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수능 성적 2년 연속 전국 최고

입력 2011.03.30 (13: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30일 공개된 2011학년도 대입 수능성적 분석결과에 제주지역 학생들의 수능성적이 전 영역에서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그 비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분석 결과 전체 학생의 학력수준을 보여주는 제주도의 영역별 표준점수 평균은 언어(105.3점), 수리가(106.9점), 수리나(106.1점), 외국어(105.7점) 등 4개 영역에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또 모든 영역에서 상위권이 1∼2등급 비율이 뚜렷이 높지만, 하위권인 8∼9등급 비율은 뚜렷이 낮아 상위권 학생층이 두터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상위권인 1등급 비율은 모든 영역에서 기준 비율(일반계반 재학생 전체의 1등급 비율)보다 높았고, 외국어를 제외한 전 영역의 1등급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점이 눈길을 끈다.

제주는 지난해 공개된 수능성적자료에서도 표준점수 평균이 4개 영역 모두 1위를 차지해 전국적으로 학력을 인증받은 바 있다.

제주의 경우 다른 시도에 비해 학원 등 사설교육기관이 적고 지역적 여건 때문에 교육 관련 정보에서도 뒤처지기 쉽다.

그러나 대학에 가는 것보다 고등학교 진학이 더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제주시 평준화 지역 고입전형 제도에다 좁은 지역의 특성상 학생·교사 간 비교가 쉬워 교육열은 어느 지역에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학생들이 고교 입학 전 2개월가량 시간을 허비하는 것을 막고자 각 고교에서 예비교실을 만들어 부족한 공부를 보충하고 상담하는 풍경은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진풍경이다.

여기에 수업명인제 등을 통해 '수업 잘하는 교사'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단위 학교별로 학력향상 자체 계획을 수립·시행하는 '모다들엉 학력 향상제'를 운영하는 등 학교 수업의 질을 높인 것이 주효했다는 것이 교육청의 분석이다.

제주도교육청 박경민 장학사는 "밤늦게까지 학교에 남아 고생한 교사들의 헌신적 노력에 교육청 차원의 교단 지원 제도가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낸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주 수능 성적 2년 연속 전국 최고
    • 입력 2011-03-30 13:15:45
    연합뉴스
30일 공개된 2011학년도 대입 수능성적 분석결과에 제주지역 학생들의 수능성적이 전 영역에서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그 비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분석 결과 전체 학생의 학력수준을 보여주는 제주도의 영역별 표준점수 평균은 언어(105.3점), 수리가(106.9점), 수리나(106.1점), 외국어(105.7점) 등 4개 영역에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또 모든 영역에서 상위권이 1∼2등급 비율이 뚜렷이 높지만, 하위권인 8∼9등급 비율은 뚜렷이 낮아 상위권 학생층이 두터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상위권인 1등급 비율은 모든 영역에서 기준 비율(일반계반 재학생 전체의 1등급 비율)보다 높았고, 외국어를 제외한 전 영역의 1등급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점이 눈길을 끈다. 제주는 지난해 공개된 수능성적자료에서도 표준점수 평균이 4개 영역 모두 1위를 차지해 전국적으로 학력을 인증받은 바 있다. 제주의 경우 다른 시도에 비해 학원 등 사설교육기관이 적고 지역적 여건 때문에 교육 관련 정보에서도 뒤처지기 쉽다. 그러나 대학에 가는 것보다 고등학교 진학이 더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제주시 평준화 지역 고입전형 제도에다 좁은 지역의 특성상 학생·교사 간 비교가 쉬워 교육열은 어느 지역에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학생들이 고교 입학 전 2개월가량 시간을 허비하는 것을 막고자 각 고교에서 예비교실을 만들어 부족한 공부를 보충하고 상담하는 풍경은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진풍경이다. 여기에 수업명인제 등을 통해 '수업 잘하는 교사'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단위 학교별로 학력향상 자체 계획을 수립·시행하는 '모다들엉 학력 향상제'를 운영하는 등 학교 수업의 질을 높인 것이 주효했다는 것이 교육청의 분석이다. 제주도교육청 박경민 장학사는 "밤늦게까지 학교에 남아 고생한 교사들의 헌신적 노력에 교육청 차원의 교단 지원 제도가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낸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