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 4㎏만 늘어도 혈관 손상
입력 2010.08.20 (09:41)
수정 2010.08.20 (1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중이 4kg만 늘어도 혈관손상이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의 비렌드 소머스(Virend Somers) 박사는 4kg 정도의 체중증가로도 혈관벽을 구성하는 내피세포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며 늘어난 체중이 특히 복부에 집중될 때 이러한 위험은 더욱 커진다고 밝힌 것으로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19일 보도했다.
혈관내피세포는 혈관내막을 구성하는 세포로 혈관의 확장과 수축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머스 박사는 지원자 43명(평균연령 29세)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소머스 박사는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8주 동안 체중을 늘리거나 현재의 체중을 유지하도록 주문하고 상완동맥의 혈류량을 측정하고 체중이 늘어난 사람들에게는 다시 체중을 줄이도록 한 뒤 상완동맥 혈류량을 재측정했다.
그 결과 체중이 불어난 그룹은 혈관내피세포의 혈류조절 기능이 손상되고 체중을 유지한 그룹은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에도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을 불렸던 그룹은 나중에 몸무게를 다시 줄였을 때 손상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도 회복되었다.
특히 체중증가가 복부에 집중된 사람은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이 더욱 심했고 늘어난 체중이 전신에 분산된 사람은 내피세포의 손상이 덜 했다.
이 결과는 체질량지수(BMI)보다 허리둘레를 줄이는 것이 혈관건강에 더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소머스 박사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병학회 저널(Jouran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최신호에 발표되었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의 비렌드 소머스(Virend Somers) 박사는 4kg 정도의 체중증가로도 혈관벽을 구성하는 내피세포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며 늘어난 체중이 특히 복부에 집중될 때 이러한 위험은 더욱 커진다고 밝힌 것으로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19일 보도했다.
혈관내피세포는 혈관내막을 구성하는 세포로 혈관의 확장과 수축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머스 박사는 지원자 43명(평균연령 29세)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소머스 박사는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8주 동안 체중을 늘리거나 현재의 체중을 유지하도록 주문하고 상완동맥의 혈류량을 측정하고 체중이 늘어난 사람들에게는 다시 체중을 줄이도록 한 뒤 상완동맥 혈류량을 재측정했다.
그 결과 체중이 불어난 그룹은 혈관내피세포의 혈류조절 기능이 손상되고 체중을 유지한 그룹은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에도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을 불렸던 그룹은 나중에 몸무게를 다시 줄였을 때 손상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도 회복되었다.
특히 체중증가가 복부에 집중된 사람은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이 더욱 심했고 늘어난 체중이 전신에 분산된 사람은 내피세포의 손상이 덜 했다.
이 결과는 체질량지수(BMI)보다 허리둘레를 줄이는 것이 혈관건강에 더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소머스 박사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병학회 저널(Jouran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최신호에 발표되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체중 4㎏만 늘어도 혈관 손상
-
- 입력 2010-08-20 09:41:59
- 수정2010-08-20 10:02:22
체중이 4kg만 늘어도 혈관손상이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의 비렌드 소머스(Virend Somers) 박사는 4kg 정도의 체중증가로도 혈관벽을 구성하는 내피세포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며 늘어난 체중이 특히 복부에 집중될 때 이러한 위험은 더욱 커진다고 밝힌 것으로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19일 보도했다.
혈관내피세포는 혈관내막을 구성하는 세포로 혈관의 확장과 수축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머스 박사는 지원자 43명(평균연령 29세)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소머스 박사는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8주 동안 체중을 늘리거나 현재의 체중을 유지하도록 주문하고 상완동맥의 혈류량을 측정하고 체중이 늘어난 사람들에게는 다시 체중을 줄이도록 한 뒤 상완동맥 혈류량을 재측정했다.
그 결과 체중이 불어난 그룹은 혈관내피세포의 혈류조절 기능이 손상되고 체중을 유지한 그룹은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에도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을 불렸던 그룹은 나중에 몸무게를 다시 줄였을 때 손상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도 회복되었다.
특히 체중증가가 복부에 집중된 사람은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이 더욱 심했고 늘어난 체중이 전신에 분산된 사람은 내피세포의 손상이 덜 했다.
이 결과는 체질량지수(BMI)보다 허리둘레를 줄이는 것이 혈관건강에 더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소머스 박사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병학회 저널(Jouran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최신호에 발표되었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의 비렌드 소머스(Virend Somers) 박사는 4kg 정도의 체중증가로도 혈관벽을 구성하는 내피세포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며 늘어난 체중이 특히 복부에 집중될 때 이러한 위험은 더욱 커진다고 밝힌 것으로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19일 보도했다.
혈관내피세포는 혈관내막을 구성하는 세포로 혈관의 확장과 수축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머스 박사는 지원자 43명(평균연령 29세)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소머스 박사는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8주 동안 체중을 늘리거나 현재의 체중을 유지하도록 주문하고 상완동맥의 혈류량을 측정하고 체중이 늘어난 사람들에게는 다시 체중을 줄이도록 한 뒤 상완동맥 혈류량을 재측정했다.
그 결과 체중이 불어난 그룹은 혈관내피세포의 혈류조절 기능이 손상되고 체중을 유지한 그룹은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에도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을 불렸던 그룹은 나중에 몸무게를 다시 줄였을 때 손상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도 회복되었다.
특히 체중증가가 복부에 집중된 사람은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이 더욱 심했고 늘어난 체중이 전신에 분산된 사람은 내피세포의 손상이 덜 했다.
이 결과는 체질량지수(BMI)보다 허리둘레를 줄이는 것이 혈관건강에 더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소머스 박사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병학회 저널(Jouran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최신호에 발표되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