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만약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사성 물질이 바다로 유출된다면 한반도 주변 해역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요?
김진화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한국해양연구원이 공개한 북서태평양 해수 흐름도입니다.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남쪽으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는 일관되게 초당 1미터의 속도로 동쪽으로 흘러갑니다.
또 후쿠시마 원전의 북동쪽으로부터 남쪽을 향해 흐르는 오야시오 해류 역시 쿠로시오 해류와 만나 태평양 내부 또는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방사성 물질이 해수로 유입된 뒤 3개월 동안의 입자 확산 경로를 분석한 것입니다.
해안으로부터 유입된 방사성 입자는 한 달 정도 후쿠시마 연안 지역에 정체되었다가, 오야시오 해류를 만나 남하한 후,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태평양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양연구원측은 만약 방사성 입자가 태평양 내부로 흘러 들어가도 바닷물에 점차 희석되기 때문에 태평양을 순환하는 해수가 우리나라 연안에 이를 때쯤에는 그 농도가 자연 상태를 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만약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사성 물질이 바다로 유출된다면 한반도 주변 해역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요?
김진화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한국해양연구원이 공개한 북서태평양 해수 흐름도입니다.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남쪽으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는 일관되게 초당 1미터의 속도로 동쪽으로 흘러갑니다.
또 후쿠시마 원전의 북동쪽으로부터 남쪽을 향해 흐르는 오야시오 해류 역시 쿠로시오 해류와 만나 태평양 내부 또는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방사성 물질이 해수로 유입된 뒤 3개월 동안의 입자 확산 경로를 분석한 것입니다.
해안으로부터 유입된 방사성 입자는 한 달 정도 후쿠시마 연안 지역에 정체되었다가, 오야시오 해류를 만나 남하한 후,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태평양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양연구원측은 만약 방사성 입자가 태평양 내부로 흘러 들어가도 바닷물에 점차 희석되기 때문에 태평양을 순환하는 해수가 우리나라 연안에 이를 때쯤에는 그 농도가 자연 상태를 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사성 물질 유출돼도 동해안 영향 없다”
-
- 입력 2011-03-22 09:59:39

<앵커 멘트>
만약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사성 물질이 바다로 유출된다면 한반도 주변 해역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요?
김진화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한국해양연구원이 공개한 북서태평양 해수 흐름도입니다.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남쪽으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는 일관되게 초당 1미터의 속도로 동쪽으로 흘러갑니다.
또 후쿠시마 원전의 북동쪽으로부터 남쪽을 향해 흐르는 오야시오 해류 역시 쿠로시오 해류와 만나 태평양 내부 또는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방사성 물질이 해수로 유입된 뒤 3개월 동안의 입자 확산 경로를 분석한 것입니다.
해안으로부터 유입된 방사성 입자는 한 달 정도 후쿠시마 연안 지역에 정체되었다가, 오야시오 해류를 만나 남하한 후,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태평양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양연구원측은 만약 방사성 입자가 태평양 내부로 흘러 들어가도 바닷물에 점차 희석되기 때문에 태평양을 순환하는 해수가 우리나라 연안에 이를 때쯤에는 그 농도가 자연 상태를 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일본 동북부 강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