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겨울나기…폭설, 자원으로 활용

입력 2011.01.16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울릉도는 이틀새 무려 65cm가 넘는 폭설이 쏟아졌습니다.

그런데 울릉도는 웬만한 폭설에도 피해를 입지 않을 정도로 제설작업 경험이 축적돼 있다는데요,

울릉도의 겨울나기, 박하얀 아나운서가 전합니다.

<리포트>

섬 전체가 폭설에 뒤덮혔습니다. 이달 들어 누적 적설량은 무려 2미터 이상.

험한 지형을 다닐 수 있는 4륜 구동 제설차와 굴착기가 마을 안팎을 누빕니다. 거의 매일 이어지는 눈 때문에 제설작업은 온종일 계속됩니다.

<녹취> 장태원(굴착기 기사) : “눈이 많이 오면 밤에도 작업을 하고 낮에도 많이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눈을 바구니에 담거나 밀대로 밀어 맨홀 안으로 넣는 주민들의 작업이 일사분란합니다.

밤늦도록 불켜진 울릉읍사무소입니다.

<녹취> 정복석(울릉읍장) : “밤 9시 이후에는 도동시가지와 저동시가지에 중점적으로.. 결빙지역에 (굴착기 투입하세요.)”

대설주의보에 대비해 열린 긴급회의입니다.

울릉 기상대도 분주한 모습입니다. 강원지역 기상대와 화상회의를 하며 실시간으로 상황을 점검합니다.

<인터뷰> 이동희(울릉기상대 예보관) : “울릉도의 기상여부는 주민들 삶과 직결돼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예보를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습니다”

울릉도의 건물은 대부분 물결 모양의 함석 지붕입니다.

눈이 쌓이면 쉽게 미끄러져 내릴 수 있게 한 것입니다.

제설 작업엔 염화칼슘보다 환경오염이 적은 바닷물을 사용합니다.

울릉도는 경사진 도로가 대부분입니다. 이렇게 바닷물을 뿌리면 도로를 타고 흐르면서 쉽고 빠르게 제설할 수 있습니다.

바닷물 저장탱크도 13개나 됩니다. 겨우내 내린 눈은 지하수가 되어 울릉도에선 소중한 수자원입니다.

이번 겨울 예년의 2배가 넘는 폭설, 하지만 다양하고 신속한 제설로 폭설을 재난이 아닌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울릉에서 KBS 뉴스 박하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울릉도 겨울나기…폭설, 자원으로 활용
    • 입력 2011-01-16 21:56:11
    뉴스 9
<앵커멘트> 울릉도는 이틀새 무려 65cm가 넘는 폭설이 쏟아졌습니다. 그런데 울릉도는 웬만한 폭설에도 피해를 입지 않을 정도로 제설작업 경험이 축적돼 있다는데요, 울릉도의 겨울나기, 박하얀 아나운서가 전합니다. <리포트> 섬 전체가 폭설에 뒤덮혔습니다. 이달 들어 누적 적설량은 무려 2미터 이상. 험한 지형을 다닐 수 있는 4륜 구동 제설차와 굴착기가 마을 안팎을 누빕니다. 거의 매일 이어지는 눈 때문에 제설작업은 온종일 계속됩니다. <녹취> 장태원(굴착기 기사) : “눈이 많이 오면 밤에도 작업을 하고 낮에도 많이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눈을 바구니에 담거나 밀대로 밀어 맨홀 안으로 넣는 주민들의 작업이 일사분란합니다. 밤늦도록 불켜진 울릉읍사무소입니다. <녹취> 정복석(울릉읍장) : “밤 9시 이후에는 도동시가지와 저동시가지에 중점적으로.. 결빙지역에 (굴착기 투입하세요.)” 대설주의보에 대비해 열린 긴급회의입니다. 울릉 기상대도 분주한 모습입니다. 강원지역 기상대와 화상회의를 하며 실시간으로 상황을 점검합니다. <인터뷰> 이동희(울릉기상대 예보관) : “울릉도의 기상여부는 주민들 삶과 직결돼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예보를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습니다” 울릉도의 건물은 대부분 물결 모양의 함석 지붕입니다. 눈이 쌓이면 쉽게 미끄러져 내릴 수 있게 한 것입니다. 제설 작업엔 염화칼슘보다 환경오염이 적은 바닷물을 사용합니다. 울릉도는 경사진 도로가 대부분입니다. 이렇게 바닷물을 뿌리면 도로를 타고 흐르면서 쉽고 빠르게 제설할 수 있습니다. 바닷물 저장탱크도 13개나 됩니다. 겨우내 내린 눈은 지하수가 되어 울릉도에선 소중한 수자원입니다. 이번 겨울 예년의 2배가 넘는 폭설, 하지만 다양하고 신속한 제설로 폭설을 재난이 아닌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울릉에서 KBS 뉴스 박하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