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정부가 내년에 서민 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을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특히 무상 보육과 전문계 고등학생 학비 지원, 다문화 가족 등을 위해 3조 7천억 원을 쓰기로 했습니다.
노윤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4살 이하 영유아를 돌보는 보육 시설.
한달 평균 보육료는 30만 원 정도입니다.
<인터뷰> 전제광(서울시 성산동) : “아이들 키우면서 나가는 돈이 가계소득의 50% 이상은 된다고 보거든요.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죠”
현재 정부가 보육료를 전액 지원하는 대상은 월 소득 258만 원 이하인 가구.
내년부터는 450만 원 이하로 확대되고 맞벌이 가구는 6백만 원 이하로 완화됩니다.
또 보육 시설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주는 양육 수당도 지원 폭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전체 보육 가정의 70%가 무상 보육을 받게 될 전망입니다.
<인터뷰> 류성걸(기획재정부 2차관) : “일부 고소득자 (상위) 30%를 제외한 모든 시설이용 아동을 가지신 가정에 대해서는 보육료를 전액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교육 여건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다문화 가정은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무상 교육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또 26만 명의 전문계 고등학생에게 연간 120만 원 정도의 교육비를 지급해 사실상 무상교육을 실시합니다.
정부는 무상보육 확대와 전문계 고등학교 지원, 다문화 가족 지원 확충에 내년도 예산에서 모두 3조 7천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노윤정입니다.
정부가 내년에 서민 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을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특히 무상 보육과 전문계 고등학생 학비 지원, 다문화 가족 등을 위해 3조 7천억 원을 쓰기로 했습니다.
노윤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4살 이하 영유아를 돌보는 보육 시설.
한달 평균 보육료는 30만 원 정도입니다.
<인터뷰> 전제광(서울시 성산동) : “아이들 키우면서 나가는 돈이 가계소득의 50% 이상은 된다고 보거든요.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죠”
현재 정부가 보육료를 전액 지원하는 대상은 월 소득 258만 원 이하인 가구.
내년부터는 450만 원 이하로 확대되고 맞벌이 가구는 6백만 원 이하로 완화됩니다.
또 보육 시설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주는 양육 수당도 지원 폭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전체 보육 가정의 70%가 무상 보육을 받게 될 전망입니다.
<인터뷰> 류성걸(기획재정부 2차관) : “일부 고소득자 (상위) 30%를 제외한 모든 시설이용 아동을 가지신 가정에 대해서는 보육료를 전액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교육 여건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다문화 가정은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무상 교육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또 26만 명의 전문계 고등학생에게 연간 120만 원 정도의 교육비를 지급해 사실상 무상교육을 실시합니다.
정부는 무상보육 확대와 전문계 고등학교 지원, 다문화 가족 지원 확충에 내년도 예산에서 모두 3조 7천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노윤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산층까지 ‘무상 보육’ 대폭 확대
-
- 입력 2010-09-17 07:17:09

<앵커 멘트>
정부가 내년에 서민 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을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특히 무상 보육과 전문계 고등학생 학비 지원, 다문화 가족 등을 위해 3조 7천억 원을 쓰기로 했습니다.
노윤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4살 이하 영유아를 돌보는 보육 시설.
한달 평균 보육료는 30만 원 정도입니다.
<인터뷰> 전제광(서울시 성산동) : “아이들 키우면서 나가는 돈이 가계소득의 50% 이상은 된다고 보거든요.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죠”
현재 정부가 보육료를 전액 지원하는 대상은 월 소득 258만 원 이하인 가구.
내년부터는 450만 원 이하로 확대되고 맞벌이 가구는 6백만 원 이하로 완화됩니다.
또 보육 시설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주는 양육 수당도 지원 폭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전체 보육 가정의 70%가 무상 보육을 받게 될 전망입니다.
<인터뷰> 류성걸(기획재정부 2차관) : “일부 고소득자 (상위) 30%를 제외한 모든 시설이용 아동을 가지신 가정에 대해서는 보육료를 전액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교육 여건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다문화 가정은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무상 교육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또 26만 명의 전문계 고등학생에게 연간 120만 원 정도의 교육비를 지급해 사실상 무상교육을 실시합니다.
정부는 무상보육 확대와 전문계 고등학교 지원, 다문화 가족 지원 확충에 내년도 예산에서 모두 3조 7천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노윤정입니다.
-
-
노윤정 기자 watchdog@kbs.co.kr
노윤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