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왕’ 차용규 씨 탈세 혐의 조사

입력 2011.05.17 (23: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세청이 최근 조세피난처에 페이퍼 컴퍼니를 둔 이른바 '선박왕'에게 4천억원 대의 세금을 부과했었죠.

이번엔 카자흐스탄의 최대 구리광산을 통해 큰돈을 번 한국인 사업가에 대해 역외탈세 혐의로 조사중인데 더 많은 세금부과를 검토중입니다.

경제부 김세정 기자 나왔습니다.

<리포트>

김 기자! (네,)

<질문> 수천억원대의 세금을 추징할 정도라면 대단한 부자겠네요. 어떤 사람입니까?

<답변>

네, 삼성물산 출신의 사업가 차용규 씨인데요.

국내 8위의 주식 부호에 오르면서 '샐러리맨의 신화'로까지 불렸습니다.

차 씨는 카자흐스탄 삼성물산 지점장이었습니다.

삼성물산은 세계 구리생산 8위 업체인 카자흐스탄의 카작무스를 위탁 경영하고 있었는데요.

한때 삼성물산이 이 회사 지분 43%를 갖고 있다 2004년에 모두 팔았는데, 이 지분의 일부를 차용규씨가 넘겨받았습니다.

1년 뒤 카작무스는 런던증시에 상장됐고 차씨는 지분을 처분해 1조 원이 넘는 차익을 남겼습니다.

<질문> 1조 원이 넘는 차익을 얻었다니 대단하군요. 국세청이 거액의 세금을 추징한다는데, 그동안 세금을 제대로 안낸 겁니까?

<답변>

네, 일단 국세청은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차 씨의 회사들이 조세피난처에 있었기 때문인데요.

먼저, 대표적 조세피난처인 버진 아일랜드의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카작무스 지분을 거래해 1조 원 이상 이익을 내고도 세금 한푼 내지 않았다는 겁니다.

국세청은 이 중 수천억 원이 또 다른 조세피난처인 말레이시아 라부안의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국내에 투자된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투자처도 백화점과 빌딩, 상가, 호텔, 벤처회사 등으로 다양했습니다.

건물 세입자 얘기를 들어보시죠.

<녹취> 건물 세입자(음성변조): "차용규 회장이 전에 오셨다는 얘기는 많이 들었는데 요근래는 제가 못봤어요. 작년인가 한두번 뵜어요."

국세청 관계자는 차씨가 부동산 투자업의 실질적 대표였다며 5천억 원 이상 추징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차씨 측은 국내에 1년에 평균 28일밖에 머무르지 않는 자신에게 국세청의 과세는 터무니없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질문> 샐러리맨 출신으로 1조원을 얻었다. 이 1조 원을 놓고도 논란이 있죠.

<답변>

네, 이 돈이 과연 차용규 씨의 돈이냐 하는 건데요.

먼저, 삼성이 카작무스 지분을 차 씨에게 넘긴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시기별로 정리해보면 삼성이 카작무스 지분을 차씨에게 넘긴 건 2004년 8월입니다.

그런데 이에앞서 6월에 카작무스는 런던증시 상장계획을 발표했고 상장만 되면 대박이 예고된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도 삼성은 지분을 팔았고 1년여 뒤 카작무스가 상장되면서 차씨는 1조 원 이상을 벌었습니다.

시민단체 관계자의 말 들어보시죠.

<인터뷰>김영희(경제개혁연대): "삼성물산이 그렇게까지 손해를 감수하면서 처분하게 된 경위에 대해서 결국은 이것이 또 다른 비자금 조성의 방법이 아닐까 하는 우려가 있고.."

하지만 삼성 측은 당시엔 런던 증시 상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지분 매각을 결정했고 지분을 넘긴 회사 대표가 차 씨인 줄도 전혀 몰랐다고 말했습니다.

<질문> 차 씨는 이런 의심에 대해 어떤 입장인가요?

<답변>

네, 차씨 측 역시 이번 일과 삼성물산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래도 의혹은 계속되고 있는데요.

삼성이 그렇게 쉽게 물러난 점, 차 씨가 단기간에 1조 원이라는 엄청난 차액을 쉽게 올린 점 등 석연치 않은 점이 많다는 겁니다.

때문에 일각에선 카자흐스탄 실력자의 비자금설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차씨 측 관계자는 밝히기 어려운 돈의 실체가 앞으로 드러날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며 국세청도 어느 정도 내용을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조 원을 눈앞에서 날린 삼성과 거액의 세금추징을 눈앞에 둔 차씨, 1조 원을 둘러싼 미스테리가 이번에는 풀릴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리왕’ 차용규 씨 탈세 혐의 조사
    • 입력 2011-05-17 23:56:24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국세청이 최근 조세피난처에 페이퍼 컴퍼니를 둔 이른바 '선박왕'에게 4천억원 대의 세금을 부과했었죠. 이번엔 카자흐스탄의 최대 구리광산을 통해 큰돈을 번 한국인 사업가에 대해 역외탈세 혐의로 조사중인데 더 많은 세금부과를 검토중입니다. 경제부 김세정 기자 나왔습니다. <리포트> 김 기자! (네,) <질문> 수천억원대의 세금을 추징할 정도라면 대단한 부자겠네요. 어떤 사람입니까? <답변> 네, 삼성물산 출신의 사업가 차용규 씨인데요. 국내 8위의 주식 부호에 오르면서 '샐러리맨의 신화'로까지 불렸습니다. 차 씨는 카자흐스탄 삼성물산 지점장이었습니다. 삼성물산은 세계 구리생산 8위 업체인 카자흐스탄의 카작무스를 위탁 경영하고 있었는데요. 한때 삼성물산이 이 회사 지분 43%를 갖고 있다 2004년에 모두 팔았는데, 이 지분의 일부를 차용규씨가 넘겨받았습니다. 1년 뒤 카작무스는 런던증시에 상장됐고 차씨는 지분을 처분해 1조 원이 넘는 차익을 남겼습니다. <질문> 1조 원이 넘는 차익을 얻었다니 대단하군요. 국세청이 거액의 세금을 추징한다는데, 그동안 세금을 제대로 안낸 겁니까? <답변> 네, 일단 국세청은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차 씨의 회사들이 조세피난처에 있었기 때문인데요. 먼저, 대표적 조세피난처인 버진 아일랜드의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카작무스 지분을 거래해 1조 원 이상 이익을 내고도 세금 한푼 내지 않았다는 겁니다. 국세청은 이 중 수천억 원이 또 다른 조세피난처인 말레이시아 라부안의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국내에 투자된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투자처도 백화점과 빌딩, 상가, 호텔, 벤처회사 등으로 다양했습니다. 건물 세입자 얘기를 들어보시죠. <녹취> 건물 세입자(음성변조): "차용규 회장이 전에 오셨다는 얘기는 많이 들었는데 요근래는 제가 못봤어요. 작년인가 한두번 뵜어요." 국세청 관계자는 차씨가 부동산 투자업의 실질적 대표였다며 5천억 원 이상 추징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차씨 측은 국내에 1년에 평균 28일밖에 머무르지 않는 자신에게 국세청의 과세는 터무니없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질문> 샐러리맨 출신으로 1조원을 얻었다. 이 1조 원을 놓고도 논란이 있죠. <답변> 네, 이 돈이 과연 차용규 씨의 돈이냐 하는 건데요. 먼저, 삼성이 카작무스 지분을 차 씨에게 넘긴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시기별로 정리해보면 삼성이 카작무스 지분을 차씨에게 넘긴 건 2004년 8월입니다. 그런데 이에앞서 6월에 카작무스는 런던증시 상장계획을 발표했고 상장만 되면 대박이 예고된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도 삼성은 지분을 팔았고 1년여 뒤 카작무스가 상장되면서 차씨는 1조 원 이상을 벌었습니다. 시민단체 관계자의 말 들어보시죠. <인터뷰>김영희(경제개혁연대): "삼성물산이 그렇게까지 손해를 감수하면서 처분하게 된 경위에 대해서 결국은 이것이 또 다른 비자금 조성의 방법이 아닐까 하는 우려가 있고.." 하지만 삼성 측은 당시엔 런던 증시 상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지분 매각을 결정했고 지분을 넘긴 회사 대표가 차 씨인 줄도 전혀 몰랐다고 말했습니다. <질문> 차 씨는 이런 의심에 대해 어떤 입장인가요? <답변> 네, 차씨 측 역시 이번 일과 삼성물산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래도 의혹은 계속되고 있는데요. 삼성이 그렇게 쉽게 물러난 점, 차 씨가 단기간에 1조 원이라는 엄청난 차액을 쉽게 올린 점 등 석연치 않은 점이 많다는 겁니다. 때문에 일각에선 카자흐스탄 실력자의 비자금설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차씨 측 관계자는 밝히기 어려운 돈의 실체가 앞으로 드러날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며 국세청도 어느 정도 내용을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조 원을 눈앞에서 날린 삼성과 거액의 세금추징을 눈앞에 둔 차씨, 1조 원을 둘러싼 미스테리가 이번에는 풀릴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