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 골수 이식 성공률, 가족 수준과 비슷
입력 2011.04.26 (22:04)
수정 2011.04.26 (22: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난치성 빈혈 환자에게 반가운 소식입니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피 한방울 안 섞인 타인의 골수이식 성공률을 가족 수준으로 크게 끌어올리는 개가를 올렸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극심한 빈혈에 시달렸던 이 30대 여성은 가족이 아닌 타인에게 골수이식을 받았습니다.
이식 전에는 골수가 휑했지만 이식 후에는 젊은 혈액 세포들로 가득 찼습니다.
<인터뷰> 강준희(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 "제대로 인사도 한번 못했는데 항상 감사하고 항상 고맙게 생각하고."
이렇게 골수에서 피를 만들지 못하는 난치성 빈혈 환자의 유일한 치료법은 골수이식입니다.
과거 같으면 성공률이 40% 정도에 머물렀을 타인간의 골수이식이 이렇게 성공한 것은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치료법 덕입니다.
미리 환자의 골수에 적당한 양의 방사선과 항암제 처리를 해서 다른 사람의 골수를 거부하지 않고 잘 받아들이도록 한 것입니다.
그 결과 성인 난치성 빈혈환자에게 타인의 골수를 이식해도 가족의 골수를 이식할 때와 비슷한 치료 성공률을 보였습니다.
<인터뷰> 이종욱(서울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 교수) : "이것을 계기로 타인간 이식이 좀 더 활발히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고, 많은 환자들이 완치의 희망을 갖도록 하는."
따라서 골수이식을 간절히 기다리는 난치성 빈혈환자에게 가족이 아닌 누구더라도 골수 기증은 큰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난치성 빈혈 환자에게 반가운 소식입니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피 한방울 안 섞인 타인의 골수이식 성공률을 가족 수준으로 크게 끌어올리는 개가를 올렸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극심한 빈혈에 시달렸던 이 30대 여성은 가족이 아닌 타인에게 골수이식을 받았습니다.
이식 전에는 골수가 휑했지만 이식 후에는 젊은 혈액 세포들로 가득 찼습니다.
<인터뷰> 강준희(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 "제대로 인사도 한번 못했는데 항상 감사하고 항상 고맙게 생각하고."
이렇게 골수에서 피를 만들지 못하는 난치성 빈혈 환자의 유일한 치료법은 골수이식입니다.
과거 같으면 성공률이 40% 정도에 머물렀을 타인간의 골수이식이 이렇게 성공한 것은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치료법 덕입니다.
미리 환자의 골수에 적당한 양의 방사선과 항암제 처리를 해서 다른 사람의 골수를 거부하지 않고 잘 받아들이도록 한 것입니다.
그 결과 성인 난치성 빈혈환자에게 타인의 골수를 이식해도 가족의 골수를 이식할 때와 비슷한 치료 성공률을 보였습니다.
<인터뷰> 이종욱(서울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 교수) : "이것을 계기로 타인간 이식이 좀 더 활발히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고, 많은 환자들이 완치의 희망을 갖도록 하는."
따라서 골수이식을 간절히 기다리는 난치성 빈혈환자에게 가족이 아닌 누구더라도 골수 기증은 큰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타인 골수 이식 성공률, 가족 수준과 비슷
-
- 입력 2011-04-26 22:04:11
- 수정2011-04-26 22:19:26

<앵커 멘트>
난치성 빈혈 환자에게 반가운 소식입니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피 한방울 안 섞인 타인의 골수이식 성공률을 가족 수준으로 크게 끌어올리는 개가를 올렸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극심한 빈혈에 시달렸던 이 30대 여성은 가족이 아닌 타인에게 골수이식을 받았습니다.
이식 전에는 골수가 휑했지만 이식 후에는 젊은 혈액 세포들로 가득 찼습니다.
<인터뷰> 강준희(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 "제대로 인사도 한번 못했는데 항상 감사하고 항상 고맙게 생각하고."
이렇게 골수에서 피를 만들지 못하는 난치성 빈혈 환자의 유일한 치료법은 골수이식입니다.
과거 같으면 성공률이 40% 정도에 머물렀을 타인간의 골수이식이 이렇게 성공한 것은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치료법 덕입니다.
미리 환자의 골수에 적당한 양의 방사선과 항암제 처리를 해서 다른 사람의 골수를 거부하지 않고 잘 받아들이도록 한 것입니다.
그 결과 성인 난치성 빈혈환자에게 타인의 골수를 이식해도 가족의 골수를 이식할 때와 비슷한 치료 성공률을 보였습니다.
<인터뷰> 이종욱(서울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 교수) : "이것을 계기로 타인간 이식이 좀 더 활발히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고, 많은 환자들이 완치의 희망을 갖도록 하는."
따라서 골수이식을 간절히 기다리는 난치성 빈혈환자에게 가족이 아닌 누구더라도 골수 기증은 큰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
박광식 기자 doctor@kbs.co.kr
박광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