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피난 연평도 ‘적막·폐허’

입력 2010.11.25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 23일 북한의 대대적인 포격 피해를 입은 연평도에서는 주민 대부분이 섬을 떠났습니다.

남아 있는 주민들은 먹을거리 걱정부터 집 걱정까지.. 착잡한 심정을 드러냅니다.

조빛나 기자가 연평도에서 주민들을 만났습니다.

<리포트>

연평면이 마련한 주민 대피소.

젊은 사람들은 거의 육지로 떠나고 노인 6명만이 밤을 보내고 있습니다.

끼니는 라면과 집에서 가져온 김치로 때우고.. 전기난로와 배급받은 모포로 추위를 녹입니다.

<인터뷰> 이용녀(82살/연평도 주민) : “이 할아버지가 허리 수술을 해서 움직일 수가 있나.. 그래서 못가고..”

집으로 돌아간 사람들도 걱정이 태산입니다.

부서진 집도 걱정이지만 이웃들이 떠난 빈자리가 더 큽니다.

가게들도 문을 닫으면서 당장 먹을거리를 마련하기도 벅차 섬을 떠날까도 고민해봅니다.

<인터뷰> 최옥순(연평도 주민) : “김치나 그런거 있는 거 그냥 다 먹다가 없으면 나도 나가야 하나.. 생각되고..”

불 꺼진 빈집이 대부분.

길을 오가는 사람도, 차도 보기 힘듭니다.

대부분 지역에 전기 공급이 재개됐지만 주민들이 연평도를 떠나면서 포격 이틀째 밤을 맞은 연평도는 말 그대로 적막강산입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민들 피난 연평도 ‘적막·폐허’
    • 입력 2010-11-25 08:04:06
    뉴스광장
<앵커 멘트> 지난 23일 북한의 대대적인 포격 피해를 입은 연평도에서는 주민 대부분이 섬을 떠났습니다. 남아 있는 주민들은 먹을거리 걱정부터 집 걱정까지.. 착잡한 심정을 드러냅니다. 조빛나 기자가 연평도에서 주민들을 만났습니다. <리포트> 연평면이 마련한 주민 대피소. 젊은 사람들은 거의 육지로 떠나고 노인 6명만이 밤을 보내고 있습니다. 끼니는 라면과 집에서 가져온 김치로 때우고.. 전기난로와 배급받은 모포로 추위를 녹입니다. <인터뷰> 이용녀(82살/연평도 주민) : “이 할아버지가 허리 수술을 해서 움직일 수가 있나.. 그래서 못가고..” 집으로 돌아간 사람들도 걱정이 태산입니다. 부서진 집도 걱정이지만 이웃들이 떠난 빈자리가 더 큽니다. 가게들도 문을 닫으면서 당장 먹을거리를 마련하기도 벅차 섬을 떠날까도 고민해봅니다. <인터뷰> 최옥순(연평도 주민) : “김치나 그런거 있는 거 그냥 다 먹다가 없으면 나도 나가야 하나.. 생각되고..” 불 꺼진 빈집이 대부분. 길을 오가는 사람도, 차도 보기 힘듭니다. 대부분 지역에 전기 공급이 재개됐지만 주민들이 연평도를 떠나면서 포격 이틀째 밤을 맞은 연평도는 말 그대로 적막강산입니다.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