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추가 도발 대비’ 서해 5도 전력 증강 추진

입력 2010.11.25 (09:10) 수정 2010.11.25 (17: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 군 당국은 서해 5도 상의 전력 증강 계획을 세우고 구체적인 전력 배치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국방부 연결합니다.

송영석 기자, 우리 군 지금도 비상근무체제로 가동 중이죠?

<리포트>

네, 군 당국은 지금도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북한군의 해안포 기지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군당국은 특히, 북한의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인 서해 5도 지역에 대한 우리의 전력 증강 방안을 마련하느라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북한의 해안포를 무력하기 위해 K-9 자주포를 늘리는 것 외에, 정밀 타격이 가능한 다른 무기 체계도 배치한다는 계획입니다.

군은 또 오는 28일부터 실시할 서해 한미 연합 훈련을 앞두고, 북한이 이에 반발해 추가 도발을 해올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대비책도 강구하고 있습니다.

미군의 지원을 받아 백령도와 연평도 일원에 무인정찰기를 비롯한 각종 정보자산을 증강해 곧 실전에 배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 당국은 또, 해안포 공격 하루 전인 지난 22일, 조선중앙통신이 전한 김정일 부자의 현장지도에 우리로 치면 합참 작전본부장 격인 김명국 총참모부 작전국장이 동행한 정보 등을 입수해 도발 직전 북한의 동향을 파악하는데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한편, 김태영 국방장관은 오늘 연평도를 방문해 장병들을 격려하고 피해, 복구 현황을 살펴볼 계획입니다.

군은 이와함께 연평도 피해 현장을 언론에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비인도적 무력 도발로 인한 민간인과 민간 시설들의 피해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줌으로써, 북한의 책임을 추궁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군은 또 이명박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에 대비한 교전규칙을 강화하라고 지시한 것과 관련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軍, ‘추가 도발 대비’ 서해 5도 전력 증강 추진
    • 입력 2010-11-25 09:10:57
    • 수정2010-11-25 17:16:02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우리 군 당국은 서해 5도 상의 전력 증강 계획을 세우고 구체적인 전력 배치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국방부 연결합니다. 송영석 기자, 우리 군 지금도 비상근무체제로 가동 중이죠? <리포트> 네, 군 당국은 지금도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북한군의 해안포 기지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군당국은 특히, 북한의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인 서해 5도 지역에 대한 우리의 전력 증강 방안을 마련하느라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북한의 해안포를 무력하기 위해 K-9 자주포를 늘리는 것 외에, 정밀 타격이 가능한 다른 무기 체계도 배치한다는 계획입니다. 군은 또 오는 28일부터 실시할 서해 한미 연합 훈련을 앞두고, 북한이 이에 반발해 추가 도발을 해올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대비책도 강구하고 있습니다. 미군의 지원을 받아 백령도와 연평도 일원에 무인정찰기를 비롯한 각종 정보자산을 증강해 곧 실전에 배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 당국은 또, 해안포 공격 하루 전인 지난 22일, 조선중앙통신이 전한 김정일 부자의 현장지도에 우리로 치면 합참 작전본부장 격인 김명국 총참모부 작전국장이 동행한 정보 등을 입수해 도발 직전 북한의 동향을 파악하는데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한편, 김태영 국방장관은 오늘 연평도를 방문해 장병들을 격려하고 피해, 복구 현황을 살펴볼 계획입니다. 군은 이와함께 연평도 피해 현장을 언론에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비인도적 무력 도발로 인한 민간인과 민간 시설들의 피해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줌으로써, 북한의 책임을 추궁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군은 또 이명박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에 대비한 교전규칙을 강화하라고 지시한 것과 관련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