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말엔] 전통 공연 ‘연희, 난장 트다’ 外

입력 2010.09.17 (13: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아침저녁으로 가을 분위기가 완연합니다.

풍성한 한가위를 앞둔 문화가 소식 조성훈 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을을 여는 음악소식부터 알아볼까요.

<리포트>

네,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한가위에는 역시 우리 전통 놀이 공연이 제격인데요.

거기에다 '무료'라는 매력도 있습니다.

흥겨운 난장 무대 함께 보시죠.

고된 세상살이에 쌓인 스트레스를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흥겨운 난장 무댑니다.

줄타기와 대접 돌리기, 무동놀이 등 다양한 남사당 놀이와 함께 영남 가락과 호남 가락, 그리고 경기 충청의 '웃다리' 가락을 엮어 만든 사물놀이까지 신명나는 놀이판이 펼쳐지는데요.

함께 떠들고, 웃으며 우리 전통 놀이를 다채롭게 즐길 수 있는 기횝니다.

관객들이 직접 줄타기와 민속놀이도 체험할 수 있는데요.

전통 연희 활성화를 위해 국립 국악원이 새로 창설한 연희부의 첫번째 공연무대로 관람료는 무룝니다.

이번엔 가을의 문턱에서 러시아를 느낄 수 있는 연주회 소식입니다.

탁월한 리듬감이 돋보이는 '프로 코피에프'의 발레 모음곡과 국내에선 실황 연주를 좀처럼 듣기 힘든, '글라주노프'의 교향곡이 연주됩니다.

음대 재학생 백 20명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의 역동적인 사운드가 고전과 현대, 그리고 낭만적 요소를 모두 갖췄다는 러시아 작곡가들의 작품을 통해 진한 가을의 느낌을 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질문> 국내 첫 무대에 서는 발레 공연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면서요?

<답변>

네, 세기의 발레리나이자, 러시아가 낳은 20세기 최고의 프리마돈나로 불리는 '마야 프리셋츠카야'가 이끄는 '국립 러시안 클래식 발레단'이 드디어 한국을 찾습니다.

먼저 만나보시죠.

국립 러시안 클래식 발레단은 볼쇼이 발레단 출신 무용수들이 주축입니다.

특히 무용단 단장을 맡고 있는 '마야 프리셋츠카야'의 명성이 대단한데요.

그 녀의 갈라쇼는 이미 여러차례 매진이 된 적이 있고요.

세계 수많은 안무가가 그녀를 위해 따로 역할을 만들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거장의 손길이 닿은 이번 공연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를 모읍니다.

일흔 번째 생일을 맞이한 한 노인이 과거 자신의 생일마다 녹음했던 자신의 이야기가 담긴 테이프를 들으며 옛 기억을 떠올립니다.

대사 중심이 아닌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중시하는 이른바 '이미지 연극'에 있어 세계 최고란 평가를 받는 연출가 '로버트 윌슨'의 연극 '크라프의 마지막 테이프'입니다.

무대 위 사물들의 배치는 물론, 조명과 소리 하나까지 섬세하고 세련되게 표현한 이미지가 거장의 손길을 느끼게 하는데요.

서울연극올림픽 국제위원 초청작이자, 세계 국립극장 페스티벌 참가작입니다.

<질문> 이번엔 주말과 휴일을 풍성하게 해줄 전시회 소개해 주시죠.

<답변>

조선시대 대표적인 문인화가죠! 능호관 이인상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기품있는 문인화의 세계 함께 보시죠.

소나무가 폭포를 가로질러 누워 있는 과감한 구도, 18세기 화가 능호관 이인상의 대표작 '송하 관폭도'입니다.

나무 뒤로 희미하게 그려진 바위가 서서히 드러나는 묘미를 지닌 '수석도'.

눈 덮인 소나무를 표현하기 위해 뭔가를 두텁게 덧바르고 나서 먹을 친 독특한 기법이 돋보이는 '설송도'.

조선시대 문인 정신과 미학을 가장 잘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 당대 최고의 문인화가 이인상의 작품들입니다.

이인상 탄생 300주년을 맞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작품 20여 점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입니다.

좌우로 움직여가면서 작품을 보면요.

화면 속 그림들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죠.

그런데 다시 한 번, 잘 보시면요.

화면 속 그림이 아니라 관람객의 시선이 움직였다는 것을 눈치 챌 수 있습니다.

마치 3D 입체화면 같은 신기한 느낌을 주는데요.

실제로 가까이 가서 보면 화면이 앞으로 툭 튀어나와 있는 입체 작품입니다.

독창적인 작품세계로 널리 알려진 영국 작가 패트릭 휴즈가 창안한 이른바 '입체적인 조각 그림'인데요.

기존의 원근법을 반대로 뒤집은 '역원근법'을 사용해서 착시 현상을 유도하는 작품들이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전시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번 주말엔] 전통 공연 ‘연희, 난장 트다’ 外
    • 입력 2010-09-17 13:01:41
    뉴스 12
<앵커 멘트> 아침저녁으로 가을 분위기가 완연합니다. 풍성한 한가위를 앞둔 문화가 소식 조성훈 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을을 여는 음악소식부터 알아볼까요. <리포트> 네,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한가위에는 역시 우리 전통 놀이 공연이 제격인데요. 거기에다 '무료'라는 매력도 있습니다. 흥겨운 난장 무대 함께 보시죠. 고된 세상살이에 쌓인 스트레스를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흥겨운 난장 무댑니다. 줄타기와 대접 돌리기, 무동놀이 등 다양한 남사당 놀이와 함께 영남 가락과 호남 가락, 그리고 경기 충청의 '웃다리' 가락을 엮어 만든 사물놀이까지 신명나는 놀이판이 펼쳐지는데요. 함께 떠들고, 웃으며 우리 전통 놀이를 다채롭게 즐길 수 있는 기횝니다. 관객들이 직접 줄타기와 민속놀이도 체험할 수 있는데요. 전통 연희 활성화를 위해 국립 국악원이 새로 창설한 연희부의 첫번째 공연무대로 관람료는 무룝니다. 이번엔 가을의 문턱에서 러시아를 느낄 수 있는 연주회 소식입니다. 탁월한 리듬감이 돋보이는 '프로 코피에프'의 발레 모음곡과 국내에선 실황 연주를 좀처럼 듣기 힘든, '글라주노프'의 교향곡이 연주됩니다. 음대 재학생 백 20명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의 역동적인 사운드가 고전과 현대, 그리고 낭만적 요소를 모두 갖췄다는 러시아 작곡가들의 작품을 통해 진한 가을의 느낌을 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질문> 국내 첫 무대에 서는 발레 공연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면서요? <답변> 네, 세기의 발레리나이자, 러시아가 낳은 20세기 최고의 프리마돈나로 불리는 '마야 프리셋츠카야'가 이끄는 '국립 러시안 클래식 발레단'이 드디어 한국을 찾습니다. 먼저 만나보시죠. 국립 러시안 클래식 발레단은 볼쇼이 발레단 출신 무용수들이 주축입니다. 특히 무용단 단장을 맡고 있는 '마야 프리셋츠카야'의 명성이 대단한데요. 그 녀의 갈라쇼는 이미 여러차례 매진이 된 적이 있고요. 세계 수많은 안무가가 그녀를 위해 따로 역할을 만들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거장의 손길이 닿은 이번 공연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를 모읍니다. 일흔 번째 생일을 맞이한 한 노인이 과거 자신의 생일마다 녹음했던 자신의 이야기가 담긴 테이프를 들으며 옛 기억을 떠올립니다. 대사 중심이 아닌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중시하는 이른바 '이미지 연극'에 있어 세계 최고란 평가를 받는 연출가 '로버트 윌슨'의 연극 '크라프의 마지막 테이프'입니다. 무대 위 사물들의 배치는 물론, 조명과 소리 하나까지 섬세하고 세련되게 표현한 이미지가 거장의 손길을 느끼게 하는데요. 서울연극올림픽 국제위원 초청작이자, 세계 국립극장 페스티벌 참가작입니다. <질문> 이번엔 주말과 휴일을 풍성하게 해줄 전시회 소개해 주시죠. <답변> 조선시대 대표적인 문인화가죠! 능호관 이인상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기품있는 문인화의 세계 함께 보시죠. 소나무가 폭포를 가로질러 누워 있는 과감한 구도, 18세기 화가 능호관 이인상의 대표작 '송하 관폭도'입니다. 나무 뒤로 희미하게 그려진 바위가 서서히 드러나는 묘미를 지닌 '수석도'. 눈 덮인 소나무를 표현하기 위해 뭔가를 두텁게 덧바르고 나서 먹을 친 독특한 기법이 돋보이는 '설송도'. 조선시대 문인 정신과 미학을 가장 잘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 당대 최고의 문인화가 이인상의 작품들입니다. 이인상 탄생 300주년을 맞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작품 20여 점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입니다. 좌우로 움직여가면서 작품을 보면요. 화면 속 그림들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죠. 그런데 다시 한 번, 잘 보시면요. 화면 속 그림이 아니라 관람객의 시선이 움직였다는 것을 눈치 챌 수 있습니다. 마치 3D 입체화면 같은 신기한 느낌을 주는데요. 실제로 가까이 가서 보면 화면이 앞으로 툭 튀어나와 있는 입체 작품입니다. 독창적인 작품세계로 널리 알려진 영국 작가 패트릭 휴즈가 창안한 이른바 '입체적인 조각 그림'인데요. 기존의 원근법을 반대로 뒤집은 '역원근법'을 사용해서 착시 현상을 유도하는 작품들이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전시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