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생 미혼모 위한 대안학교 개교
입력 2010.09.07 (08:03)
수정 2010.09.07 (08: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임신했다는 이유로 학업을 중단하는 중고생 미혼모들이 많습니다.
이런 학생 미혼모를 위한 대안학교가 문을 열고 첫 수업을 가졌습니다.
엄기숙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고등학교 2학년인 김 모 양은 석달 전 미혼모 쉼터에 들어왔습니다.
임신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만, 퇴학당할 것이 걱정돼 선생님은 물론, 부모님에게도 말 못한채 집을 나왔습니다.
<인터뷰>김 모양 : "(임신하면) 퇴학시켜야 된다고 선생님들이 그렇게 말했어요. 갈데가 없잖아요, 자살하는 애들도 많고..."
전국 미혼모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학생 미혼모의 85%는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임신한 학생들이 공부를 계속할 수 있는 학력 인정 대안학교 두 곳이 첫 수업을 시작했습니다.
이 곳에서 수업을 받으면 출석으로 인정돼, 다니던 학교로 돌아가면 졸업장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예비 부모 교육도 받을 수 있고, 컴퓨터와 자격증 수업 등 취업 준비도 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내년까지 전국의 16개 시도교육청이 최소 한 곳 이상 미혼모 교육 기관을 지정하도록 하게 한다는 방침입니다.
하지만 학생들을 가르칠 교사는 대부분 자원봉사에 의존하고 있어 운영에 어려움이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신지영(원장) : "인성프로그램이나 심리재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지원이 필요한데 현재는 자원봉사 위주로 가니까."
임신을 이유로 이미 학교를 그만둔 학생은 대안학교에 들어올 수 없습니다.
또한 출산 후 육아 대책이 없는 경우가 많아 이와 관련한 지원 방안도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임신했다는 이유로 학업을 중단하는 중고생 미혼모들이 많습니다.
이런 학생 미혼모를 위한 대안학교가 문을 열고 첫 수업을 가졌습니다.
엄기숙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고등학교 2학년인 김 모 양은 석달 전 미혼모 쉼터에 들어왔습니다.
임신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만, 퇴학당할 것이 걱정돼 선생님은 물론, 부모님에게도 말 못한채 집을 나왔습니다.
<인터뷰>김 모양 : "(임신하면) 퇴학시켜야 된다고 선생님들이 그렇게 말했어요. 갈데가 없잖아요, 자살하는 애들도 많고..."
전국 미혼모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학생 미혼모의 85%는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임신한 학생들이 공부를 계속할 수 있는 학력 인정 대안학교 두 곳이 첫 수업을 시작했습니다.
이 곳에서 수업을 받으면 출석으로 인정돼, 다니던 학교로 돌아가면 졸업장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예비 부모 교육도 받을 수 있고, 컴퓨터와 자격증 수업 등 취업 준비도 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내년까지 전국의 16개 시도교육청이 최소 한 곳 이상 미혼모 교육 기관을 지정하도록 하게 한다는 방침입니다.
하지만 학생들을 가르칠 교사는 대부분 자원봉사에 의존하고 있어 운영에 어려움이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신지영(원장) : "인성프로그램이나 심리재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지원이 필요한데 현재는 자원봉사 위주로 가니까."
임신을 이유로 이미 학교를 그만둔 학생은 대안학교에 들어올 수 없습니다.
또한 출산 후 육아 대책이 없는 경우가 많아 이와 관련한 지원 방안도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고생 미혼모 위한 대안학교 개교
-
- 입력 2010-09-07 08:03:16
- 수정2010-09-07 08:22:03

<앵커 멘트>
임신했다는 이유로 학업을 중단하는 중고생 미혼모들이 많습니다.
이런 학생 미혼모를 위한 대안학교가 문을 열고 첫 수업을 가졌습니다.
엄기숙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고등학교 2학년인 김 모 양은 석달 전 미혼모 쉼터에 들어왔습니다.
임신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만, 퇴학당할 것이 걱정돼 선생님은 물론, 부모님에게도 말 못한채 집을 나왔습니다.
<인터뷰>김 모양 : "(임신하면) 퇴학시켜야 된다고 선생님들이 그렇게 말했어요. 갈데가 없잖아요, 자살하는 애들도 많고..."
전국 미혼모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학생 미혼모의 85%는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임신한 학생들이 공부를 계속할 수 있는 학력 인정 대안학교 두 곳이 첫 수업을 시작했습니다.
이 곳에서 수업을 받으면 출석으로 인정돼, 다니던 학교로 돌아가면 졸업장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예비 부모 교육도 받을 수 있고, 컴퓨터와 자격증 수업 등 취업 준비도 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내년까지 전국의 16개 시도교육청이 최소 한 곳 이상 미혼모 교육 기관을 지정하도록 하게 한다는 방침입니다.
하지만 학생들을 가르칠 교사는 대부분 자원봉사에 의존하고 있어 운영에 어려움이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신지영(원장) : "인성프로그램이나 심리재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지원이 필요한데 현재는 자원봉사 위주로 가니까."
임신을 이유로 이미 학교를 그만둔 학생은 대안학교에 들어올 수 없습니다.
또한 출산 후 육아 대책이 없는 경우가 많아 이와 관련한 지원 방안도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
-
엄기숙 기자 hotpencil@kbs.co.kr
엄기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