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에 약한 ‘승강기 문’, 추락사 위험
입력 2010.08.26 (22:11)
수정 2010.08.26 (23: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 장애인이 전동 휠체어로 지하철 승강기 문을 들이받고 그 아래로 떨어져 숨지는 사고가 났습니다.
실제로 충돌 실험을 해봤더니 생각보다, 충격에 약했습니다. 양민오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하철 역사로 내려가는 승강기 문이 닫힙니다.
전동 휠체어를 타고 달려왔다, 미처 승강기에 타지 못한 장애인 39살 이 모씨가, 이미 닫힌 문을 들이받습니다.
휠체어로 두 차례 더 부딪히자, 문 아래쪽이 부서지면서, 이씨는 15m 아래로 떨어져 숨졌습니다.
<인터뷰>목격자 : "안 태우고 내려가니까 화가 나서 그랬는지는 몰라도...그 시간 동안 승강기는 계속 내려가고."
실제 8인승 승강기를 대상으로 한 충격 실험입니다.
150킬로그램 무게의 충격에 문 한 짝이 떨어져 나갔습니다.
국내 승강기 설계기준은 450줄(Joule).
즉 체중 60kg인 두 사람이 시속 10km로 부딪칠 때 견딜만한 수준입니다.
지난 2007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준을 마련했지만, 갖가지 이유로 승강기에 부딪쳐 목숨을 잃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임남혁(행안부) : "고의적으로 부딪치거나 전동차로 밀어붙이는 등 비정상적인 이용상황에선 견딜수 없다."
대법원은 최근 승강기 문에 이례적인 충격을 가해, 문이 떨어져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건물 관리업체에 책임을 묻기 어렵다고 판결한 바 있습니다.
전국에서 가동되고 있는 승강기는 37만여 대.
승강기 이용객들의 안전 의식이 더욱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한 장애인이 전동 휠체어로 지하철 승강기 문을 들이받고 그 아래로 떨어져 숨지는 사고가 났습니다.
실제로 충돌 실험을 해봤더니 생각보다, 충격에 약했습니다. 양민오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하철 역사로 내려가는 승강기 문이 닫힙니다.
전동 휠체어를 타고 달려왔다, 미처 승강기에 타지 못한 장애인 39살 이 모씨가, 이미 닫힌 문을 들이받습니다.
휠체어로 두 차례 더 부딪히자, 문 아래쪽이 부서지면서, 이씨는 15m 아래로 떨어져 숨졌습니다.
<인터뷰>목격자 : "안 태우고 내려가니까 화가 나서 그랬는지는 몰라도...그 시간 동안 승강기는 계속 내려가고."
실제 8인승 승강기를 대상으로 한 충격 실험입니다.
150킬로그램 무게의 충격에 문 한 짝이 떨어져 나갔습니다.
국내 승강기 설계기준은 450줄(Joule).
즉 체중 60kg인 두 사람이 시속 10km로 부딪칠 때 견딜만한 수준입니다.
지난 2007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준을 마련했지만, 갖가지 이유로 승강기에 부딪쳐 목숨을 잃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임남혁(행안부) : "고의적으로 부딪치거나 전동차로 밀어붙이는 등 비정상적인 이용상황에선 견딜수 없다."
대법원은 최근 승강기 문에 이례적인 충격을 가해, 문이 떨어져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건물 관리업체에 책임을 묻기 어렵다고 판결한 바 있습니다.
전국에서 가동되고 있는 승강기는 37만여 대.
승강기 이용객들의 안전 의식이 더욱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충격에 약한 ‘승강기 문’, 추락사 위험
-
- 입력 2010-08-26 22:11:04
- 수정2010-08-26 23:55:25

<앵커 멘트>
한 장애인이 전동 휠체어로 지하철 승강기 문을 들이받고 그 아래로 떨어져 숨지는 사고가 났습니다.
실제로 충돌 실험을 해봤더니 생각보다, 충격에 약했습니다. 양민오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하철 역사로 내려가는 승강기 문이 닫힙니다.
전동 휠체어를 타고 달려왔다, 미처 승강기에 타지 못한 장애인 39살 이 모씨가, 이미 닫힌 문을 들이받습니다.
휠체어로 두 차례 더 부딪히자, 문 아래쪽이 부서지면서, 이씨는 15m 아래로 떨어져 숨졌습니다.
<인터뷰>목격자 : "안 태우고 내려가니까 화가 나서 그랬는지는 몰라도...그 시간 동안 승강기는 계속 내려가고."
실제 8인승 승강기를 대상으로 한 충격 실험입니다.
150킬로그램 무게의 충격에 문 한 짝이 떨어져 나갔습니다.
국내 승강기 설계기준은 450줄(Joule).
즉 체중 60kg인 두 사람이 시속 10km로 부딪칠 때 견딜만한 수준입니다.
지난 2007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준을 마련했지만, 갖가지 이유로 승강기에 부딪쳐 목숨을 잃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임남혁(행안부) : "고의적으로 부딪치거나 전동차로 밀어붙이는 등 비정상적인 이용상황에선 견딜수 없다."
대법원은 최근 승강기 문에 이례적인 충격을 가해, 문이 떨어져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건물 관리업체에 책임을 묻기 어렵다고 판결한 바 있습니다.
전국에서 가동되고 있는 승강기는 37만여 대.
승강기 이용객들의 안전 의식이 더욱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한 장애인이 전동 휠체어로 지하철 승강기 문을 들이받고 그 아래로 떨어져 숨지는 사고가 났습니다.
실제로 충돌 실험을 해봤더니 생각보다, 충격에 약했습니다. 양민오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하철 역사로 내려가는 승강기 문이 닫힙니다.
전동 휠체어를 타고 달려왔다, 미처 승강기에 타지 못한 장애인 39살 이 모씨가, 이미 닫힌 문을 들이받습니다.
휠체어로 두 차례 더 부딪히자, 문 아래쪽이 부서지면서, 이씨는 15m 아래로 떨어져 숨졌습니다.
<인터뷰>목격자 : "안 태우고 내려가니까 화가 나서 그랬는지는 몰라도...그 시간 동안 승강기는 계속 내려가고."
실제 8인승 승강기를 대상으로 한 충격 실험입니다.
150킬로그램 무게의 충격에 문 한 짝이 떨어져 나갔습니다.
국내 승강기 설계기준은 450줄(Joule).
즉 체중 60kg인 두 사람이 시속 10km로 부딪칠 때 견딜만한 수준입니다.
지난 2007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준을 마련했지만, 갖가지 이유로 승강기에 부딪쳐 목숨을 잃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임남혁(행안부) : "고의적으로 부딪치거나 전동차로 밀어붙이는 등 비정상적인 이용상황에선 견딜수 없다."
대법원은 최근 승강기 문에 이례적인 충격을 가해, 문이 떨어져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건물 관리업체에 책임을 묻기 어렵다고 판결한 바 있습니다.
전국에서 가동되고 있는 승강기는 37만여 대.
승강기 이용객들의 안전 의식이 더욱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
-
양민오 기자 yangmino@kbs.co.kr
양민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