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이른 추석에 ‘식중독’ 주의!
입력 2010.09.17 (13:01)
수정 2010.09.17 (13: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추석 연휴가 예년보다 십여일 빠름에 따라 식중독에 주의해야 한다고 보건당국이 당부했습니다.
박은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 추석이 예년보다 빠르기 때문에 음식보관과 조리기구 관리를 잘못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청은 최근 조사결과, 우리나라 주부의 58%가 칼과 도마를 육류와 채소 구분없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럴 경우 교차오염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식약청이 인위적으로 대장균 십만마리를 육류에 오염시켜 칼로 잘랐을 때, 칼에선 대장균 천마리, 도마에선 백마리가 나왔습니다.
또 이 칼로 채소를 자를 경우 채소에서도 대장균 천마리가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므로 칼과 도마는 용도별로 구분해 사용해야 하고, 하나의 칼 도마만 사용한다면 채소, 육류, 어패류 순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또 식재료가 달라질 경우에는 흐르는 물에 최소 10초 이상 씻는 것이 필요합니다.
행주 역시 미생물이 많이 있는만큼 싱크대용과 식탁용을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 손에 상처가 있으면 식중독균이 음식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상처를 소독한 후 고무 등 재질로 감싸 음식과 접촉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KBS 뉴스 박은주입니다.
이번 추석 연휴가 예년보다 십여일 빠름에 따라 식중독에 주의해야 한다고 보건당국이 당부했습니다.
박은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 추석이 예년보다 빠르기 때문에 음식보관과 조리기구 관리를 잘못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청은 최근 조사결과, 우리나라 주부의 58%가 칼과 도마를 육류와 채소 구분없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럴 경우 교차오염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식약청이 인위적으로 대장균 십만마리를 육류에 오염시켜 칼로 잘랐을 때, 칼에선 대장균 천마리, 도마에선 백마리가 나왔습니다.
또 이 칼로 채소를 자를 경우 채소에서도 대장균 천마리가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므로 칼과 도마는 용도별로 구분해 사용해야 하고, 하나의 칼 도마만 사용한다면 채소, 육류, 어패류 순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또 식재료가 달라질 경우에는 흐르는 물에 최소 10초 이상 씻는 것이 필요합니다.
행주 역시 미생물이 많이 있는만큼 싱크대용과 식탁용을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 손에 상처가 있으면 식중독균이 음식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상처를 소독한 후 고무 등 재질로 감싸 음식과 접촉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KBS 뉴스 박은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때이른 추석에 ‘식중독’ 주의!
-
- 입력 2010-09-17 13:01:35
- 수정2010-09-17 13:03:34

<앵커 멘트>
이번 추석 연휴가 예년보다 십여일 빠름에 따라 식중독에 주의해야 한다고 보건당국이 당부했습니다.
박은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 추석이 예년보다 빠르기 때문에 음식보관과 조리기구 관리를 잘못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청은 최근 조사결과, 우리나라 주부의 58%가 칼과 도마를 육류와 채소 구분없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럴 경우 교차오염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식약청이 인위적으로 대장균 십만마리를 육류에 오염시켜 칼로 잘랐을 때, 칼에선 대장균 천마리, 도마에선 백마리가 나왔습니다.
또 이 칼로 채소를 자를 경우 채소에서도 대장균 천마리가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므로 칼과 도마는 용도별로 구분해 사용해야 하고, 하나의 칼 도마만 사용한다면 채소, 육류, 어패류 순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또 식재료가 달라질 경우에는 흐르는 물에 최소 10초 이상 씻는 것이 필요합니다.
행주 역시 미생물이 많이 있는만큼 싱크대용과 식탁용을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 손에 상처가 있으면 식중독균이 음식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상처를 소독한 후 고무 등 재질로 감싸 음식과 접촉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KBS 뉴스 박은주입니다.
이번 추석 연휴가 예년보다 십여일 빠름에 따라 식중독에 주의해야 한다고 보건당국이 당부했습니다.
박은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 추석이 예년보다 빠르기 때문에 음식보관과 조리기구 관리를 잘못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청은 최근 조사결과, 우리나라 주부의 58%가 칼과 도마를 육류와 채소 구분없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럴 경우 교차오염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식약청이 인위적으로 대장균 십만마리를 육류에 오염시켜 칼로 잘랐을 때, 칼에선 대장균 천마리, 도마에선 백마리가 나왔습니다.
또 이 칼로 채소를 자를 경우 채소에서도 대장균 천마리가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므로 칼과 도마는 용도별로 구분해 사용해야 하고, 하나의 칼 도마만 사용한다면 채소, 육류, 어패류 순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또 식재료가 달라질 경우에는 흐르는 물에 최소 10초 이상 씻는 것이 필요합니다.
행주 역시 미생물이 많이 있는만큼 싱크대용과 식탁용을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 손에 상처가 있으면 식중독균이 음식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상처를 소독한 후 고무 등 재질로 감싸 음식과 접촉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KBS 뉴스 박은주입니다.
-
-
박은주 기자 winepark@kbs.co.kr
박은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