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마을마다 설치돼 있는 '경로당', 노인들에게는 소통의 장이자, 마을 대.소사의 지혜를 모으던 곳인데요.
하지만, 각박해진 사회 속에서 마을 사랑방 역할을 해온 경로당도 이제는 많이 변했다고 합니다.
강민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인이면 누구나 들러 얘기도 나누고 여가도 활용하던 경로당, 요즘엔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공간이 아닙니다.
요즘 경로당은 대부분 회원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노인들을 상대로 한 사기가 극성을 부리는데다, 절도 사건 등이 끊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녹취> 아파트 경로당 관계자 : “아파트 안 사는 사람은 회원에 안 넣어 주지…사기꾼들이 많이 와요. 봉사한다고 와 가지고 반지 집어들고 가서 안 오고..”
서울의 한 구립 경로당에 60대 노인과 함께 이용을 문의해 봤습니다.
다른 구 거주자들은 아예 출입이 불가능합니다.
<녹취> “아파트 살면 안 돼요. 구역이 있어서.. (아들네 집에 놀러왔는데..) 아들네 집에 다녀왔으면 있다 가시면 되는 거지 뭐!”
회비를 납부해야 회원 가입이 가능하고, 회원수가 꽉 찬 경로당에는 회비를 내도 신규 가입이 어렵습니다.
<녹취> 경로당 관계자 : “돈 5만 원씩 내고요. 다달이 회비 3만 원씩. 근데 요새는 (좁아서) 들이지 말래요”
각박한 도시의 삶 속에서 마을 사랑방 역할을 하던 경로당마저 폐쇄적으로 운영되면서 구청과 노인단체 등에는 경로당 이용과 운영에 대한 민원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민수입니다.
마을마다 설치돼 있는 '경로당', 노인들에게는 소통의 장이자, 마을 대.소사의 지혜를 모으던 곳인데요.
하지만, 각박해진 사회 속에서 마을 사랑방 역할을 해온 경로당도 이제는 많이 변했다고 합니다.
강민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인이면 누구나 들러 얘기도 나누고 여가도 활용하던 경로당, 요즘엔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공간이 아닙니다.
요즘 경로당은 대부분 회원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노인들을 상대로 한 사기가 극성을 부리는데다, 절도 사건 등이 끊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녹취> 아파트 경로당 관계자 : “아파트 안 사는 사람은 회원에 안 넣어 주지…사기꾼들이 많이 와요. 봉사한다고 와 가지고 반지 집어들고 가서 안 오고..”
서울의 한 구립 경로당에 60대 노인과 함께 이용을 문의해 봤습니다.
다른 구 거주자들은 아예 출입이 불가능합니다.
<녹취> “아파트 살면 안 돼요. 구역이 있어서.. (아들네 집에 놀러왔는데..) 아들네 집에 다녀왔으면 있다 가시면 되는 거지 뭐!”
회비를 납부해야 회원 가입이 가능하고, 회원수가 꽉 찬 경로당에는 회비를 내도 신규 가입이 어렵습니다.
<녹취> 경로당 관계자 : “돈 5만 원씩 내고요. 다달이 회비 3만 원씩. 근데 요새는 (좁아서) 들이지 말래요”
각박한 도시의 삶 속에서 마을 사랑방 역할을 하던 경로당마저 폐쇄적으로 운영되면서 구청과 노인단체 등에는 경로당 이용과 운영에 대한 민원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민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회원제 경로당 등장’ 사랑방은 옛말
-
- 입력 2010-09-27 07:26:29

<앵커 멘트>
마을마다 설치돼 있는 '경로당', 노인들에게는 소통의 장이자, 마을 대.소사의 지혜를 모으던 곳인데요.
하지만, 각박해진 사회 속에서 마을 사랑방 역할을 해온 경로당도 이제는 많이 변했다고 합니다.
강민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인이면 누구나 들러 얘기도 나누고 여가도 활용하던 경로당, 요즘엔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공간이 아닙니다.
요즘 경로당은 대부분 회원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노인들을 상대로 한 사기가 극성을 부리는데다, 절도 사건 등이 끊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녹취> 아파트 경로당 관계자 : “아파트 안 사는 사람은 회원에 안 넣어 주지…사기꾼들이 많이 와요. 봉사한다고 와 가지고 반지 집어들고 가서 안 오고..”
서울의 한 구립 경로당에 60대 노인과 함께 이용을 문의해 봤습니다.
다른 구 거주자들은 아예 출입이 불가능합니다.
<녹취> “아파트 살면 안 돼요. 구역이 있어서.. (아들네 집에 놀러왔는데..) 아들네 집에 다녀왔으면 있다 가시면 되는 거지 뭐!”
회비를 납부해야 회원 가입이 가능하고, 회원수가 꽉 찬 경로당에는 회비를 내도 신규 가입이 어렵습니다.
<녹취> 경로당 관계자 : “돈 5만 원씩 내고요. 다달이 회비 3만 원씩. 근데 요새는 (좁아서) 들이지 말래요”
각박한 도시의 삶 속에서 마을 사랑방 역할을 하던 경로당마저 폐쇄적으로 운영되면서 구청과 노인단체 등에는 경로당 이용과 운영에 대한 민원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민수입니다.
-
-
강민수 기자 mandoo@kbs.co.kr
강민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