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트너 “차입 한도 소진은 재앙”

입력 2011.05.15 (13: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 의회가 정부의 차입한도 상향 조정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채무 불이행이 "재앙"이라는 당국자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티머시 가이트너 미 재무장관은 마이클 베넷 상원의원 앞으로 보낸 편지에서 "채무불이행 상황이 되면 성장이 크게 떨어지고 실업도 늘어남으로써 미 경제에 엄청난 타격이 가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도 상원 금융위 청문회에 참석해, 차입 상한 조정이 조속히 합의되지 않을 경우 "최악의 시나리오는 금융 시스템이 또다시 와해되는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미 의회가 현재 정부에 허용하고 있는 차입 한도는 14조2천940억달러인데 이르면 내일 소진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재무부는 이후 길어야 오는 8월 2일까지 '공무원퇴직장애연금'을 전용하는 등의 비상 조치를 통해 차입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긴급 상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이트너 “차입 한도 소진은 재앙”
    • 입력 2011-05-15 13:51:36
    국제
미 의회가 정부의 차입한도 상향 조정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채무 불이행이 "재앙"이라는 당국자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티머시 가이트너 미 재무장관은 마이클 베넷 상원의원 앞으로 보낸 편지에서 "채무불이행 상황이 되면 성장이 크게 떨어지고 실업도 늘어남으로써 미 경제에 엄청난 타격이 가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도 상원 금융위 청문회에 참석해, 차입 상한 조정이 조속히 합의되지 않을 경우 "최악의 시나리오는 금융 시스템이 또다시 와해되는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미 의회가 현재 정부에 허용하고 있는 차입 한도는 14조2천940억달러인데 이르면 내일 소진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재무부는 이후 길어야 오는 8월 2일까지 '공무원퇴직장애연금'을 전용하는 등의 비상 조치를 통해 차입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긴급 상황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