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가 된 시인, 좌충우돌 농사일기

입력 2010.09.27 (1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해에만 도시민 4천 명이 다시 농촌으로 돌아가는 등 귀농 붐이 일고 있습니다.



하지만, 농사짓는 일이 쉽지만은 않을텐데요.



농부가 된 지 6년차인 한 시인의 좌충우돌 농사일기를 조미령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경남 합천의 황매산 기슭.



빨갛게 윤이 나야 할 고추가 새까맣게 쪼그라들었지만 초보 농부는 결코 실망하지 않습니다.



<인터뷰>서정홍(시인) : "어려운 게 없어요. 농사는 단순 노동이어서 할머니들한테 물어보면 다 가르쳐주세요. 할머니들이 박사예요."



지난 2005년 도시 생활을 접고 산골로 들어가 농부가 된 53살 서정홍 시인.



농약 대신 우렁이를 풀어 친환경농법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일터로 향하는 모습은 영락없는 농부지만 6년째 접어든 농사일은 아직도 좌충우돌입니다.



<인터뷰>서정홍(시인) : "벌레가 잘라 먹은 데를 보면 벌레가 틀림없이 있어요."



밑둥을 쏙 빼먹은 배추벌레에 애를 태우면서도 농부 시인은 시상을 떠올립니다.



<인터뷰>서정홍(시인) : "집게로 잡으려고 하면 까만 눈으로 나를 빤히 쳐다본다. 그 까만 눈과 마주치면 자꾸만 잡을까 말까 망설여진다."



일하지 않으면 먹을 수 없지만 도시에서의 일상보다 행복감을 느낍니다.



<인터뷰>서정홍(시인) : "옷도 허름해도 누가 날 깔보는 사람이 없고 농촌살면 하늘한테 잘보여야 돼요. 사람한테 잘 보일 필요없이."



땀 흘리고 쓴 시가 더 큰 감동을 준다는 그는 오늘도 구슬땀을 흘리며 자연과 삶의 소중함을 배웁니다.



KBS 뉴스 조미령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부가 된 시인, 좌충우돌 농사일기
    • 입력 2010-09-27 10:01:18
    930뉴스
<앵커 멘트>

지난해에만 도시민 4천 명이 다시 농촌으로 돌아가는 등 귀농 붐이 일고 있습니다.

하지만, 농사짓는 일이 쉽지만은 않을텐데요.

농부가 된 지 6년차인 한 시인의 좌충우돌 농사일기를 조미령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경남 합천의 황매산 기슭.

빨갛게 윤이 나야 할 고추가 새까맣게 쪼그라들었지만 초보 농부는 결코 실망하지 않습니다.

<인터뷰>서정홍(시인) : "어려운 게 없어요. 농사는 단순 노동이어서 할머니들한테 물어보면 다 가르쳐주세요. 할머니들이 박사예요."

지난 2005년 도시 생활을 접고 산골로 들어가 농부가 된 53살 서정홍 시인.

농약 대신 우렁이를 풀어 친환경농법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일터로 향하는 모습은 영락없는 농부지만 6년째 접어든 농사일은 아직도 좌충우돌입니다.

<인터뷰>서정홍(시인) : "벌레가 잘라 먹은 데를 보면 벌레가 틀림없이 있어요."

밑둥을 쏙 빼먹은 배추벌레에 애를 태우면서도 농부 시인은 시상을 떠올립니다.

<인터뷰>서정홍(시인) : "집게로 잡으려고 하면 까만 눈으로 나를 빤히 쳐다본다. 그 까만 눈과 마주치면 자꾸만 잡을까 말까 망설여진다."

일하지 않으면 먹을 수 없지만 도시에서의 일상보다 행복감을 느낍니다.

<인터뷰>서정홍(시인) : "옷도 허름해도 누가 날 깔보는 사람이 없고 농촌살면 하늘한테 잘보여야 돼요. 사람한테 잘 보일 필요없이."

땀 흘리고 쓴 시가 더 큰 감동을 준다는 그는 오늘도 구슬땀을 흘리며 자연과 삶의 소중함을 배웁니다.

KBS 뉴스 조미령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