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김해공항 독자이전 추진", 대구.경남 "밀양신공항 포기못해"
정학구 서진발 박창수 류성무 기자 = 정부가 30일 예상대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하자 영남지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혹시나' 했던 영남권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등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며칠 전부터 흘러나온 백지화론이 결국 사실로 확인됐고 신공항 입지평가는 요식행위에 불과했다며 격한 표현도 쏟아냈다.
그동안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을 놓고 신공항 유치 경쟁을 벌여온 부산과 대구.경북.경남.울산은 한목소리로 정부를 성토하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혀 후폭풍이 클 전망이다.
부산은 가덕도 신공항을 독자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였고, 대구.경남 등은 밀양 신공항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역 정치권도 반발하고 있어 신공항을 둘러싼 갈등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 "반드시 김해공항 독자이전 하겠다" = 허남식 부산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제대로 된 평가를 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신공항 건설이 부적합하다며 무산시킨 것은 어떤 이유로든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허 시장은 "신공항은 24시간 운행 가능한 안전한 공항이어야 하며, 그 최적지는 가덕도 해안밖에 없다"며 "시민의 지혜와 힘을 모아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을 반드시 이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인호 바른공항건설시민연대 공동회장은 "신공항 백지화를 기정사실화해놓고 평가단을 꾸려 가덕도와 밀양을 둘러보고 나서 평가를 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이는 지역 주민을 우롱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김영주 서부산시민협의회 사무처장은 "신공항 입지만 봤을 때 가덕도가 월등히 뛰어남에도 밀양이 점수가 더 높았다"며 신공항 백지화를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신정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대통령의 공약에 반영된 국책사업을 백지화시킴으로써 정책의 신뢰성이 크게 훼손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공항을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의 골이 큰 후유증을 낳을 것을 우려했다.
한나라당 부산시당은 정부의 결정을 규탄하며 국토해양부 장관의 경질을 요구했다. 또 "부산 독자적으로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부산 연제구가 지역구인 박대해 의원은 "한나라당 탈당도 불사하겠다"며 반발했다.
◇대구.경남 등 "국정신뢰 상실...신공항 재추진" = 김두관 경남지사는 "국정운영에서 가장 중요한 국민에 대한 신뢰가 무너졌다"며 "국가의 중요한 정책결정을 정치논리로 좌초시켜놓고 잘못을 지방과 주민에게 전가한 것으로, 이는 남부권 2천만 주민을 무시한 처사"라고 비난했다.
엄용수 밀양시장은 "거짓 정부 속에서 더는 시장직을 유지할 수 없다"며 시장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
경북도의회는 성명을 내고 신공항 백지화의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했다.
이상효 도의회 의장은 "정부가 신공항 백지화라는 복안을 숨기고 입지평가위원회의 실사가 이뤄질 때 언론에 백지화 가능성을 흘렸다"며 평가 근거를 공개하고 대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울산시의회 박순환 의장은 "지역갈등을 조장한 후에 신공항을 백지화시킨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영남권 신공항 밀양유치 범시도민 결사추진위원회의 강주열 본부장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며 "이 정부에서 신공항을 건설하지 못한다면 시민의 힘으로라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입지평가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정부가 백지화 가능성을 흘리는 등 한마디로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주장했다.
대구시의회 동남권 신국제공항 밀양유치특별위원회(위원장 오철환)는 "정부가 경제성을 핑계로 정치적으로 신공항을 무산시켰다"며 "정해진 각본대로 이런 결론을 낼 거면 무엇 때문에 현장 실사를 하는 등 영남권 주민들을 기만한 것이냐"고 따졌다.
정학구 서진발 박창수 류성무 기자 = 정부가 30일 예상대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하자 영남지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혹시나' 했던 영남권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등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며칠 전부터 흘러나온 백지화론이 결국 사실로 확인됐고 신공항 입지평가는 요식행위에 불과했다며 격한 표현도 쏟아냈다.
그동안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을 놓고 신공항 유치 경쟁을 벌여온 부산과 대구.경북.경남.울산은 한목소리로 정부를 성토하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혀 후폭풍이 클 전망이다.
부산은 가덕도 신공항을 독자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였고, 대구.경남 등은 밀양 신공항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역 정치권도 반발하고 있어 신공항을 둘러싼 갈등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 "반드시 김해공항 독자이전 하겠다" = 허남식 부산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제대로 된 평가를 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신공항 건설이 부적합하다며 무산시킨 것은 어떤 이유로든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허 시장은 "신공항은 24시간 운행 가능한 안전한 공항이어야 하며, 그 최적지는 가덕도 해안밖에 없다"며 "시민의 지혜와 힘을 모아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을 반드시 이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인호 바른공항건설시민연대 공동회장은 "신공항 백지화를 기정사실화해놓고 평가단을 꾸려 가덕도와 밀양을 둘러보고 나서 평가를 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이는 지역 주민을 우롱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김영주 서부산시민협의회 사무처장은 "신공항 입지만 봤을 때 가덕도가 월등히 뛰어남에도 밀양이 점수가 더 높았다"며 신공항 백지화를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신정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대통령의 공약에 반영된 국책사업을 백지화시킴으로써 정책의 신뢰성이 크게 훼손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공항을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의 골이 큰 후유증을 낳을 것을 우려했다.
한나라당 부산시당은 정부의 결정을 규탄하며 국토해양부 장관의 경질을 요구했다. 또 "부산 독자적으로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부산 연제구가 지역구인 박대해 의원은 "한나라당 탈당도 불사하겠다"며 반발했다.
◇대구.경남 등 "국정신뢰 상실...신공항 재추진" = 김두관 경남지사는 "국정운영에서 가장 중요한 국민에 대한 신뢰가 무너졌다"며 "국가의 중요한 정책결정을 정치논리로 좌초시켜놓고 잘못을 지방과 주민에게 전가한 것으로, 이는 남부권 2천만 주민을 무시한 처사"라고 비난했다.
엄용수 밀양시장은 "거짓 정부 속에서 더는 시장직을 유지할 수 없다"며 시장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
경북도의회는 성명을 내고 신공항 백지화의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했다.
이상효 도의회 의장은 "정부가 신공항 백지화라는 복안을 숨기고 입지평가위원회의 실사가 이뤄질 때 언론에 백지화 가능성을 흘렸다"며 평가 근거를 공개하고 대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울산시의회 박순환 의장은 "지역갈등을 조장한 후에 신공항을 백지화시킨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영남권 신공항 밀양유치 범시도민 결사추진위원회의 강주열 본부장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며 "이 정부에서 신공항을 건설하지 못한다면 시민의 힘으로라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입지평가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정부가 백지화 가능성을 흘리는 등 한마디로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주장했다.
대구시의회 동남권 신국제공항 밀양유치특별위원회(위원장 오철환)는 "정부가 경제성을 핑계로 정치적으로 신공항을 무산시켰다"며 "정해진 각본대로 이런 결론을 낼 거면 무엇 때문에 현장 실사를 하는 등 영남권 주민들을 기만한 것이냐"고 따졌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공항 백지화 후폭풍 예고…영남권 거센 반발
-
- 입력 2011-03-30 17:19:10
부산 "김해공항 독자이전 추진", 대구.경남 "밀양신공항 포기못해"
정학구 서진발 박창수 류성무 기자 = 정부가 30일 예상대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하자 영남지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혹시나' 했던 영남권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등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며칠 전부터 흘러나온 백지화론이 결국 사실로 확인됐고 신공항 입지평가는 요식행위에 불과했다며 격한 표현도 쏟아냈다.
그동안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을 놓고 신공항 유치 경쟁을 벌여온 부산과 대구.경북.경남.울산은 한목소리로 정부를 성토하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혀 후폭풍이 클 전망이다.
부산은 가덕도 신공항을 독자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였고, 대구.경남 등은 밀양 신공항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역 정치권도 반발하고 있어 신공항을 둘러싼 갈등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 "반드시 김해공항 독자이전 하겠다" = 허남식 부산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제대로 된 평가를 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신공항 건설이 부적합하다며 무산시킨 것은 어떤 이유로든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허 시장은 "신공항은 24시간 운행 가능한 안전한 공항이어야 하며, 그 최적지는 가덕도 해안밖에 없다"며 "시민의 지혜와 힘을 모아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을 반드시 이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인호 바른공항건설시민연대 공동회장은 "신공항 백지화를 기정사실화해놓고 평가단을 꾸려 가덕도와 밀양을 둘러보고 나서 평가를 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이는 지역 주민을 우롱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김영주 서부산시민협의회 사무처장은 "신공항 입지만 봤을 때 가덕도가 월등히 뛰어남에도 밀양이 점수가 더 높았다"며 신공항 백지화를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신정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대통령의 공약에 반영된 국책사업을 백지화시킴으로써 정책의 신뢰성이 크게 훼손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공항을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의 골이 큰 후유증을 낳을 것을 우려했다.
한나라당 부산시당은 정부의 결정을 규탄하며 국토해양부 장관의 경질을 요구했다. 또 "부산 독자적으로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부산 연제구가 지역구인 박대해 의원은 "한나라당 탈당도 불사하겠다"며 반발했다.
◇대구.경남 등 "국정신뢰 상실...신공항 재추진" = 김두관 경남지사는 "국정운영에서 가장 중요한 국민에 대한 신뢰가 무너졌다"며 "국가의 중요한 정책결정을 정치논리로 좌초시켜놓고 잘못을 지방과 주민에게 전가한 것으로, 이는 남부권 2천만 주민을 무시한 처사"라고 비난했다.
엄용수 밀양시장은 "거짓 정부 속에서 더는 시장직을 유지할 수 없다"며 시장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
경북도의회는 성명을 내고 신공항 백지화의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했다.
이상효 도의회 의장은 "정부가 신공항 백지화라는 복안을 숨기고 입지평가위원회의 실사가 이뤄질 때 언론에 백지화 가능성을 흘렸다"며 평가 근거를 공개하고 대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울산시의회 박순환 의장은 "지역갈등을 조장한 후에 신공항을 백지화시킨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영남권 신공항 밀양유치 범시도민 결사추진위원회의 강주열 본부장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며 "이 정부에서 신공항을 건설하지 못한다면 시민의 힘으로라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입지평가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정부가 백지화 가능성을 흘리는 등 한마디로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주장했다.
대구시의회 동남권 신국제공항 밀양유치특별위원회(위원장 오철환)는 "정부가 경제성을 핑계로 정치적으로 신공항을 무산시켰다"며 "정해진 각본대로 이런 결론을 낼 거면 무엇 때문에 현장 실사를 하는 등 영남권 주민들을 기만한 것이냐"고 따졌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