입에 실패한 데다 부동산 경기 침체까지 겹쳤기 때문입니다.
이 건설사에 PF대출로 2백억 원을 빌려줬던 저축은행도 돈을 떼일 처지에 놓였습니다.
전체 PF사업장 710여 곳 가운데 앞서 보신 공사장처럼 돈을 갚지 못하게 된 부실 PF사업장이 무려 289곳이나 됩니다.
전체의 40%가 넘습니다.
이렇게 쌓인 부실채권이 곧바로 저축은행의 부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질문> 그런데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구요?
<답변>
바로 그게 걱정거립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지금은 괜찮다고 하는 PF대출도 언제 부실채권으로 전락할 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전문가의 말 들어보시죠.
<인터뷰>구경회(현대증권 연구위원): "지금은 정상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흐를 수록 다시 부실화되는 사업부지가 많이 있을 수 있거든요 그럼 거기에 대한 부실화의 책임은 다시 저축은행이 져야 할것으로..."
실제로 정부는 1년반 전에도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입에 1조 7천억 원을 투입했지만, 정상 판정을 받았던 PF대출을 포함해 3조 9천억 원이 그 사이 다시 부실해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더구나 조만간 예정된 중소 건설사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부실채권은 더 급격히 불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축은행 전체 대출 가운데 PF대출을 포함한 부동산 분야 대출이 절반이나 됩니다.
부동산 경기가 대세하락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어서 앞으로 저축은행 부실의 골은 더 깊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보다는 눈앞의 이익만 좇아 무분별하게 부동산 대출에 몰두했던 저축은행의 도덕적 해이가 결국 부메랑으로 되돌아온 셈입니다.
<질문> 그런 곳에 국민세금인 공적자금을 투입할 필요가 있는 겁니까?
<답변>
결국 이번에도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에 2조5천억 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일단 급한 불을 끄기로 했는데요, 저축은행 부실을 그냥 놔뒀다가는 전체 금융시장의 불안을 키우고 우리 경제를 송두리째 위기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긴 합니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저축은행에 투입된 공적자금이 벌써 11조 원입니다.
매번 부실이 터질 때마다 국민 주머니를 털어 메워주고 있는 셈입니다.
그야말로 밑 빠진 독에 물붓깁니다.
이 때문에 '언제까지 이렇게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땜질식 처방을 계속해야 하느냐'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질문> 그동안 감독당국은 도대체 뭘 했느냐는 질문을 안할 수가 없군요?
<답변>
감독당국의 대한 비난 여론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수익 모델을 찾지 못하고 있는 데다 위기관리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데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인데요,
감독당국이 임시처방으로 급한 불을 끄는 데 급급해, 오히려 저축은행의 도덕적 해이를 키웠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부실 저축은행도 문제지만 금융당국의 감독도 실패했다는 겁니다.
경실련 고계현 정책실장의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인터뷰>고계현(경실련 정책실장): "저축은행에 대한 여러가지 신상필벌의 원칙, 금융당국에 대한 문책 이런 것들이 어우러져서 시장을 정상화시키면서 연착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겠죠."
이번 기회에 '부실과 공적자금 투입' 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저축은행과 감독당국에 보다 철저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