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관리公 "설악산 자산가치 5조원"
지난해 설악산 자연자원조사에서 신종으로 추정되는 진정거미류 3종과 미기록종 10종이 발견됐다고 국립공원관리공단이 27일 밝혔다.
진정거미류는 바람이나 기류를 이용한 거미줄 부력으로 서식지를 옮겨 다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국제 학계에서는 이를 생물지리학 연구나 기후변화관련 생물분포도 작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공단은 이에 따라 진정거미류를 신종으로 공식 인정받기 위해 국제동물분류학회(ZOOTAXA) 등에 논문을 발표할 계획이다.
공단은 2009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최초로 발견한 편자어리비탈거미와 지난해 설악산에서 최초로 발견한 백운어리비탈거미 암컷의 생태적 특징을 국제동물분류학회지에 발표해 공식 인정받았다.
공단은 또 설악산국립공원을 가로ㆍ세로 2km 구간으로 나눈 생태조사에서 식물 752종, 포유류 24종, 조류 113종, 곤충 2천445종 등 모두 3천945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공단은 아울러 설악산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한 결과, 총 자산가치 기준으로는 5조원, 연간 보존가치로는 1천8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지난해 설악산 자연자원조사에서 신종으로 추정되는 진정거미류 3종과 미기록종 10종이 발견됐다고 국립공원관리공단이 27일 밝혔다.
진정거미류는 바람이나 기류를 이용한 거미줄 부력으로 서식지를 옮겨 다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국제 학계에서는 이를 생물지리학 연구나 기후변화관련 생물분포도 작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공단은 이에 따라 진정거미류를 신종으로 공식 인정받기 위해 국제동물분류학회(ZOOTAXA) 등에 논문을 발표할 계획이다.
공단은 2009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최초로 발견한 편자어리비탈거미와 지난해 설악산에서 최초로 발견한 백운어리비탈거미 암컷의 생태적 특징을 국제동물분류학회지에 발표해 공식 인정받았다.
공단은 또 설악산국립공원을 가로ㆍ세로 2km 구간으로 나눈 생태조사에서 식물 752종, 포유류 24종, 조류 113종, 곤충 2천445종 등 모두 3천945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공단은 아울러 설악산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한 결과, 총 자산가치 기준으로는 5조원, 연간 보존가치로는 1천8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설악산서 ‘신종 거미’ 3종 발견
-
- 입력 2011-02-27 14:56:11
국립공원관리公 "설악산 자산가치 5조원"
지난해 설악산 자연자원조사에서 신종으로 추정되는 진정거미류 3종과 미기록종 10종이 발견됐다고 국립공원관리공단이 27일 밝혔다.
진정거미류는 바람이나 기류를 이용한 거미줄 부력으로 서식지를 옮겨 다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국제 학계에서는 이를 생물지리학 연구나 기후변화관련 생물분포도 작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공단은 이에 따라 진정거미류를 신종으로 공식 인정받기 위해 국제동물분류학회(ZOOTAXA) 등에 논문을 발표할 계획이다.
공단은 2009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최초로 발견한 편자어리비탈거미와 지난해 설악산에서 최초로 발견한 백운어리비탈거미 암컷의 생태적 특징을 국제동물분류학회지에 발표해 공식 인정받았다.
공단은 또 설악산국립공원을 가로ㆍ세로 2km 구간으로 나눈 생태조사에서 식물 752종, 포유류 24종, 조류 113종, 곤충 2천445종 등 모두 3천945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공단은 아울러 설악산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한 결과, 총 자산가치 기준으로는 5조원, 연간 보존가치로는 1천8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