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주시해야 할 대외 변수
입력 2011.03.22 (07:06)
수정 2011.03.22 (10: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정필모 해설위원]
언제부터인가 우리에게 익숙한 말이 있습니다.
바로 ‘지구촌’입니다. 인류가 이제 공동운명체가 됐다는 뜻이 강하게 내포돼 있습니다.
지구상의 어느 한 곳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면, 즉각 다른 곳으로 그 파장이 미칠 수밖에 없다는 의미도 됩니다.
일본의 이번 대지진사태가 그것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두가 길어졌지만, 이번 사태의 파장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는 얘깁니다.
물론 이웃나라의 고통을 두고 그 파장을 걱정하는 게 다소 성급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마냥 보고만 있을 수만도 없는 게 현실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당장 주가와 환율을 보십시오. 일본은 물론이고 세계 주요 증시의 주가가 급등락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의 경우 지난주 한때 하루 변동폭이 100포인트를 넘어섰을 정돕니다.
한때 엔화 값도 치솟았습니다.
재해복구를 하자면 해외에 투자된 일본 자금이 일본으로 환류할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불안감이 엔화 수요를 부추겼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반면에 일본이 재해복구를 위해 돈을 풀기 시작하면, 중장기적으로는 엔화 값이 떨어지기 시작할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
이래저래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세계경제의 돌발변수는 이것 말고도 또 있습니다.
당장 주시해야 할 변수는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정정불안입니다.
유럽 일부 국가들의 재정위기도 여전히 진행형입니다.
이번 일본 대지진사태를 포함해 모두 유가, 환율, 주가,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들입니다.
문제는 대부분 우리 정책당국이 직접 통제할 수 없는 변수라는 겁니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습니다.
부정적 영향만이라도 최소화해야 하니까요.
정책당국이나 기업들로서는 단계적인 대책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정책당국은 경우에 따라 성장과 물가 등 거시정책목표까지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일본 대지진의 파장이 앞으로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정정불안, 유럽 일부 국가의 재정위기도 어떤 방향으로 정리될지 아직은 미지숩니다.
우리 경제가 개방된 이상, 이런 대외변수들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대외변수를 관리하는 정책당국과 기업들의 능력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시점입니다.
언제부터인가 우리에게 익숙한 말이 있습니다.
바로 ‘지구촌’입니다. 인류가 이제 공동운명체가 됐다는 뜻이 강하게 내포돼 있습니다.
지구상의 어느 한 곳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면, 즉각 다른 곳으로 그 파장이 미칠 수밖에 없다는 의미도 됩니다.
일본의 이번 대지진사태가 그것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두가 길어졌지만, 이번 사태의 파장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는 얘깁니다.
물론 이웃나라의 고통을 두고 그 파장을 걱정하는 게 다소 성급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마냥 보고만 있을 수만도 없는 게 현실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당장 주가와 환율을 보십시오. 일본은 물론이고 세계 주요 증시의 주가가 급등락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의 경우 지난주 한때 하루 변동폭이 100포인트를 넘어섰을 정돕니다.
한때 엔화 값도 치솟았습니다.
재해복구를 하자면 해외에 투자된 일본 자금이 일본으로 환류할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불안감이 엔화 수요를 부추겼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반면에 일본이 재해복구를 위해 돈을 풀기 시작하면, 중장기적으로는 엔화 값이 떨어지기 시작할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
이래저래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세계경제의 돌발변수는 이것 말고도 또 있습니다.
당장 주시해야 할 변수는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정정불안입니다.
유럽 일부 국가들의 재정위기도 여전히 진행형입니다.
이번 일본 대지진사태를 포함해 모두 유가, 환율, 주가,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들입니다.
문제는 대부분 우리 정책당국이 직접 통제할 수 없는 변수라는 겁니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습니다.
부정적 영향만이라도 최소화해야 하니까요.
정책당국이나 기업들로서는 단계적인 대책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정책당국은 경우에 따라 성장과 물가 등 거시정책목표까지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일본 대지진의 파장이 앞으로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정정불안, 유럽 일부 국가의 재정위기도 어떤 방향으로 정리될지 아직은 미지숩니다.
우리 경제가 개방된 이상, 이런 대외변수들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대외변수를 관리하는 정책당국과 기업들의 능력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시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주시해야 할 대외 변수
-
- 입력 2011-03-22 07:06:17
- 수정2011-03-22 10:57:55

[정필모 해설위원]
언제부터인가 우리에게 익숙한 말이 있습니다.
바로 ‘지구촌’입니다. 인류가 이제 공동운명체가 됐다는 뜻이 강하게 내포돼 있습니다.
지구상의 어느 한 곳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면, 즉각 다른 곳으로 그 파장이 미칠 수밖에 없다는 의미도 됩니다.
일본의 이번 대지진사태가 그것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두가 길어졌지만, 이번 사태의 파장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는 얘깁니다.
물론 이웃나라의 고통을 두고 그 파장을 걱정하는 게 다소 성급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마냥 보고만 있을 수만도 없는 게 현실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당장 주가와 환율을 보십시오. 일본은 물론이고 세계 주요 증시의 주가가 급등락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의 경우 지난주 한때 하루 변동폭이 100포인트를 넘어섰을 정돕니다.
한때 엔화 값도 치솟았습니다.
재해복구를 하자면 해외에 투자된 일본 자금이 일본으로 환류할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불안감이 엔화 수요를 부추겼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반면에 일본이 재해복구를 위해 돈을 풀기 시작하면, 중장기적으로는 엔화 값이 떨어지기 시작할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
이래저래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세계경제의 돌발변수는 이것 말고도 또 있습니다.
당장 주시해야 할 변수는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정정불안입니다.
유럽 일부 국가들의 재정위기도 여전히 진행형입니다.
이번 일본 대지진사태를 포함해 모두 유가, 환율, 주가,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들입니다.
문제는 대부분 우리 정책당국이 직접 통제할 수 없는 변수라는 겁니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습니다.
부정적 영향만이라도 최소화해야 하니까요.
정책당국이나 기업들로서는 단계적인 대책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정책당국은 경우에 따라 성장과 물가 등 거시정책목표까지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일본 대지진의 파장이 앞으로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정정불안, 유럽 일부 국가의 재정위기도 어떤 방향으로 정리될지 아직은 미지숩니다.
우리 경제가 개방된 이상, 이런 대외변수들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대외변수를 관리하는 정책당국과 기업들의 능력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시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