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식품·생활물가 줄줄이 인상

입력 2011.01.04 (17: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새해 초부터 농수산물과 식료품, 유가 등이 줄줄이 오르고 있습니다.

정부가 오는 13일, 물가안정 방안과 설 민생대책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홍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파와 폭설로 배추 등 채소값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배추 한 포기 소매 가격이 상품 기준으로 4,252원으로 지난해보다 98%, 2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양배추와 깐마늘, 무, 대파 등도 지난해보다 2배 오른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생물고등어 한 마리는 산지에서 3천3백원으로 1년 전보다 214%올랐고, 냉동갈치도 13% 올랐습니다.

식료품값도 올라 코카콜라는 올들어 13개 품목의 공급가격을 최고 8.6% 인상했고 네슬레도 커피제품 값을 평균 10% 올렸습니다.

오리온 등 제과업체들은 과자류 값을 7~8%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밖에 도시가스요금이 올 들어 평균 5.3% 인상됐고, 전국 주유소 휘발유의 평균 판매가격이 2년4개월 만에 리터당 천8백원 대로 올랐습니다.

이처럼 물가 불안이 심각해지자 정부가 오는 13일 동절기 물가안정방안과 설 민생대책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특히 정부는 전기요금과 열차, 버스요금 등에 대해 유가가 폭등하지 않는 한 1분기까지는 인상을 최대한 억제한다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입니다.

또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인상을 단행한 지방 공공요금에 대해서도 강력한 억지 대책을 내놓을 방침입니다.

KBS 뉴스 홍수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초부터 식품·생활물가 줄줄이 인상
    • 입력 2011-01-04 17:35:33
    뉴스 5
<앵커 멘트> 새해 초부터 농수산물과 식료품, 유가 등이 줄줄이 오르고 있습니다. 정부가 오는 13일, 물가안정 방안과 설 민생대책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홍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파와 폭설로 배추 등 채소값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배추 한 포기 소매 가격이 상품 기준으로 4,252원으로 지난해보다 98%, 2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양배추와 깐마늘, 무, 대파 등도 지난해보다 2배 오른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생물고등어 한 마리는 산지에서 3천3백원으로 1년 전보다 214%올랐고, 냉동갈치도 13% 올랐습니다. 식료품값도 올라 코카콜라는 올들어 13개 품목의 공급가격을 최고 8.6% 인상했고 네슬레도 커피제품 값을 평균 10% 올렸습니다. 오리온 등 제과업체들은 과자류 값을 7~8%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밖에 도시가스요금이 올 들어 평균 5.3% 인상됐고, 전국 주유소 휘발유의 평균 판매가격이 2년4개월 만에 리터당 천8백원 대로 올랐습니다. 이처럼 물가 불안이 심각해지자 정부가 오는 13일 동절기 물가안정방안과 설 민생대책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특히 정부는 전기요금과 열차, 버스요금 등에 대해 유가가 폭등하지 않는 한 1분기까지는 인상을 최대한 억제한다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입니다. 또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인상을 단행한 지방 공공요금에 대해서도 강력한 억지 대책을 내놓을 방침입니다. KBS 뉴스 홍수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