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달리던 KTX가 50분 동안 멈춰섰습니다.
광명에서 탈선사고가 있은 지 이주일 만입니다.
송명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늘 오전 8시 20분쯤.
승객 8백여 명을 태우고 부산에서 출발한 KTX 열차가 서울 도착을 20분 앞두고 멈춰섰습니다.
천안아산을 지나 달리던 열차는 경기도 화성시 반월터널 입구에서 갑자기 서버린 겁니다.
열차는 선로 위에서 50분을 정차한 뒤 9시 10분이 돼서야 다시 출발했습니다.
부상자는 없었지만 이 사고로 후속 열차들이 잇따라 지연되는 등 운행에 차질을 빚었습니다.
<인터뷰> 박영우(대전시) : "굉장히 불안하죠..이러다가 정말 큰 사고가 나서 사고나면 탈선하거나 죽을 텐데 너무 위험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죠.."
코레일측은 열차에 있는 '열 감지 장치'가 작동해 안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관사가 열차를 세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인터뷰> 코레일 관계자(음성변조) : "열 감지 장치가 왜 동작을 했는지 열차를 세워서 확인을 하고 출발하는게 원칙이고, (지금은)정비하는 곳에 들어가서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KTX의 이런 운행 장애는 지난 2008년 39건, 2009년 42건, 지난해 92건으로 해마다 크게 늘었습니다.
대부분 고장 등 차량 결함에 의한 것입니다.
지난 11일 광명역 인근에서 일어난 탈선 사고에서도 알 수 있었던 것처럼 고속으로 달리는 KTX는 작은 결함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승객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달리던 KTX가 50분 동안 멈춰섰습니다.
광명에서 탈선사고가 있은 지 이주일 만입니다.
송명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늘 오전 8시 20분쯤.
승객 8백여 명을 태우고 부산에서 출발한 KTX 열차가 서울 도착을 20분 앞두고 멈춰섰습니다.
천안아산을 지나 달리던 열차는 경기도 화성시 반월터널 입구에서 갑자기 서버린 겁니다.
열차는 선로 위에서 50분을 정차한 뒤 9시 10분이 돼서야 다시 출발했습니다.
부상자는 없었지만 이 사고로 후속 열차들이 잇따라 지연되는 등 운행에 차질을 빚었습니다.
<인터뷰> 박영우(대전시) : "굉장히 불안하죠..이러다가 정말 큰 사고가 나서 사고나면 탈선하거나 죽을 텐데 너무 위험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죠.."
코레일측은 열차에 있는 '열 감지 장치'가 작동해 안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관사가 열차를 세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인터뷰> 코레일 관계자(음성변조) : "열 감지 장치가 왜 동작을 했는지 열차를 세워서 확인을 하고 출발하는게 원칙이고, (지금은)정비하는 곳에 들어가서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KTX의 이런 운행 장애는 지난 2008년 39건, 2009년 42건, 지난해 92건으로 해마다 크게 늘었습니다.
대부분 고장 등 차량 결함에 의한 것입니다.
지난 11일 광명역 인근에서 일어난 탈선 사고에서도 알 수 있었던 것처럼 고속으로 달리는 KTX는 작은 결함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승객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KTX 열차 또 멈췄다…‘툭하면 사고’ 불안
-
- 입력 2011-02-25 22:06:06

<앵커 멘트>
달리던 KTX가 50분 동안 멈춰섰습니다.
광명에서 탈선사고가 있은 지 이주일 만입니다.
송명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늘 오전 8시 20분쯤.
승객 8백여 명을 태우고 부산에서 출발한 KTX 열차가 서울 도착을 20분 앞두고 멈춰섰습니다.
천안아산을 지나 달리던 열차는 경기도 화성시 반월터널 입구에서 갑자기 서버린 겁니다.
열차는 선로 위에서 50분을 정차한 뒤 9시 10분이 돼서야 다시 출발했습니다.
부상자는 없었지만 이 사고로 후속 열차들이 잇따라 지연되는 등 운행에 차질을 빚었습니다.
<인터뷰> 박영우(대전시) : "굉장히 불안하죠..이러다가 정말 큰 사고가 나서 사고나면 탈선하거나 죽을 텐데 너무 위험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죠.."
코레일측은 열차에 있는 '열 감지 장치'가 작동해 안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관사가 열차를 세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인터뷰> 코레일 관계자(음성변조) : "열 감지 장치가 왜 동작을 했는지 열차를 세워서 확인을 하고 출발하는게 원칙이고, (지금은)정비하는 곳에 들어가서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KTX의 이런 운행 장애는 지난 2008년 39건, 2009년 42건, 지난해 92건으로 해마다 크게 늘었습니다.
대부분 고장 등 차량 결함에 의한 것입니다.
지난 11일 광명역 인근에서 일어난 탈선 사고에서도 알 수 있었던 것처럼 고속으로 달리는 KTX는 작은 결함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승객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
송명희 기자 thimble@kbs.co.kr
송명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