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청와대는 한미 FTA 협상 타결이 두 나라에 커다란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정치권 반응과 함께 이재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미 양국은 우리 시각으로 오전 9시 한미 FTA 협상 타결을 동시에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발표문에서 한미 FTA가 양국에 커다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홍상표 (홍보수석):"이번 합의는 양국의 이익을 서로 균형있게 반영하여 상호 윈윈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아울러 한미 FTA가 경제 뿐 아니라 한미 동맹관계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이번 타결로 2007년 6월 30일 서명된 이후 3년 이상 비준이 지연돼 왔던 한미 FTA가 정식 발효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습니다.
한미 FTA가 국회 비준을 받아 발효되면 우리나라는 미국, EU, 아세안과 인도 등 세계 3대 경제권과 모두 FTA를 체결한 세계 유일한 나라가 됩니다.
이 대통령은 국회가 조속히 비준 동의 절차를 마쳐 오랫동안 지연돼 온 한미 FTA가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일부 언론을 통해 공개된 한미 FTA 타결 관련 미국 측 설명 자료는 전체 내용 가운데 일부분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내일 오전 11시 브리핑을 통해 한미 FTA 내용을 밝힐 예정입니다.
한나라당은 FTA 협상 타결이 우리 경제를 한 단계 도약시킬 기회라며 환영했고 민주당은 일방적인 양보로 타결됐다면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청와대는 한미 FTA 협상 타결이 두 나라에 커다란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정치권 반응과 함께 이재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미 양국은 우리 시각으로 오전 9시 한미 FTA 협상 타결을 동시에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발표문에서 한미 FTA가 양국에 커다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홍상표 (홍보수석):"이번 합의는 양국의 이익을 서로 균형있게 반영하여 상호 윈윈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아울러 한미 FTA가 경제 뿐 아니라 한미 동맹관계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이번 타결로 2007년 6월 30일 서명된 이후 3년 이상 비준이 지연돼 왔던 한미 FTA가 정식 발효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습니다.
한미 FTA가 국회 비준을 받아 발효되면 우리나라는 미국, EU, 아세안과 인도 등 세계 3대 경제권과 모두 FTA를 체결한 세계 유일한 나라가 됩니다.
이 대통령은 국회가 조속히 비준 동의 절차를 마쳐 오랫동안 지연돼 온 한미 FTA가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일부 언론을 통해 공개된 한미 FTA 타결 관련 미국 측 설명 자료는 전체 내용 가운데 일부분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내일 오전 11시 브리핑을 통해 한미 FTA 내용을 밝힐 예정입니다.
한나라당은 FTA 협상 타결이 우리 경제를 한 단계 도약시킬 기회라며 환영했고 민주당은 일방적인 양보로 타결됐다면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와대 “한미 FTA, 동맹 관계 도약 계기”
-
- 입력 2010-12-04 17:08:46

<앵커 멘트>
청와대는 한미 FTA 협상 타결이 두 나라에 커다란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정치권 반응과 함께 이재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미 양국은 우리 시각으로 오전 9시 한미 FTA 협상 타결을 동시에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발표문에서 한미 FTA가 양국에 커다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홍상표 (홍보수석):"이번 합의는 양국의 이익을 서로 균형있게 반영하여 상호 윈윈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아울러 한미 FTA가 경제 뿐 아니라 한미 동맹관계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이번 타결로 2007년 6월 30일 서명된 이후 3년 이상 비준이 지연돼 왔던 한미 FTA가 정식 발효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습니다.
한미 FTA가 국회 비준을 받아 발효되면 우리나라는 미국, EU, 아세안과 인도 등 세계 3대 경제권과 모두 FTA를 체결한 세계 유일한 나라가 됩니다.
이 대통령은 국회가 조속히 비준 동의 절차를 마쳐 오랫동안 지연돼 온 한미 FTA가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일부 언론을 통해 공개된 한미 FTA 타결 관련 미국 측 설명 자료는 전체 내용 가운데 일부분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내일 오전 11시 브리핑을 통해 한미 FTA 내용을 밝힐 예정입니다.
한나라당은 FTA 협상 타결이 우리 경제를 한 단계 도약시킬 기회라며 환영했고 민주당은 일방적인 양보로 타결됐다면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
이재원 기자 ljw@kbs.co.kr
이재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