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4분의 3 정도는 통일비용을 부담하거나 이를 검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가 독일 통일 20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반드시 통일돼야 한다'는 응답이 38.8%, '통일되는 게 낫다'가 38.9%로, 통일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80%에 이르렀습니다.
통일의 필요성을 못 느낀다거나 반대한다는 응답은 13%였습니다.
통일 비용 부담과 관련해서는, 국민적 합의가 있으면 생각해보겠다는 응답이 45%, 소액이면 부담한다 등 비용부담 또는 검토의사를 밝힌 경우가 74.4%였습니다.
직접 부담을 반대한다는 응답도 4분의 1이 조금 넘었습니다.
'통일비용 조성 방식'으로는 70%가 간접세와 별도의 기금조성을 선호했고, 소득대비 통일 비용 부담규모는 56.8%가 독일보다 적은 0.7%미만을 원했습니다.
통일 방식으로는 응답자의 34%가 2체제 2정부안을, 28%는 흡수통일을 지지했으며, 응답자의 69%는 통일 뒤 경제 규모가 독일처럼 일정 시기 이후 강대해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통일의 가장 큰 걸림돌로는 38%가 주변 열강의 이해 상충을 꼽았고, 남북간 다른 체제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여론조사는 KBS가 엠비존에 의뢰해 지난 달 28일 19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로 실시했으며, 오차범위는 95%의 신뢰수준에 ±3.1%P입니다.
KBS가 독일 통일 20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반드시 통일돼야 한다'는 응답이 38.8%, '통일되는 게 낫다'가 38.9%로, 통일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80%에 이르렀습니다.
통일의 필요성을 못 느낀다거나 반대한다는 응답은 13%였습니다.
통일 비용 부담과 관련해서는, 국민적 합의가 있으면 생각해보겠다는 응답이 45%, 소액이면 부담한다 등 비용부담 또는 검토의사를 밝힌 경우가 74.4%였습니다.
직접 부담을 반대한다는 응답도 4분의 1이 조금 넘었습니다.
'통일비용 조성 방식'으로는 70%가 간접세와 별도의 기금조성을 선호했고, 소득대비 통일 비용 부담규모는 56.8%가 독일보다 적은 0.7%미만을 원했습니다.
통일 방식으로는 응답자의 34%가 2체제 2정부안을, 28%는 흡수통일을 지지했으며, 응답자의 69%는 통일 뒤 경제 규모가 독일처럼 일정 시기 이후 강대해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통일의 가장 큰 걸림돌로는 38%가 주변 열강의 이해 상충을 꼽았고, 남북간 다른 체제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여론조사는 KBS가 엠비존에 의뢰해 지난 달 28일 19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로 실시했으며, 오차범위는 95%의 신뢰수준에 ±3.1%P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 국민 74.4% “통일 비용 부담 가능”
-
- 입력 2010-10-04 20:08:06
우리 국민의 4분의 3 정도는 통일비용을 부담하거나 이를 검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가 독일 통일 20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반드시 통일돼야 한다'는 응답이 38.8%, '통일되는 게 낫다'가 38.9%로, 통일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80%에 이르렀습니다.
통일의 필요성을 못 느낀다거나 반대한다는 응답은 13%였습니다.
통일 비용 부담과 관련해서는, 국민적 합의가 있으면 생각해보겠다는 응답이 45%, 소액이면 부담한다 등 비용부담 또는 검토의사를 밝힌 경우가 74.4%였습니다.
직접 부담을 반대한다는 응답도 4분의 1이 조금 넘었습니다.
'통일비용 조성 방식'으로는 70%가 간접세와 별도의 기금조성을 선호했고, 소득대비 통일 비용 부담규모는 56.8%가 독일보다 적은 0.7%미만을 원했습니다.
통일 방식으로는 응답자의 34%가 2체제 2정부안을, 28%는 흡수통일을 지지했으며, 응답자의 69%는 통일 뒤 경제 규모가 독일처럼 일정 시기 이후 강대해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통일의 가장 큰 걸림돌로는 38%가 주변 열강의 이해 상충을 꼽았고, 남북간 다른 체제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여론조사는 KBS가 엠비존에 의뢰해 지난 달 28일 19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로 실시했으며, 오차범위는 95%의 신뢰수준에 ±3.1%P입니다.
-
-
윤영란 기자 ranny@kbs.co.kr
윤영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