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유방암 급증…증가율 세계 최고 수준

입력 2010.10.14 (07:57) 수정 2010.10.14 (09: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50대 유방암 환자가 5년 만에 2배 가까이 느는 등 급증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고열량 위주의 서구화된 식습관 때문으로 분석되는데, 증가 속도가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김나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3기 유방암 환자를 촬영한 CT 영상입니다.



한 쪽 가슴에 6센티미터의 혹이 보입니다.



이 여성은 몇달 전부터 가슴 피부에 이상 증세를 느끼다 결국 유방암 진단을 받았습니다.



<인터뷰>박모씨(52세/유방암 환자):"샤워하면서 봤는데 벌겋게 땀띠같이 반달 모양처럼 났더라구요. 열도 좀 나고"



지난해 유방암 환자는 8만 8천명, 지난 2005년 이후 연평균 11%씩 늘고 있습니다.



특히 50대 환자는 최근 5년사이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증가 속도가 빠르기로는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전통적 식습관이 대세인 노년층은 유방암 발병이 드문 반면 4-50대 중년층이 6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40대 이후 나이에 비례해 환자가 많아지는 서구와는 다릅니다.



<인터뷰>송병주(서울성모병원 유방암센터 교수):"중년 여성 이후엔 난소에서 나오던 에스트로겐이 지방세포에서 나오기 때문에, 식생활 습관이 서구화되면서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이것이 유방암 발병의 증가 원인으로.."



또 늦은 폐경과 저출산, 모유수유 기피도 유방암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유방암은 빨리 발견하면 생존율이 90%에 이르는 만큼 서른살이 넘은 여성이라면 매월 자가검진을 하고, 주기적으로 의사의 검진도 받아야 합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0대 유방암 급증…증가율 세계 최고 수준
    • 입력 2010-10-14 07:57:55
    • 수정2010-10-14 09:37:13
    뉴스광장
<앵커 멘트>

50대 유방암 환자가 5년 만에 2배 가까이 느는 등 급증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고열량 위주의 서구화된 식습관 때문으로 분석되는데, 증가 속도가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김나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3기 유방암 환자를 촬영한 CT 영상입니다.

한 쪽 가슴에 6센티미터의 혹이 보입니다.

이 여성은 몇달 전부터 가슴 피부에 이상 증세를 느끼다 결국 유방암 진단을 받았습니다.

<인터뷰>박모씨(52세/유방암 환자):"샤워하면서 봤는데 벌겋게 땀띠같이 반달 모양처럼 났더라구요. 열도 좀 나고"

지난해 유방암 환자는 8만 8천명, 지난 2005년 이후 연평균 11%씩 늘고 있습니다.

특히 50대 환자는 최근 5년사이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증가 속도가 빠르기로는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전통적 식습관이 대세인 노년층은 유방암 발병이 드문 반면 4-50대 중년층이 6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40대 이후 나이에 비례해 환자가 많아지는 서구와는 다릅니다.

<인터뷰>송병주(서울성모병원 유방암센터 교수):"중년 여성 이후엔 난소에서 나오던 에스트로겐이 지방세포에서 나오기 때문에, 식생활 습관이 서구화되면서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이것이 유방암 발병의 증가 원인으로.."

또 늦은 폐경과 저출산, 모유수유 기피도 유방암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유방암은 빨리 발견하면 생존율이 90%에 이르는 만큼 서른살이 넘은 여성이라면 매월 자가검진을 하고, 주기적으로 의사의 검진도 받아야 합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