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이산 상봉 일정 합의…장소는 24일 재협의
입력 2010.09.17 (17:37)
수정 2010.09.17 (2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이 다음달 21일부터 일주일 동안 이산가족 상봉을 갖기로 의견이 좁혀졌지만 구체적인 장소를 둘러싼 견해차가 커 다음주 금요일 실무접촉을 다시 갖기로 했습니다.
김의도 남측 적십자 실무접촉 대표단장은 오늘 저녁 남북출입사무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측과 다음달 21일부터 27일까지 이산가족 상봉을 갖자는 일정에는 합의를 했지만 장소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장소로 우리 측에서는 금강산 면회소를 제의한 반면, 북측에서 면회소는 동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적인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고 알려와 논의가 진전되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남측 대표단은 북측에서 먼저 실무접촉의 진행이 더이상 어렵다고 알려옴에 따라 일단 논의를 접었다며 오는 24일 추가접촉에서는 북측에서 내부 협의를 거친 뒤 새로운 안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관심을 모았던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관련해 북측은 남북관계의 분위기가 좋아질 경우 이 문제를 협의할 수도 있다는 반응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봉 인원과 관련해 남측은 기존 남북이 각각 100가족 씩 상봉했던 규모를 확대하자고 제의했지만 북측에서는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통일부는 덧붙였습니다.
한편, 남측이 실무접촉 기조 발언을 통해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도 반드시 해결해 나가자고 촉구한 데 대해 북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의도 남측 적십자 실무접촉 대표단장은 오늘 저녁 남북출입사무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측과 다음달 21일부터 27일까지 이산가족 상봉을 갖자는 일정에는 합의를 했지만 장소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장소로 우리 측에서는 금강산 면회소를 제의한 반면, 북측에서 면회소는 동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적인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고 알려와 논의가 진전되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남측 대표단은 북측에서 먼저 실무접촉의 진행이 더이상 어렵다고 알려옴에 따라 일단 논의를 접었다며 오는 24일 추가접촉에서는 북측에서 내부 협의를 거친 뒤 새로운 안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관심을 모았던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관련해 북측은 남북관계의 분위기가 좋아질 경우 이 문제를 협의할 수도 있다는 반응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봉 인원과 관련해 남측은 기존 남북이 각각 100가족 씩 상봉했던 규모를 확대하자고 제의했지만 북측에서는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통일부는 덧붙였습니다.
한편, 남측이 실무접촉 기조 발언을 통해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도 반드시 해결해 나가자고 촉구한 데 대해 북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북, 이산 상봉 일정 합의…장소는 24일 재협의
-
- 입력 2010-09-17 17:37:52
- 수정2010-09-17 20:34:24
남북이 다음달 21일부터 일주일 동안 이산가족 상봉을 갖기로 의견이 좁혀졌지만 구체적인 장소를 둘러싼 견해차가 커 다음주 금요일 실무접촉을 다시 갖기로 했습니다.
김의도 남측 적십자 실무접촉 대표단장은 오늘 저녁 남북출입사무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측과 다음달 21일부터 27일까지 이산가족 상봉을 갖자는 일정에는 합의를 했지만 장소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장소로 우리 측에서는 금강산 면회소를 제의한 반면, 북측에서 면회소는 동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적인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고 알려와 논의가 진전되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남측 대표단은 북측에서 먼저 실무접촉의 진행이 더이상 어렵다고 알려옴에 따라 일단 논의를 접었다며 오는 24일 추가접촉에서는 북측에서 내부 협의를 거친 뒤 새로운 안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관심을 모았던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관련해 북측은 남북관계의 분위기가 좋아질 경우 이 문제를 협의할 수도 있다는 반응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봉 인원과 관련해 남측은 기존 남북이 각각 100가족 씩 상봉했던 규모를 확대하자고 제의했지만 북측에서는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통일부는 덧붙였습니다.
한편, 남측이 실무접촉 기조 발언을 통해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도 반드시 해결해 나가자고 촉구한 데 대해 북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
김기현 기자 kimkh@kbs.co.kr
김기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